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나리발효액이 장내 유해세균 및 유익균의 In Vitro 생육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 of Fermented Dropwort on Intestinal Bacteria and Enzymes In Vitro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4 no.4, 2008년, pp.358 - 361  

이경애 (용인대 자연과학연구소) ,  김무성 ((주)마크로케어 연구소) ,  조홍범 (서경대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나리(Oenanthe stolonifera) 발효액이 장내 병원성 미생물과 유익균의 생육, 그리고 장내 세균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에서 조사하였다. 고상 배지 (Agar plate) 에서의 clear zone 형성에 의한 생육저해를 측정한 결과, Vibro, Salmonella 등의 유해 미생물에 대해서 강한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Bifidobacterium longum 에 대해서는 생육저해 효과가 크지 않았다. 액체배지에서의 최소저해농도(MIC) 측정에서도 고장배지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여 상대적으로 B. longum 에 대한 생육저해가 가장 적었다. 발효 기간에 따른 영향을 보면 발효 기간이 길수록 적은 양으로도 유해한 균들의 생육을 잘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내 세균 효소인 ${\beta}$-glucuronidase와 tryptophanase의 활성에 대해 미나리 발효액은 발효하지 않은 액에 비해 저해효과가 컸으며 발효기간이 길수록 저해효과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서 미나리 발효액은 유해세균에 대한 생육저해능이 크고 상대적으로 유익균인 B. longum에 대한 저해는 적어, 음용 시 정장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 of extract of fermented dropwort (Oenanthe stolonifera) on growth of intestinal harmful/useful bacteria and enzyme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vitro. The extract showed strong inhibition on harmful microbes including Vibrio and Salmonella, but mild inhibition on Bifidobacterium longum in 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나리 발효에 의한 기능성 연구의 일환으로장내 세균에 대한 효과를 in vitro에서 확인하여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이선화, 신현경. 1995. 쑥의 분획추출물이 주요 장내세균의 in vivo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8, 1065-1072 

  2. 이종호, 박종철, 유영법. 1993. 미나리의 Steroid 및 Flavonoid. 생약학회지 24, 244-246 

  3. 최성숙, 하남주. 1999. 식이에 따른 장내세균의 효소활성 및 장내세균총의 비교. 한국미생물학지35, 128-132 

  4. Chung, K.T., G.E. Fulk, and M.W. Slein. 1975. Tryptophanase of fecal flora as a possible factor in the etiology of colon cancer. J. Natl. Cancer Inst. 54, 1073-1078 

  5. Cummings, J.H. and G.T. Macfarlane. 1991. The control and consequences of bacterial fermentation in the human colon. J. Appl. Bacteriol. 70, 443-459 

  6. Fishman, W.H. 1974. Glucuronidase, p. 930-932. In H.U. Bergmeyer, 2nd ed., vol. 2.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N.Y., USA 

  7. Kim, Y.C., E.Y. Jung, H.J. Kim, and S.M. Kang. 1999. Improvement of kimchi fermentation by using acid-tolerent muta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aromatic yeast Saccharomyces fermentati as starters. J. Microbiol. Biotechnol. 9, 22-31 

  8. Kinoshita, N. and H.V. Gelboin. 1978. beta-Glucuronidase catalyzed hydrolysis of benzo(a)pyrene-3-glucuronide and binding to DNA. Science 199, 307-309 

  9. Lee, H.C., A.M. Jenner, C.S. Low, and Y.K. Lee. 2006. Effect of tea phenolics and their aromatic fecal bacterial metabolites on intestinal microbiota. Res. Microbiol. 157, 876-884 

  10. Lee, K.I., K.Y. Park, and S.H. Rhee.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toward aflatoxin B1 and 4-nitroqinoline- 1-oxide. J. Korean Soc. Food Nutr. 21, 143-148 

  11. Mitsuoka, T. 1992. Intestinal flora and aging. Nutr. Rev. 50, 438-446 

  12. Okubo, T., N. Ishihara, A. Oura, M. Serit, M. Kim, T. Yamamoto, and T. Mitsuoka. 1992. In vivo effects of tea polyphenol intake on human intestinal microflora and metabolism. Biosci. Biotech. Biochem. 56, 588-591 

  13. Park, J.C., Y.B. Yu, J.H. Lee, and N.J. Kim. 1994.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ator of edible plants in Korea (VI)-antiinflamantory and anlages effects of Cedrela sinensis, Oenanithe javanica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J. Korean Soc. Food. Nutr. 23, 116-119 

  14. Park, K.Y., K.I. Lee, and S.H. Rhee. 1992. Inhibitory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 149-153 

  15. Reddy, B.S., J.H. Weisburger, and E.L. Wynder. 1974. Fecal bacterial beta-glucuronidase: control by diet. Science 183, 416-417 

  16. Seo, W.H. and H.H. Baek. 2005.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s from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J. Agric. Food Chem. 53, 6766-6770 

  17. Thornton, J.R. 1981. High colonic pH promotes colorectal cancer. Lancet 16, 1081-10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