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소 섭취 수준과 유방암 위험 - 대구.경북지역 환자-대조군 연구 -
Intakes of Energy and Nutrients and Risk of Breast Cancer - Case-Control Study in Daegu.Gyeongbuk Area, Korea -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8, 2008년, pp.754 - 766  

이은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이원기 (경북대학교병원 건강증진연구소) ,  서수원 (경북대학교병원 영양팀) ,  서보현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이혜성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의 유방암 환자와 대조군을 대상으로 열량 및 영양소 섭취수준에 따른 유방암 발생의 상대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을 처음 받고 입원한 103명의 유방암 환자와 유방암과 관련된 질환 및 전신 질환이 없으면서 연령(5세 내의 차이) 및 폐경 상태가 동일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빈도 짝짓기를 통하여 선정한 159명의 지역사회 대조군이었다. 이들의 반정량적 식품섭취 빈도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영양 섭취량을 산출하였고, 일반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 환자군과 대조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들을 혼란변수로 통제한 후 열량 및 영양섭취 수준에 따른 상대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높은 BMI와 열량과 당질의 높은 섭취 수준은 유방암 발생의 상대적 위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 지방, 식이섬유,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불포화지방산, n-3 지방산, n-6 지방산, 비타민 E, 칼슘은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전 여성에서는 당질의 섭취 수준이 높을 때 유방암 위험이 유의하게 높고, 총지방, 식이섬유, 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불포화지방산, n-6 지방산, 비타민 E, 엽산, 칼슘, 인, 칼륨의 섭취 수준이 높을 때 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 후 여성에서는 총지방, 콜레스테롤, 다불포화지방산, n-6 지방산의 섭취 수준이 높을 때 유방암 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의 경우 식물성 급원의 섭취 수준이 높을 때 유방암의 위험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구 경북지역에서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일 가능성이 있는 영양섭취상태는 열량과 당질의 높은 섭취이며, 한편 유방암의 위험을 낮출 가능성이 있는 영양섭취 상태는 높은 지방의 섭취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의 경우 식물성 급원의 섭취가 높을 때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 섭취량과 유방암 위험도 사이에 정의 상관성을 보고한 일부 국외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되는 결과이며 그 원인으로는 한국인의 경우 식물성 지방 섭취의 비율이 서구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유방암의 위험을 낮출 가능성이 있는 미량 영양소로는 비타민 중에는 E와 엽산, 무기질로서는 칼슘, 인 그리고 칼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제한점으로서 조사 사례수가 적다는점을 들 수 있으므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보인 지방섭취와 유방암 위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향후보다 많은 사례를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를 통해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민의 유방암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자료의 일부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nutrient intake levels on the relative risk of breast cancer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The case subjects were 103 patients newly diagnosed as breast cancer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control subjects were 159 healthy wo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방암의 발병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로서 식품과 영양소 섭취와 같은 식이요인의 역할과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규명되어야할 부분이 많다. 더욱이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암 발생과 관련된 식사요인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열량과 영양소별 섭취수준에 따른 유방암 발생의 상대적 위험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발생에 대한 식이관련 위험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2) 그러나 유방암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들은 위험요인으로서 음주,3-5,7) 운동6,7) 등의 생활습관과 식사패턴과 같은 환경적 위험요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보고하고 있으며 이 중 식이요인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유방암 발생에 대한 식이관련 위험 요인들로는 고열량 섭취와 비만,8) 비타민 A, C, E와 B 복합체의 만성적인 부족,9) 고지방-저섬유소 식사 패턴,10) 저지방-고탄수화물 식사11) 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육류의 다량 섭취,12) 특히 튀긴 육류의 높은 섭취 등도 위험요인으로 제시되었으나13) 최근에는 육류의 섭취와 유방암과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도 보고되었다.
유방암 환자 코호트(cohort) 연구에서 어떤 지방산이 암 진행을 완화한다고 보고했는가? 18) 즉, 실험연구에서 n-6 다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은 포화지방산보다 더 강력하게 종양 발생을 촉진하고, n-3 PUFA는 유방암 발생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9) Wolk 등20)은 유방암 환자 코호트(cohort) 연구에서 단일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이 암 진행을 완화하는 효과를 증명하여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뒷받침하였다. 그러나 이후 Smith 등21)은 총 지방 섭취량,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 식이 지방의 급원 등과 유방암과의 유의적인 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유방암 발병의 위험요인으로 호르몬 외의 요인들은 무엇으로 주목되는가? 유방암 발병의 위험요인으로는 유방조직의 여성 호르몬에의 노출 정도가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그러나 유방암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들은 위험요인으로서 음주,3-5,7) 운동6,7) 등의 생활습관과 식사패턴과 같은 환경적 위험요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보고하고 있으며 이 중 식이요인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유방암 발생에 대한 식이관련 위험 요인들로는 고열량 섭취와 비만,8) 비타민 A, C, E와 B 복합체의 만성적인 부족,9) 고지방-저섬유소 식사 패턴,10) 저지방-고탄수화물 식사11) 등이 제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ancer Incidence in Korea (2003- 2005), Republic of Korea; 2008 

