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기능과 자기분화 및 심리적 안녕의 관계
Relationships of Family-of-origin Functioning with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7 no.6, 2008년, pp.1135 - 1149  

정혜정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a causal model concerning the direct and the indirect effect of family-of-origin function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differentiation.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variables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

주제어

참고문헌 (80)

  1. 강명자 (2007).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 및 자아분화와 부부갈등의 관계. 제주대 석사학위논문. 

  2. 권미애 (2004). 중장년 부모-미혼 성인자녀간의 정서체계 역동성이 자녀의 심리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대 석사학위 논문. 

  3. 권정란 (2005).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연구. 서울여대 석사학위논문. 

  4. 김경자 (2004).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대 박사학위 논문. 

  5. 김나리 (2001).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애착이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민경 (2003). 가족체계유형과 자아분화 및 진로결정간의 관계.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7. 김수연 (2001). 기혼여성의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서울여대 석사학위논문. 

  8. 김수진 (2003). 여성정신건강. Web Health Research, 4, 1-11. 

  9. 김순기 (2001). 이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후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김정은 (2006). 가족건강성이 대학생의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11. 김오남 (1998). 편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 전남대 박사학위논문. 

  12. 김재수 (2008).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환경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13. 노형진 (2003).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14. 동아일보 (2007).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대학생 실태조사. 

  15. 박병두, 이규항, 이재광, 유영식, 기백석 (1993). 정신과 응급실 반복 방문자. 신경정신의학, 32(2), 212-221. 

  16. 박유화 (2001). 대학생의 가족응집성 및 자아분화 수준과 대학생활적응도의 관계 연구. 서울여대 석사학위논문. 

  17. 배미예 (2008).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자기통제력, 대인관계 문제 및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 석사학위논문. 

  18. 배병렬 (2007). Amos 7에 의한 구조방적식 모델링. 서울: 도서출판 청람. 

  19. 분당서울대병원 (2007). 대학생 정신건강 실태조사 

  20. 신혜섭 (2002). 보웬가족치료이론과 한국적용에 대한 고찰. 생활과학연구, 7, 193-201. 

  21. 양진선 (2004). 부부친밀감과 자아존중감 및 원가족 건강성간의 관계. 경희대 석사논문. 

  22. 오청미 (2005). 기혼남녀의 자아분화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 석사논문. 

  23. 유영달 (2003). 남녀간 정신장애 유병률 차이에 관한 소고. 여성연구 논집(신라대학구 여성문제연구소 편), 14, 127-160. 

  24. 유은희 (1991). 기혼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발달유형과 결혼만족도. 이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윤세은 (2000).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서울시 남녀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선혜 (1998). 한국에서의 Bowen 이론 적용에 대한 고찰: 자아분화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6(2), 151-176. 

  27. 이신숙 (2000).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28. 이원옥 (2003). 가족체계유형과 미혼성인의 자아분화, 우울과의 관계. 서울여대 석사학위논문. 

  29. 이천숙 (1996). 가족체계유형 및 자아분화와 청소년 후기 자녀의 심리적 안녕. 명지대 석사논문. 

  30. 이현주 (1998). 부부의 자아분화 정도와 갈등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성대 석사학위 논문. 

  31. 이현주 (2000). 진로미결정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분석. 교육심리연구, 14(1), 113-140. 

  32. 임지혜 (2004).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와 우울간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전연진 (2002). 삼세대 가족관계 경험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34. 전춘애 (1994).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5. 하상희, 정혜정 (2008). 자기분화의 세대간 전이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7), 95-108. 

  36. 황원준, 정용균, 김종주(1995). 정신과에 처음 내원한 환자의 6개월 후 추적조사. 신경정신의학, 34, 59-69. 

  37. Ault-Riche, M. (Ed.). (1986). Women and family therapy. Rockville, MD: Aspen. 

  38. Bartle-Haring, S., & Sabatelli, R. (1998). An intergenerational examination of patterns of individual and family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903-911. 

  39. Bohlander, R. W. (1999). Differentiation of self, need fulfill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arried men. Psychological Reports, 84, 1274-1280. 

  40. Boszormenyi-Nagy, I., & Spark, G. M. (1973). Invisible loyalties. Hagerstown, MD: Harper & Row. 

  41. Bowen,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Aronson. 

  42. Buboltz, W. C., Johnson, P., & Woller, K. M. P. (2003). Psychological reactance in college students: Family-of-origin predictor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1, 311-317. 

  43. Carter, B., & McGoldrick, M. (1996).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정문자 옮김, 원서명: The changing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원저출판연도: 1989). 

  44. Chung, H., & Gale, J. (2006). Comparing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Korean and European American student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8(3), 367-381. 

  45. Cohen, J., & Cohen, P. (198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Erlbaum. 

  46. Dmitrieva, Chen, Greenberger, & Gil-Rivas (2004). Family relationships and adolescent psychosocial outcomes: Converging findings from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4(4), 425-447. 

