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ployment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Career Decision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5, 2014년, pp.2778 - 2788  

김영태 (원광보건대학교 다문화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대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에 대하여 첫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은 성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은 진로결정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진로탐색과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보여주며, 진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데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지도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stress for getting a job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ffect career decision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survey was conducted on 447 college students in the city of I. The results were first, college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학생의 취업준비 활동과 바람직한 진로에 대한 적응 및 직업을 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진로 및 취업지도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며, 진로지도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진로지도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은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와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이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진로결정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로결정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진로지도프로그램과 취업역량강화 활동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결론 및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념감을 진로결정과 연결한 진로결정효능감과의 관계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이에,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념감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진로와 관련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로결정효능감과의 인과적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를 다각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이 학년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의 결과는 Table6과 같다. 저학년과 고학년으로 구분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적 안녕감이 인생의 다른 시기보다 청소년기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행동을 독립적으로 혹은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이 있고,주위환경에 대한 통제력이 있으며,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자 하고,자기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긍정적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삶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6].심리적 안녕감은 인생의 다른 시기보다 청소년기에 중요한데 그 이유는 심리적 안녕감이 청소년에게 있어서 긍정적 발달의 주요 지표가 되고,다른 긍정적인 결과에 공헌하기 때문이다[7].
현대 사회에서 직업이 누구에게나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 사회에서 직업은 누구에게나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그 이유는 모든 사람들이 직업세계에 참여함으로써 사회적 기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개인이 직업을 갖고 일을 하는 것은 생계의 유지수단 이외에 현실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심리적 방법이 되기 때문이다.이러한 직업 즉,진로를 선택하는 것은 개인이 생애를 통해서 가장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1].
대학생 시기 동안에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이런 적응과정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자질과 한계를 인식하는 동시에 자신과 사회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게 된다.이 시기 동안 개인적 가치와 목표를 설정하고 정체감을 확립해야 하며,동시에 부모로부터 독립의 성취와 함께 직업에 대한 준비와 결정을 해나가야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J. Y.,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Ego-resilience on Employment Stress and Job-seeking Efficac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2. Kim, T. R.,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Pakyoungsa Press, 2005. 

  3. Park, M. J., Kim, J, H., & Jung, M. S.,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for Preparing Employmen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0(1), pp. 417-435, 2009. 

  4. Lee, M. S., A Study on the Employment Stress Scal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 

  5. Kwak, Y. Y., The Effects of Parental Child-rearing Practices and College Students' Financial Independenc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6.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pp. 1069-1081, 1989. 

  7. Shin, J. Y., Lee Y A., & Lee, K. H., The Effects of Life Meaning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4), pp. 1035-1057, 2005. 

  8. Lee, S. H., & Seo, Y. R., A Study of Sex Differ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Vocational-ident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 pp. 37-53, 2012. 

  9. Vinokur, A. D., Price, R. H., & Caplan, R. D., From field experiments to program implementation; Assessing the porential outcomes of an experimental invention program for unemployed person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19, pp. 543-562, 1991. 

  10. Lee, Y. K., & Kang, K. H., The Analysis About Employment Stress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of Undergraduates - In Focus of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Colleg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4(2), pp. 60-67, 2011. 

  11. Kim, H. A., The effect of the feedback type and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12. Shepherd, M., Cooper B., Brown, A. C., & Kalton, G. W., Psychiatric illness in general practic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13. Hwang, S. W., The Study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14. Kim, M. S., Kim, H, W., & Cha, K, H., Analyses o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PWB)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2), pp. 19-39, 2000 

  15. Kim, T. W.,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Family Support, Career Decision Autonom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rom Undergraduate Students.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3. 

  16. Taylor, K. M., & Betz, N. E.,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pp. 63-81, 1983.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83)90006-4 

  17.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pp. 47-57. 1996. 

  18. Lee, K. H., & Lee, H. J., The Effects of Career Self-Efficacy in Predicting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2(1), pp. 127-136, 2000. 

  19. Song, J. H., Difference in Employment-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mong University Student Based on Their Majors,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Master's Thesis, 2008. 

  20. Ha, Y. J.,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21. Lee, M. J., The Relationship among Body Esteem,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nkoo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22. Yun, S. W., & Kim, K. S.,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Locus of Control on Stress towards Employ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2), pp. 606-614,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2.6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