  2. Kelsey JL, Gammon MD, John EM. Reproductive factors and breast cancer. Epidemiol Rev 1993; 15: 36-47 

  3. Longnecker MP. Alcohol beverage consumption in relation to risk of breast cancer, meta-analysis and review. Cancer Causes & Control 1994; 5: 73-82 

  4. Rohan TE, Jain M, Howe GR, Miller AB. Alcohol consumption and risk of breast cancer: A cohort study. Cancer Causes & Control 2000; 11: 239-247 

  5. Do MH, Lee SS, Jung PJ, Lee MH. Relation of breast cancer risk with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A case-control study. Korean J Nutr 2003; 36(1): 40-48 

  6. Lee IM, Cook NR, Rexrode KM, Buring JE. Lifetime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breast cancer. Br J Cancer 2001; 85: 962-965 

  7. Mordi T, Adami HO, Ekbom A, Wedren S, Terry P. Physical activity and risk for breast cancer, a prospective cohort study among Swedish twins. Int J Cancer 2002; 100: 76-81 

  8. Deslypere JP. Obesity and cancer. Metabolism: Clin & Exp 1995; 44(suppl 3): 24-27 

  9. Gori GB. Dietary and nutritional implications in the multifactorial etiology of certain prevalent human cancers. Cancer 1979; 43 (suppl 5): 2151-2161 

  10. Stoll BA. Macronutrient supplements may reduce breast cancer risk: how, when, which? Eur J Clin Nutr 1997; 51(9): 573-577 

  11. Kaaks R. Nutrition, hormone, and breast cancer: Is insulin the missing link? Cancer Causes & Control 1996; 7: 605-625 

  12. Toniolo P, Riboli E, Shore RE, Pasternack BS. Consumption of meat, animal products, protein and fat and risk of breast cancer -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New York. Epidemiol 1994; 5: 391-397 

  13. Jarvinen R, Knekt P, Seppanen R, Teppo L. Diet and breast cancer risk in a cohort of Finnish women. Cancer Let 1997; 114: 251-253 

  14. Missmer SA, Smith-Warner SA, Spiegelman D, Yaun SS, Adami HO, Beeson WL, van den Brandt PA, Fraser GE, Freudenheim JL, Goldbohm RA, Graham S, Kushi LH, Miller AB, Potter JD, Rohan TE, Speizer FE, Toniolo P, Willett WC, Wolk A, Zeleniuch- Jacquotte A, Hunter DJ. Meat and dairy food consumption and breast cancer: a pooled analysis of cohort studies. Int J Epidemiol 2002; 31: 78-85 

  15. Franceschi S, Favero A, Decarli A, Negri E, La Vecchia C, Ferraroni M, Russo A, Salvini S, Amadori D, Conti E, et al. Intake of macronutrients and risk of breast cancer. Lancet 1996; 347: 1351- 1356 

  16. Favero A, Parpinel M, Montella M. Energy sources and risk of cancer of the breast and colon-rectum in Italy. Adv Exp Med Biol 1999; 472: 51-55 