  47. Elieson, M. V., & Rubin, L. J. (2001).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s: a test of Bowen theory among clinical, traditional, and internet groups. Family Therapy, 28(3), 125-142. 

  48. Framo, J. L. (1976). Family of origin as a therapeutic resource for adults in marital and family therapy: You can and should go home again. Family Process, 15, 193-210. 

  49. Gushue, G. V., & Constantine, M. G. (2003). Examining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self-differentiation in African American college women.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5(1), 1-15. 

  50. Heaven, P., Searight, R., Chastain, J., & Skitka, L. J.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health and personality functioning among Australian adolescent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4(4), 358-366. 

  51. Hovestadt, A. J., Anderson, W. T., Piercy, F., & Cochran, S. W. (1985). A Family-of-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1(3), 287-297. 

  52. Jenkins, S. M., Buboltz, W. C., Schwartz, J. P., & Johnson, P. (2004).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7(2), 251-261. 

  53. Johnson, P., Thorngren, W. C., & Smith, A. J. (2001). Parental divorce and family functioning: Effects on differential levels of young adults. The Family Journal, 9, 265-272. 

  54. Kagitcibasi, C. (2005). Autonomy and relatedness in cultural context: Implications for self and famil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6(4), 403-422. 

  55.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New York: Norton. 

  56. Klever, P. (2003). Intergenerational fusion and nuclear family functioning.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5(4), 431-451. 

  57. Knudson-Martin, C. (1994). The female voice: Applications to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0, 35-46. 

  58. Lee, R. E., Gordon, N. G., & O'Dell, J. S. (1989). The validity and use of the family-of-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5, 19-27. 

  59. Lips, H. (2008). Sex and Gender: An introduction (6th ed.). New York: McGraw Hill. 

  60. Mazer, G. E., Mangrum, O. L., Hovestadt, A. J., & Brashear, R. L. (1990). Further validation of the family-of-origin scale: A factor analysi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6, 423-426. 

  61. Miller, R. B., Anderson, S., & Keala, D. K. (2004). Is Bowen theory valid? A review of basic research.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0, 281-300. 

  62. Minuchin, S. (1974). Families and family therapy. Boston, MA: Harvard Univ. Press. 

  63. Niedermeier, C. L., Searight, H. R., Handal, P. J., Manley, C. M., & Brown, N. (1995).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among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Validity of the Family-of-Origin Scale.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25(4), 253-265. 

  64. Peleg-Popko, O. (2002).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and social anxiety: What can be learned from students and their parents?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3, 167-183. 

  65. Piatt, A. L., & Ketterson, T. U. (1993).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o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among African-American adolescents. Adolescence, 28, 673-684. 

  66. Rado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67. Richards, E. R. (1989). Self-repor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compatibility as related to family functioning in the third and fourth stages of the family life cycle.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An International Journal, 3, 163-175. 

  68.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9. Sabattlli, R. M., & Bartle-Haring, S. (2003).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adjustment in married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 159-169. 

  70. Satir, V. (1972). Peoplemaking. Palo Alto: Science and Behavior Books. 

  71. Skowron, E. A. (2004). Differentiation of self, personal adjustment, problem solving, and ethnic group belonging among persons of color.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2, 447-452. 

  72. Skowron, E. A., & Friedlander, M. I. (1998).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235-246. 

  73. Skowron, E. A., Holmes, S. E., & Sabatelli, R. M. (2003). Deconstructing differentiation: Self regulation, interdependent relating, and well-being in adulthood.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5, 111-129. 

  74. Skowron, E. A., & Schmitt, T. A. (2003). Assessing interpersonal fu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DSI Fusion with Others sub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9(2), 209-222. 

  75. Skowron, E. A., Wester, S. R., & Azen, R. (2004). Differentiation of self mediates college stress and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2, 69-78. 

  76. Tuason, M. T., & Friedlander, M. L. (2000). Do parents' differentiation levels predict those of their adult children? and other tests of Bowen theory in a Philippine samp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27-35. 

  77. Yelsma, P., Hovestadt, A., Anderson, W. T., & Nilsson, J. E. (2000). Family-of-origin expressiveness: Measurement, meaning, and relationship to alexithymia.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6(3), 353-363. 

  78. Yun, Y. H., Kim, S. H., Park, S. M., & Kim, Y. M. (2007). Age, sex, and comorbidities were considered in comparing reference data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general and cancer population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0, 1164-1175. 

  79. Whitaker, C. A., & Keith, D. V. (1981). Symbolic- experiential family therapy. In A. S. Gurman & D. P. Knistern (Eds.), Handbook of family therapy. New York: Brunner/Mazel. 

  80. en.wikipedia.org/wiki/Mental_disord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