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위성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에서의 실제 증발산량 산출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Multi-Satellite Data over Korea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19 no.4, 2011년, pp.145 - 151  

이민지 (부경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한경수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김인환 (부경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증발산(Evapotranspiration)은 생태학 수문학적으로 지표 특성을 표현하는 변수로서 지구 물 순환에너지 수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지표거칠기를 고려하여 에너지 수지식을 기반으로 실제 증발산량을 산출하였다. 2009년 한반도를 대상으로 다양한 위성 자료와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제 증발산량 산출에 있어 중요한 변수인 현열은 다양한 입력 변수가 사용되어 계산 과정이 복잡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계수인 B를 사용하여 현열 산출을 단순화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열 산출 시 중요한 변수인 공기역학적 저항을 고려하여 높은 지표거칠기를 반영한 실제 증발산량 모델을 제시하였다. 산출된 실제 증발산량은 Priestley-Taylor 가능 증발산량을 통한 검증(RMSE 1.0179mm/day, BIAS 0.4516mm/day)을 수행하였으며 높은 지표거칠기를 고려한 실제 증발산량이전반적으로 잘 산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apotranspiration (ET) is an important process acrossa wide range of disciplines, including ecology, hydrology and meteorology.In this study, daily actual evapotranspiration (ETa) is based energy balance equation and considering high surface roughness length to estimate. This study was used varie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존의 연구(Seguin and Itier 1983; Vidal and Perrier, 1989)는 복잡한 지형이 아닌 wheat, cropland, pasture 등 낮은 지표거칠기에 대한지역적인 증발산량 산출이 대부분이며 이는 높은 지표거칠기에 해당하는 증발산량 산출 시 공기역학적 저항과 풍속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높은 지표거칠기와 지표 형태를 고려한 일 실제 증발산량을 산출을 수행하고자 한다. 실제 증발산량은 어떤 지역에서 실제 일어난 증발산량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Jackson et al.
  • 기존의 지점관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에너지 수지식을 기반으로 한 실제 증발산량 산출에 사용되는 관련 인자를 위성 자료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열 산출 시 중요한 변수인 공기역학적 저항을 고려하여 높은 지표거칠기에 적합한 B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제 증발산량 모델을 제시하였다.
  • 또한 관측 값의 시ㆍ공간적 대표성이 부족하며 조밀한 관측망의 구축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량 산출을 위한 기본변수들(Land Surface Temperature, Net Radiation, Surface Albedo)과 보조변수들(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Land cover map)에 대해 위성 자료를 사용하여 지점 관측의 한계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Seguin and Itier 1983; Vidal and Perrier, 1989)는 복잡한 지형이 아닌 wheat, cropland, pasture 등 낮은 지표거칠기에 대한지역적인 증발산량 산출이 대부분이며 이는 높은 지표거칠기에 해당하는 증발산량 산출 시 공기역학적 저항과 풍속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실제 증발산량 산출을 위해 사용한 위성자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51°N~40.00°N)영역(그림 1)의 2009년 1월부터 12월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실제 증발산량 산출을 위해 SPOT VEGETATION(VGT), Terra/Aqua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TSAT‐1R, ECOCLIMAP‐1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제 증발산량 산출과 검증을 위한 보조자료로서 지상관측 자료를 사용하였다.
증발산을 추정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는 지표 식생의 광합성과 CO2 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증발산은 에디 공분산법을 이용한 플럭스 타워 관측, 증발산량계를 이용한 산출과 Penman(1948), Monteith(1965), Priestley and Taylor(1972) 등 경험적 방법에 의한 추정이 대부분이지만 이는 지상 관측에 의존한 지점관측이므로 지점에 대한 해당 값만을 얻을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관측 값의 시ㆍ공간적 대표성이 부족하며 조밀한 관측망의 구축에 어려움이 있다.
증발산은 어떤 부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 , 2010). 이는 지표 식생의 광합성과 CO2 교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증발산은 에디 공분산법을 이용한 플럭스 타워 관측, 증발산량계를 이용한 산출과 Penman(1948), Monteith(1965), Priestley and Taylor(1972) 등 경험적 방법에 의한 추정이 대부분이지만 이는 지상 관측에 의존한 지점관측이므로 지점에 대한 해당 값만을 얻을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염종민, 한경수, 김영섭, 2006, "정규식생지수(NDVI) 산출시 발생하는 노이즈 제거에 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 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원격탐사 학회, Vol.9, pp.113-116. 

  2. Han, K.S., Viau, A.A. and Anctil, F., 2010, "Hourly evapotranspiration derived from NOAA-AVHRR visible and GOES-IMAGER thermal infrared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1, No.11, pp.2817-2836. 

  3. Penman, H.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Series A, Vol.193, pp.120-146. 

  4. Monteith, J.L., 1965, "Evaporation and environment", Symposium of the society of experimental biology, Vol.19, pp.205-224. 

  5. Priestley, C.H.B. and Taylor, R.J., 1972, "On the assessment of surface heat flux and evaporation using large scale parameters", Monthly weather Review, Vol.100, pp.81-92. 

  6. Seguin, B. and Itier, B., 1983, "Using midday surface temperature to estimate dailyevaporation from satellite thermal IR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4, pp.371-383. 

  7. Vidal, A. and Perrier, A., 1989, "Technical note Analysis of a simplified relation for estimating daily evapotranspiration from satellite thermal IR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10, pp.1327-1337. 

  8. Jackson, R.D., Reginato, R.J. and IDSO, S.B., 1977, "Wheat canopy temperature: a practical tool for evaluating water requiremen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13, pp.651-656. 

  9. Jensen, M.E., 1974, "Consumptive Use of Water and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rrigation Drain. Div., Am. Soc. Civ. Engineering, p.227. 

  10.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56. 

  11. Nathalie, S., Henri, W., Rafal, S., Pierre, H. and Laura, I.N., 2009, "Comparison of annual dry and wet deposition fluxes of selected pesticides in Strasbourg, France", Environmental Pollution, Vol.157, pp.303-312. 

  12. Kouwen, N., 2006, WATFLOOD/SPL9 User's Manual: Hydrological Model and Flood Forecasting System(Downsview: Environment Canada). 

  13. Choudhury, B.J., Ahmed, N.U., Idso, S.B., Reginato, R.J. and Daughtry, C.S.T., 1994, "Relations between evaporation coefficients and vegetation indices studied by model simula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50, pp.1-17. 

  14. Stewart, H.B. and Thom, A.S., 1973, "Energy budgets in pine forest",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99, pp.145-170. 

  15. Stewart, J. B., 1977, "Evaporation from the wet canopy of a pine fores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13, pp.915-9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