  17. Hunter DJ, Spiegelman D, Adami HO, Beeson L, van den Brandt PA, Folsom AR, Fraser GE, Goldbohm RA, Graham S, Howe GR, et al.(1996). Cohort studies of fat intake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a pooled analysis. N Engl J Med 1996; 334: 356-361 

  18. Martin-Moreno JM, Willett WC, Gorgojo L, Banegas JR, Rodriguez- Artalejo F, Fernandez-Rodriguez JC, Maisonneuve P, Boyle P. Dietary fat, olive oil intake and breast cancer risk. Int J Cancer 1994; 58: 774-780 

  19. Wynder EL, Cohen LA, Rose DP, Stellman SD. Dietary fat and breast cancer: Where do we stand on the evidence? J Clin Epidemiol 1994; 47: 217-222 

  20. Wolk A, Bergstrom R, Hunter D, Willett W, Ljung H, Holmberg L, Bergkvist L, Bruce A, Adami HO. A prospective study of association of monounsaturated fat other types of fat with risk of breast cancer. Arch Intern Med 1998; 158: 41-45 

  21. Smith-Warner SA, Spiegelman D, Adami HO, Beeson WL, van den Brandt PA, Folsom AR, Fraser GE, Freudenheim JL, Goldbohm RA, Graham S Kushi LH, Miller AB, Roham TE, Speizer FE, Toniolo P, Willett WC, Wolk A, Zeleniuch-Jacquotte A, Hunter DJ. Types of dietary fat and breast cancer: a pooled analysis of cohort studies. Int J Cancer 2001; 92: 767-774 

  22. London SJ, Sacks FM, Stampfer MJ, Henderson IC, Maclure M, Tomita A, et al. Fatty acid composition of subcutaneous adipose tissue and risk of proliferative benign breast disease and breast cancer. J Natl Cancer Inst 1993; 56: 785-793 

  23. Kohlmeier L, Mendez M (1997). Controversies surrounding diet and breast cancer. Proc Nutr Soc 1997; 56: 369-382 

  24. Steinmetz KA, Potter JD (1996). Vegetables, fruit, and cancer prevention: A review. J Am Diet Assoc 1996; 96: 1027-1039 

  25. Do MH, Lee SS, Jung PJ, Lee MH. Food intake and breast cancer risk: A case-control study. Korean J Nutr 2001; 34(2): 165-175 

  26. Mannisto S, Pietinen P, Virtanen M, Kataja V, Uusitupa M. Diet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a case-control. J Clin Epidemiol 1999; 52: 429-439 

  27. Do MH, Kim HJ, Lee SS, Jung PJ, Lee MH. Breast cancer risk and dietary factor; A case-control study. J Kor Surg Soc 2000; 59 (2): 163-174 

  28. Lee EJ, Suh SW, Lee WK, Lee HS. Reproductive factor and food intake pattern influencing on the breast cancer risk in Daegu. Gyungbuk area, Korea. Korean J Nutr 2007; 40(5): 334-346 

  29. Kim WY, Yang EJ.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re for Koreans. Korean J Nutr 1998; 21(2): 220-230 

  30. Paik HY, Ryu JY, Choi JS, Ahn YJ, Moon HK, Park YS, Lee H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dietary assessment of Korean adults in rural area. Korean J Nutr 1995; 28(9): 914-922 

  31. Kerlinger FN.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 3th edi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New York.; 1986 

  32. Nishimune T, Sumimoto T, Yakusiji T, Kunita N.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Japanes foods. J Assoc Off Anal Chem 1991; 74(2): 350-359 

  33. Baek JW, Koo BK, Kim KJ, Lee YK, Lee SK, Lee HS. Nutritional status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Kyungpook Sang-Ju. Korean J Nutr 2000; 33(4): 438-453 

  34. Huang Z, Hankinson SE, Colditz GA, Stampfer MJ, Hunter DJ, Manson JE, Hennekens CH, Rosner B, Speizer FE, Willett WC. Dual effect of weight and weight gain on breast cancer risk. J Am Med Assoc 1997; 278(17): 1407-1411 

