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작물인 짚신나물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의 병원균은 Sphaerotheca aphanis이고, 장마 전 건조기인 $5{\sim}6$월과 8월 말에서 9월까지 2차례 발병하였다. 흰가루병은 잎, 줄기 및 종자 모두에서 관찰 되었다. 난황유 처리에 의한 흰가루병 방제효과는 1회 처리구의 방제가가 26.9%에 불과하였으나, 2회 및 3회 처리구에서는 80.8%, 82.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처리회수에 관계없이 처리 직후에는 흰가루병의 방제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1회 처리구에는 처리 7일 후에는 발병이 다시 증가하였던 반면, 2회 및 3회 처리구에는 처리 후 28일까지도 발병이 억제 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짚신나물 흰가루병은 난황유를 7일 간격으로 2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제 방법이라 생각된다.
약용작물인 짚신나물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의 병원균은 Sphaerotheca aphanis이고, 장마 전 건조기인 $5{\sim}6$월과 8월 말에서 9월까지 2차례 발병하였다. 흰가루병은 잎, 줄기 및 종자 모두에서 관찰 되었다. 난황유 처리에 의한 흰가루병 방제효과는 1회 처리구의 방제가가 26.9%에 불과하였으나, 2회 및 3회 처리구에서는 80.8%, 82.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처리회수에 관계없이 처리 직후에는 흰가루병의 방제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1회 처리구에는 처리 7일 후에는 발병이 다시 증가하였던 반면, 2회 및 3회 처리구에는 처리 후 28일까지도 발병이 억제 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짚신나물 흰가루병은 난황유를 7일 간격으로 2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제 방법이라 생각된다.
We've been involved in collection and domestication of Agrimonia pilosa from 2005 to 2007. We observed agrimony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aphanis. The powdery mildew developed twice a year, in May to June and mid August to September on whole plants of A. pilosa plants, that is, leaves, s...
We've been involved in collection and domestication of Agrimonia pilosa from 2005 to 2007. We observed agrimony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aphanis. The powdery mildew developed twice a year, in May to June and mid August to September on whole plants of A. pilosa plants, that is, leaves, stem and floral part. We sprayed the Cooking Oil & Yolk mixture (COY) to control the agrimony powdery mildew. When COY was single-sprayed to control agrimony powdery mildew, its control value was 26.9%. However when it was double-sprayed and triple-sprayed at seven days interval, its control value increased up to 80.8 and 82.7%, respectively. Upon the first spray, symptoms of powdery mildew disappeared within three days and suppressive effect of COY was persisted for only seven days. Thereafter, powdery mildew was relapsed to develop. However, on double to triple sprays, powdery mildew was suppressed more than 28 days after final treatment.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double spray of COY at seven days interval can control effectively agrimony powdery mildew.
We've been involved in collection and domestication of Agrimonia pilosa from 2005 to 2007. We observed agrimony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aphanis. The powdery mildew developed twice a year, in May to June and mid August to September on whole plants of A. pilosa plants, that is, leaves, stem and floral part. We sprayed the Cooking Oil & Yolk mixture (COY) to control the agrimony powdery mildew. When COY was single-sprayed to control agrimony powdery mildew, its control value was 26.9%. However when it was double-sprayed and triple-sprayed at seven days interval, its control value increased up to 80.8 and 82.7%, respectively. Upon the first spray, symptoms of powdery mildew disappeared within three days and suppressive effect of COY was persisted for only seven days. Thereafter, powdery mildew was relapsed to develop. However, on double to triple sprays, powdery mildew was suppressed more than 28 days after final treatment.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double spray of COY at seven days interval can control effectively agrimony powdery mildew.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최근 계란노른자를 식용유와 섞은 난황유(Cooking oil & yolk mixture, COY)가 흰가루병 방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지 등, 2008). 이러한 보고를 기초로 본 연구는 짚신나물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의 특성을 조사한 후 난황유를 이용한 짚신나물의 흰가루병 방제방법을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제안 방법
시험에 이용된 짚신나물은 2005년 전남 광양 백운산에서 채집하여 경상대학교 부속농장에 정식하여 2년간 증식한 후에 2006년 3월 22 일에 분주하여 재배하였다. 시험포장은 물빠짐이 극히 좋은 사양토이었으며, 관수는 정식 직후 7일간은 매일, 그 후부터 20일간은 5일 간격으로 행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 법 3반복으로, 처리구의 면적은 10이었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 법 3반복으로, 처리구의 면적은 10이었다. 흰가루병은 발생초기 육안으로 먼저 병징을 확인한 후에 이병 식물체를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여 병원균(S. aphanis)을 확인하였다.
난황유 제조 및 처리. 난황유의 제조는 지 등(2008)의 방법에 의하여 식용유인 유채기름(카놀라유)을 계란노른자로 유화시켜 만들었다.
이렇게 제조된 난황유는 횐가루병 발생 초기 짚신나물의 모든 경엽에 골고루 살포하였다. 난황유의 처리는 1 회, 2회 및 3회로 각각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1회 처리는 2007년 8월 30일, 2회 처리는 8월 23일과 30일, 3회 처리는 8월 16일, 23일과 30일 7일 간격으로 처리하였다.
