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iming 처리시간 및 온도가 목초종자의 발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iming Du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ermination of Forage Seed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28 no.4, 2008년, pp.281 - 288  

김종덕 (천안연암대학) ,  권찬호 (천안연암대학) ,  허삼남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종자의 priming은 종자의 발아율 향상과 유식물의 초기정착에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시험에서는 목초의 주요 초종인 tall fescue, orchardgrass, alfalfa 및 white clover의 발아율 향상과 발아 균일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priming 처리기간과 처리온도에 따라서 목초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priming 처리시간으로 화본과 목초는 2일, 4일, 6일 및 8일을 두었으며, 두과목초는 1일, 2일, 3일 및 4일을 두었다. 세구는 priming 온도로 화본과 두과 목초 모두 10, 15 및 $20^{\circ}C$를 두었다. Priming후 발아세, 발아율, 평균발아소요일수 및 T50은 초종과 priming 처리기간 및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Priming 처리기간에서는 화본과 목초인 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는 6일에 발아율이 높았으나, 두과목초인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2일에 발아율이 높았다. 한편 priming 처리 온도에서는 오차드그라스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나, 두과목초인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온도가 $10^{\circ}C$에서 $2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목초의 priming은 초종에 따라 적정 처리시간 및 온도가 달랐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ed priming is an useful technique for increasing germination and early establishment of seedlings. In this experiment, the conditions for priming of pasture seeds (tall fescue, orchardgrass, alfalfa and white clover) have been optimized to ensure an early germination and more uniform growth of s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종자의 priming시 처리약제의 종류와 농도 이외에도 priming 기간과 온도 역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priming 1차 시험(김 등, 2006)에서 선발한 약제를 기준으로 하여 적정 처리 온도와 처리 시간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종자의 priminge 종자의 발아율 향상과 유식물의 초기 정착에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시험에서는 목초의 주요 초종인 tall fescue, orchardgrass, alfalfa 및 white clover의 발아율 향상과 발아균일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priming 처리기간과 처리온도에 따라서 목초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분할 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priming 처리시간으로 화본 과 목초는 2일, 4일, 6일 및 8일을 두었으며, 두 과목초는 1일, 2일, 3일 및 4일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종덕, 권찬호, 채상헌, 허삼남, 김종근. 2006. Priming 약제의 종류와 농도가 목초종자의 발아 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4):277-284 

  2. 조정래. 1998. 채소 및 화훼종자의 고품질화 기술 개발을 위한 priming및coating에관한 연구. 농림부,농림기술관리센터 보고서 

  3. 조정래. 2001. 당근의 종차처리와 기계파종 기술 개발. 농림부,농림기술관리센터 보고서 

  4. Alvarado, A.D. and K.J. Bradford. 1988. Priming and storage of tomato (Lycopers iconlycopersicum) seed. I.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on germination rate and viability. Seed Sci. & Technol. 16:601-612 

  5. Argerich, C.A., K.J. Bradford and F.M. Ashton. 1990. Influence of seed vigor and preplant herbicides on emergence, growth, and yield of tomato. HortScience 25:288-291 

  6. Association of official seed analysis. 1983. Rules for testing seeds. Proc. Assoc. Seed Anal. 54:1- 112 

  7. Atherton, J.G. and A.M. Farooque. 1983. High temperature and germination in spinach. II. Effect of osmotic priming. Scientia Horticulture 19:221- 227 

  8. Bodsworth, S. and J.D. Bewley. 1981. Osmotic priming of crop species with polyethylene glycol as a means of enhancing early and synchronous germination at cool temperature. Can. J. Bot. 59:672-676 

  9. Bradford, K.J. 1986. Manipulation of seed water relations via osmotic priming to improve germination under stress condition. HortScience 26:1105-1112 

  10. Cantliffe, D.J., M. Elballa, A. Guedes, G.B. Odell, P. Perkins-Veazie, Jr. Schultheis, D.N. Seale, K. D. Shuler, I.T Tanne and J.T. Watkins. 1987. Improving stand establishment of direct seeded vegetables in florida. Proc. Fla. State Hort. Soc. 100:213-216 

  11. Coolbear, P., A. Francis and D. Grierson. 1984.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pre-sowing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performance and membrane integrity of artificially aged tomato seeds. J. Exp. Bot. 35:1609-1617 

  12. Haigh, A.M., E.W.R. Barlow, F.L. Milthrope and P.J. Sinclair. 1986. Field emergence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carrot (Daucus carota) and onion (Allium cepa) seeds primed in an aerated salt solution. J. Amer. Soc. Hort. Sci. 111:660-665 

  13. Khan, A.A. 1980/81. Hormonal regul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eed dormancy. Isr. J. Bot. 29:207-224 

  14. Khan, A.A. 1992. Preplant physiological seed conditioning. Hort. Rev. 13:131-181 

  15. O'sullivan, J. and W.J. Bouw. 1984. Pepper seed treatment for low temperature germination. Can. J. Plant. Sci. 64:387-393 

  16. Smith, P.T. and B.G. Cobb. 1991. Accelerated germination of pepper seed by priming with salt solution and water. HortScience 26:417-419 

  17. Suzuki, H., S. Obayashi and H. Luo. 1989. Effects od salt solutions on the priming of cereal vegetable seeds. J. Japan Soc. Hort. Sci. 58:131- 138 

  18. Suzuki, H., S. Obayash, J. Yamagish and S. Inanaga. 1990. Effect of pH of tertiary phosphates solutions on radicals protrusion during priming of carrot seeds. J. Japan Soc. Hort. Sci. 62:143-1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