  35. Zeigler RG, Hoover RN, Nomura AMY, West DW, Wu AH, Pike MC, Lake AJ, Horn-Ross PL, Kolonel LN, Siiteri PK, Fraumeni JF. Relative weight, weight change, height, and breast cancer risk in Asian-American women. J Natl Cancer Inst 1996; 88(10): 650-660 

  36. Stoll BA. Timing of weight gain in relation to breast cancer risk. Ann Oncol 1995; 6(3): 245-248 

  37. Kuller LH (1995). The etiology of breast cancer from epidemiology to prevention. Public Health Rev 1995; 23(2): 157-213 

  38. Ahn SH, Kim MK, Kim SI. Relation between Body size and body mass index and breast cancer by menopausal status in Korea. J Korean Cancer Assoc 1999; 31(1): 72-81 

  39. Yoo KY, Park SK, Sung JH, Kang DH, Kim YC, Kang HS, Suh JS, Kim JS, Yun IJ, Han SH, Noh DY, Choe KJ. High risk group for female breast cancer in Korea. J Korean Cancer Assoc 1998; 30(3): 435-449 

  40. Moon SW, Choi SY, Lee TY, Chung YC. Studies on Risk Factors in Cancers of the Breast, Uterine Cervix and Ovary. Korean J Epidemiol 1997; 19(2): 161-179 

  41. Kim WY, Ryu YS, Yang EJ. A study on dietary factors related to the incidence of breast and cervical cancer in Korean women. Korean J Nutr 1994; 27(10): 1058-1069 

  42. Yuan JM, Wang QS, Ross RK, Henderson BE, Yu MC. Diet and breast cancer in Shanghai and Tianjin, China. Br J Cancer 1995 71: 1353-1358 

  43. Van't Veer P, van Leer EM, Rietdijk A, Kok FJ, Schouten EG, Hermus RJ, Sturmans F. Combination of dietary factors in relation to breast-cancer occurrence. Int J Cancer 1991; 47: 649-653 

  44. Adlercreutz H, Mousavi Y. Diet and breast cancer. Acta Oncologica 1992; 31: 175-181 

  45. Shin MH. Food, nutrient,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Korean J Epidemiol 2002; 24(2): 164-170 

  46. Kimmick GG, Bell RA, Bostick RM. Vitamin E and breast cancer: A review. Nutr Cancer 1997; 27: 109-117 

  47. Sellers TA, Kushi LH, Cerhan JR, Vierkant RA, Gapstur SM, Vachon CM, Olson JE, Therneau TM, Folsom AR. Dietary folate intake, alcohol, and risk of breast cancer in a prospective study of postmenpausal women. Epidemiol 2001; 12: 420-428 

  48. Freudenheim JL, Marshall JR, Vena JE, Laughlin R, Brasure JR, Swanson MK, Nemoto T, Graham S. Premenopausal breast cancer risk and intake of vegetable, fruits, and related nutrients. J Natl Cancer Inst 1996; 91: 547-556 

  49. Wu K, Helzlsouer KJ, Comstock GW, Hoffman SC, Nadeau MR, Selhub J. A prospective study on folate, B12, and pyridoxal -5'- phosphate (B6) and breast cancer. Cancer Epidem Biomar 1996; 8: 209-217 

  50. Graham S, Hellmann R, Marshall J, Freudenheim J, Vena J, Swanson M, Zielezny M, Nemoto T, Stubbe N, Raimondo T. Nutritional epidemiology of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in western New York. Am J Epidemiol 1991; 134: 552-566 

  51. Howe GR, Hirohata T, Hislop TG, Iscovich JM, Yuan JM, Katsouyanni K, Lubin F, Marubini E, Modan B, Rohan T, et al. Dietary factors and risk of breast cancer:combined analysis of 12 case-control studies. JNCL 1990; 82: 561-569 

  52. Clark LC. The epidemiology of selenium and cancer. Fed Proc 1985; 44: 2584-2589 

  53. Willett WC. Diet and breast cancer. J Inter Med 2001; 249: 395-4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