병반의 형성 정도에 따라 발병도를 0에서 5까지 부여하였으며, 0은 전혀 감염되지 않은 경우, 1은 경엽에 흰가루병병반이 1-571 2는 흰가루병 병반이 6~10?1 3은 흰가루병 병반이 11~15개, 4는 흰가루병 병반이 16~29개, 5는 흰가루병 병반이 30개 이상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흰가루병에 감염된 짚신나물의 잎을 상위에서 30개씩을 3회 반복하여 무처리와 난황유 1회 처리구, 2회 처리 구, 3회 처리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짚신나물 흰가루병 방제효과는 최종 처리 7일 후에 시작하여 7일 간격으로 처리 후 28일까지 조사하였다.
흰가루병에 감염된 짚신나물의 잎을 상위에서 30개씩을 3회 반복하여 무처리와 난황유 1회 처리구, 2회 처리 구, 3회 처리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짚신나물 흰가루병 방제효과는 최종 처리 7일 후에 시작하여 7일 간격으로 처리 후 28일까지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재배관리 및 흰가루병의 확인. 시험에 이용된 짚신나물은 2005년 전남 광양 백운산에서 채집하여 경상대학교 부속농장에 정식하여 2년간 증식한 후에 2006년 3월 22 일에 분주하여 재배하였다. 시험포장은 물빠짐이 극히 좋은 사양토이었으며, 관수는 정식 직후 7일간은 매일, 그 후부터 20일간은 5일 간격으로 행하였다.
요약
약용작물인 짚신나물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의 병원균은 Sphaerotheca aphanis이고, 장마 전 건조기인 5~6월과 8월 말에서 9월까지 2차례 발병하였다. 흰가루병은 잎, 줄기 및 종자 모두에서 관찰 되었다.
데이터처리
방제가 분석. 시험결과는 SAS(SAS Institute, Inc., 1989, Caiy, NC) program을 이용하여 분산분석과 처리 평균 간 비교를 위하여 LSD(P=0.05)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난황유 제조 및 처리. 난황유의 제조는 지 등(2008)의 방법에 의하여 식용유인 유채기름(카놀라유)을 계란노른자로 유화시켜 만들었다. 물 100ml에 계란노른자 1개를 넣고 혼합기로 2~3분간 혼합한 것에 식용유 60rW을 첨가하여 다시 5분 이상 충분히 혼합시킨 다음 식용유 대비 총량이 0.
성능/효과
7%의 방제 가를 나타내었다. 처리회수에 관계없이 처리 직후에는 흰가루병의 방제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1회 처리구에는 처리 7일 후에는 발병이 다시 증가하였던 반면, 2회 및 3 회 처리구에는 처리 후 28일까지도 발병이 억제 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짚신나물 흰가루병은 난황유를 7일 간격으로 2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제 방법이라 생각된다.
짚신나물 흰가루병의 병원균 S. aphanis는 세잎양지꽃 (PotuHilla freyliana)에서 관찰되는 발병 형 태(Shin과 La,1992)와 본 시험에서 관찰된 자낭구에 발달한 부속 사의 길이, well-cell의 크기, 부속사의 수를 비교분석한 결과기 주식물만 다른 동종의 병원균으로 확인되었다.
08 정도로 난황유의 처리 효과를 평가하기에 충분하였다. 난황유 처리에 인한 흰가루병의 방제 효과는 1회 처리구의 방제가가 26.9%에 불과하였으나 2회 및 3회 처리구에서는 각각 80.8%, 82.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짚신나물의 흰가루병 방제는 난황유룔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짚신나물은 약용, 녹즙, 청정채소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재배과정에서 발생하는 흰가루병은 화학적인 방법보다 친환경적 방법으로 방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시험결과로부터 짚신나물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농약에 의존하는 것보다는 발병초기 난황유를 7일 간격으로 2회 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제방법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0)
지형진, 류경열, 박종호, 최두희, 류갑희, 류재기, 신순선. 2008난황유와 공기 순환 팬의 상추 흰가루병 방제효과 및 생산 에 미치는 영향. 식물병연구 14: 51-56
이용호. 2001. 선학초(Agrimonia pilosa L.) 수집종의 유연관계 분석과 재배법 및 효능.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Murata, G. and Umemoto, K. 1983. Critical notes on the Asiatic Agrimoni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alcium oxalate crystals. Acta Phytotax. Geobot. 34: 166-177
Shin, H. D. 1994. Powdery mildew fungi and their host plants from Kangwon province. Kor. J. Mycol. 22: 229-246
Shin, H. D. 2000. Erysiphaceae of Korea. Nat. Inst. Agric. Sci. Tech., Suwon, Korea. p. 320
Shin, H. D. and La, Y. J. 1992. Addition to the new records of host plants of powdery mildews in Korea. Kor. J. Plant Pathol. 8: 57-60
Takeshi, K., Akihiro, M., Takuya, O., Kazumasa, M. and Masata, A. 2004. Suppressive effect of potassium silicate on powdery mildew of strawberry in hydroponics. J. Gen. Plant Pathol. 70: 207-21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