$\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ndsat ETM+영상의 지표면온도와 NDVI 공간을 이용한 광역 증발산량의 도면화
Regional Scale Evapotranspiration Mapping using Landsat 7 ETM+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Space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0 no.3, 2008년, pp.115 - 123  

나상일 ((주)선도소프트 U-전략사업단) ,  박종화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apotranspiration mapping using both meteorological ground-based measurements and satellite-derived information has been widely studied during the last few decades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It is significant and necessary to estimate regional evapotranspiration (E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Landsat ETM+ 데이터를 이용하여 충북의 NDVI 와 토지피복변화를 조사하고, 열적외 Band 6을 이용하여 지표면온도 분포를 파악하여 TVDI 분포를 추출하였다. 또한 7개 시, 군의 기상 관측치를 이용하여 Morton의 보완관계식으로 추정된 실제 증발산량을 구하고, 회귀식에 의한 충북의 증발산량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NDVI와 LST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증발산 효율을 구한 후, 실 관측치를 이용하여 산출한 증발산량과 비교하여 증발산량의 공간분포를 추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량 추정을 위해 충북 내 청주시를 비롯한 7 개시, 군 기상대의 2000~2005년 기상일보를 이용흐}' 였다<기상대, 2000~2005).
  • 즉, 영상들의 촬영 시간대가 비슷할수록 결과 정확도가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 1과 같이 2000년 5 월 8일에 촬영된 PatMRow가 각각 115/34, 115/35 인 두 위성영상을 집성mosaic)한 후 영상처리의 효율성을 위해 연구대상지역 해당 부분만을 잘라내어 처리하였다. Fig.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증발산량을 직접 측정하거나 조사한 연구는 미약하고, 특히 광역적인 측정과 조사는 제약조건이 많아 실측된 증발산량 자료는 많지 않은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감안하여 많은 가정을 필요로 하는 공기역학적 방법대신 지형 및 토지이용형태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충청북도(이하, 충북) 지역을 대상으로 계절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 및 기상조건의 변화를 고려하여 증발산량의 광역분포를 추정하였다.
  • 또한 7개 시, 군의 기상 관측치를 이용하여 Morton의 보완관계식으로 추정된 실제 증발산량을 구하고, 회귀식에 의한 충북의 증발산량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기상연보를 토대로 Morton(1978)이 제안한 보완관계식을 사용하여 충북 7개 시, 군의 증발산량을 계산하고, TVDI 분포도와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충북 전체의 증발산량을 추정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Fig. 1과 같은 Landsat 7 ETM+ 영상을 이용하여 충북지역의 증발산량분포를 추정하였다. 위성영상처리에서 결과 정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대상지역의 시기별 영상의 일관성이다(윤홍식과 조재명, 2002).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5월의 Landsat 7 E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충북의 NDVI/지표면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이후 LST)의 관계식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온도식생건조지수(Temperature Vegetation Dryness Index, 이후 TVDI)를 산출하였다. 또한 기상연보를 토대로 Morton(1978)이 제안한 보완관계식을 사용하여 충북 7개 시, 군의 증발산량을 계산하고, TVDI 분포도와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충북 전체의 증발산량을 추정 제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1과 같이 2000년 5 월 8일에 촬영된 PatMRow가 각각 115/34, 115/35 인 두 위성영상을 집성mosaic)한 후 영상처리의 효율성을 위해 연구대상지역 해당 부분만을 잘라내어 처리하였다. Fig. 1의 실선에 포함된 충북지역의 행정구역 구성과 면적은 건설교통부 발행 2003년 건설교통통계 연보(건교부, 2003)를 참고하였다(Table 1). 또한 증발산량 추정은 충북내의 청주시, 제천시, 충주시를 비롯한 7개 시, 군 기상대의 2000-2005 년까지의 기상일보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완관계식에 적용하였다(기상대, 2000~2005).
  • 중 정규화 식생지수(이후, NDVI)를 이용하는 추정법이 가장 실용적인 방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Landsat ETM+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식생지수는 Band 3과 Band 4를 조합하여 구하였다.
  • 대상지역의 지형은 전반적으로 동고서저, 남고북저의 형세를 이룬다. 중앙구릉지대는 도내의 분수령을 이루어 북쪽 사면은 달천과 남한강이 흘러 충주와 단양 .
  •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량 추정을 위해 충북 내 청주시를 비롯한 7 개시, 군 기상대의 2000~2005년 기상일보를 이용흐}' 였다<기상대, 2000~2005). 데이터 선정의 기준일은 영상취득 시기인 2000년 5월 8일로 하였고 누락된 데이터는 2001~ 2007년 까지 매년 5월 8일 데이터의 평균으로 보정하였다. 지반고의 경우 각 기상대의 지반 고를 이용하였고, 기상대의 지반고가 없는 경우 DEM 자료를 이용하였다.
  • 1의 실선에 포함된 충북지역의 행정구역 구성과 면적은 건설교통부 발행 2003년 건설교통통계 연보(건교부, 2003)를 참고하였다(Table 1). 또한 증발산량 추정은 충북내의 청주시, 제천시, 충주시를 비롯한 7개 시, 군 기상대의 2000-2005 년까지의 기상일보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완관계식에 적용하였다(기상대, 2000~2005).
  • NDVI와 LST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증발산 효율을 구한 후, 실 관측치를 이용하여 산출한 증발산량과 비교하여 증발산량의 공간분포를 추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량 추정을 위해 충북 내 청주시를 비롯한 7 개시, 군 기상대의 2000~2005년 기상일보를 이용흐}' 였다<기상대, 2000~2005). 데이터 선정의 기준일은 영상취득 시기인 2000년 5월 8일로 하였고 누락된 데이터는 2001~ 2007년 까지 매년 5월 8일 데이터의 평균으로 보정하였다.
  •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한반도 중심에 위치한 충북지역으로 청주시를 비롯하여 3개 시와 8개 군으로 구성된 총면적 7, 431.60의 지역이다. 충북은 경기도와의 경계에 차령산맥이 있고, 강원도 .
  • 데이터 선정의 기준일은 영상취득 시기인 2000년 5월 8일로 하였고 누락된 데이터는 2001~ 2007년 까지 매년 5월 8일 데이터의 평균으로 보정하였다. 지반고의 경우 각 기상대의 지반 고를 이용하였고, 기상대의 지반고가 없는 경우 DEM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 Table 4의 7개 시군의 기상 관측치를 Morton(1978) 이 제안한 식(5)~(8)의 보완관계식에 적용하여 실제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이는 Penman법으로 얻어진 잠재증발산량이 서로 보완관계에 있는 특징을 이용한 것이다.
  •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Morton(1978)이 제안한 보완관계식을 사용하였다. 이 식은 실제증발산량과 Penman법에 의해 얻어진 잠재증발산량이 서로 보완관계에 있으며, 양자의 합이 Priestly와 Taylor(1972)°fl 의해 제안한 잠재증발산량의 2배와 거의 유사하다는 관계식이다.
  • 또한 관측치에서 제외된 각각의 값은 Kotoda(1986) 가 제시한 다음의 근사식으로 계산하였다.
  • 식 (1)로 구한 NDVI와 식 (3)의 LST를 이용하여 Nemani와 Running(1989)이 제안한 NDVI/LST의 관계식인 TVDI를 계산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건교부, 2003, 건설교통 통계연보 

  2. 기상대, 2000-2005, 기상일보 

  3. 김해동, 임진욱, 이순환, 2006, 위성자료를 이용한 대구광역시의 상대증발산량 추정, 한국지구과학학회 2006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93- 199 

  4. 윤홍식, 조재명, 2002,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남한강 유역의 토지피복 변화량 검출, 한국측량학회지, 20(2), pp. 145-153 

  5. Artis, D.A., and W.H. Carnahan, 1982, Survey of emissivity variability in thermography of urban areas, Rem. Sen. of Env., 12, pp. 313-329 

  6. IPCC, 2007, Fourth Assessment Report (AR4), Climate Changes 2007 

  7. Kotoda K., 1986, Estimation of river basin evapotranspiration, Environ. Res. Centr., The Univ. of Tsukuba, 8, p. 68 

  8. Morton, F.I., 1978, Estimating evaportranspiration from potential evaporation-Practically of an iconoclasic approach, J. Hydrol. 38, pp. 1-32 

  9. Monteith, J. L, 1981, Evaporation and surface temperature, Qua. J. Royal Met. Soc., 107, pp. 1-27 

  10. Nemani, R.R. and S.W. Running, 1989, Estimation of regional surface resistance to evapotranspiration from NDVI and thermal IR AVHRR data, J. of App. Met., 28, pp. 276-284 

  11. Penman, H. C., 1948, Natural evapotranspi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 R. Soc. Lond., A193, pp. 120-146 

  12. Priestley, C. H. and R. J. Taylor, 1972, On the assessment of surface heat flux and evaporation using large scale parameters, Mon. Wea. Rev., 100, pp. 81-92 

  13. Sandholt, I., K. Rasmussen, and J. Andersen, 2002, A simple interpretat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vegetation index space for assessment of surface moisture status, Rem. Sen. of Env., 79, pp. 213-224 

  14. Shuttleworth. W. J. and D. R. Maidment, (edit.), 1993, Chapter 4 Evaporation, Handbook of Hydrology, Mc Graw Hill, pp. 4.1-4.47 

  15. Wang Xiao, Zhang Zengxiang, and Tan Wenbin, 2005, Using Temperature/Vegetation Index to Assess Surface Soil Moisture Status, Rem. Sen. Symp., IEEE. IGARSS 2005, pp. 4493- 44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