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문화적 압력과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성인여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o-cultural Pressur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n the Behavior of Women for Appearance Management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10, 2008년, pp.112 - 122  

김윤 (광주보건대학 피부미용과)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how internalization of ideal beauty stereotyp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by sociocultural pressure factors had an influence on body satisfaction and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achieve the p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문화적 압력. 대상화 및 미적 고정관념의 내면화가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모형에 제시된 연구가설을 유의수준 a = 0.
  • 본 연구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여러 사회문화적 압력 요인이 사회문화적으로 이상화된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의 내면화와 신체외모에 끊임없는 관심과 통제를 하고자 하는 대상화 변인에 의해 신체만족도 그리고 외모관리행동에 이르는 경로와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그림 1>.
  • 본 연구는 여러 사회문화적 압력 요인이 이상미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고정 관념화하고 스스로를 대상화함으로 자신의 신체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외모관리행동에 이르게 한다는 것을 공분산 구조분석을 이용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개인의 외모관리에 대한 사회 가치에 영향을 주는 사회 문화적 요인, 개 인적 특성변수와 신체만족도 등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사회적 영향력인 사회문화적 압력과 개인적 변수인 내면화 및 대상화가 개인의 신체 만족도에 영향을 주어 외모관리행동에 이르게 되는 경로와 과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신체만족도와 외모 관리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사회적 .

가설 설정

  • 가설 6. 대상화된 신체의식은 성인여성들의 신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대상화된 신체의식은 성인여성들의 외모 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사회문화적 압력은 성인여성들의 신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001). 이처럼 사회문화적 압력이 클수록 여성들의 미적 고정관념의 내면화가 높아진다는 가설 2의 결과는 여성을 대상으로 매체 및 사회문화적 압력에 의해 이상미에 대한사회 가치가 내면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할 것이다. 이는 여성을 대상으로 매체의 사회적 압력에 대한 지각과 외모의 내면화를 연구한 홍금희47)와 Stice와 Be arman48)의 연구와 일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Thompson J. K., Heinberg L. J., Altabe M. & Tantleff- Dunn S. (1999). Exciting beauty: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 of body image disturbance.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xii, 396 

  2. Fredrickson. B. L., & Roberts. T. A.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2), pp. 173-206 

  3. McKinley N. M., & Hyde J. (1996). Attitude toward social comparison as function of self-esteem: idealized appearance and body image.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27(4), pp. 379-405 

  4. Monro, F., & Huon, G. (2005). Media-portrayed idealized images, body shame, and appearance anxiety.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38(1), pp. 85-90 

  5. Saad, G. (2004). Applying evolutionary psychology in understanding the epresentation of women in advertisements. Psychology & Marketing, 21(8), pp. 593- 612 

  6. 박은아 (2000). 광고모델과 소비자의 신체이미지 차이 에 따른 광고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정진애 (2004). 광고모델 신체이미지 비교가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Stice E. (1994). Review of the evidence for a sociocultural model of bulimia nervosa and an exploration of the mechanism of act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4(7), pp. 633-661 

  9. Stice, E., & Bearman, S. K. (2001). Body-image and eating disturbances prospectively predict increases in d ex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girls: a growth curve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37(5), pp. 597-607 

  10. Blowers L. C., Loxton N. J., Grady-Flesser M. G., Occhipinti S., & Dawe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pressure to be thin and body dissatisfaction in preadolescent girls. Eating Behaviors, 4, pp. 229-44 

  11. Keery, H., Boutelle, K., Berg, P., & Thompson, J. K. (2005). The impact of appearance-related teasing by family members. Journal of Adolescnet Health, 37, pp. 120-127 

  12. 유일영, 이정렬, 임지영, 김순애, 김영옥, 장성옥, 장효순, 조갑출, 한금선, 함명수, 현명선 (1997). 학령기 비 만아동의 신체상 관련 요인 분석. 간호학탐구 6(2), pp. 91-121 

  13. 김경원, 이미정, 김정희, 심영현 (1998). 여대생들의 체 중조절 실태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영양학회지, 3(1), pp. 21-33 

  14. Keery, H., Berg, P., & Thompson, J. K. (2004). An evaluation of the tripartite influence model of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turbance with adolescent girls. Body Image, 1, pp. 237-251 

  15. 김연희, 홍양자 (1992). 여고생들의 체중조절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학회지, 9(2), pp. 64-71 

  16. 심정은, 고애란 (1997).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 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 (8), pp. 1334-1345 

  17. 조선일보 (2004.8.28). "대박! 길은 있다" 6인의 성공 스토리 

  18. 신효정 (2002). 현대여성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질 적 연구-화장, 헤어스타일, 신체이미지, 성형수술, 의 복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은주 (2001).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윤정 (2004). 신체 통제에 대한 신념이 외모 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 미국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7), pp. 974-982 

  21. Morry, M. M., & Staska, S. L. (2001). Magazine exposure: internalization, self-objectification, eating attitudes, and body satisfaction i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33(4), pp. 269-279 

  22. McKinley, N. M. (1998). Gender differences in undergraduates' body esteem: the mediating effe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ctual/ideal weight discrepancy. Sex Roles: A Journal of Research 

  23. Noll, S., & Fredrickson, B. (1998). A mediational model linking self-objectification, body shame, and disordered eat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2, pp. 623-636 

  24. 박은아 (2003). 신체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과 미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2(2), pp. 35-56 

  25. Calogero, R. M. (2005). The role of self-objectification in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eating disorders. Sex Roles: A Journal of Research 

  26. 성영신 (1999). 광고에 나타난 신체가치관 연구. 광고연구, 43, pp. 29-55 

  27. 임인숙 (2002). 한국사회의 몸 프로젝트 -미용성형 산 업의 팽창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6(3), pp. 183- 204 

  28. 박은아 (2002). 한.미 광고의 메시지 비교분석 -뷰티 제품 잡지광고를 대상으로. 광고연구, 56, pp. 29-51 

  29. Stice, E. (2001). A prospective test of the dual-pathway model of bulimic pathology: mediating effects of dieting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0(1), pp. 124-135 

  30. Cash, T. F. (1990). The multidiment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aire. Unpublished manuscript and software 

  31. Oh, K. Y. (1999).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among older married dyads: factors influencing body image in the aging process. Ph. D dissertation, Iowa State University 

  32. 김선희 (2003).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외모 관리행동에 대한 연구-20대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5), pp. 99-108 

  33. 정명선 (2003). 성인 여성의 신체적 매력성 자아지각 이 자존심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3 (3), pp. 165-179 

  34. 홍금희 (2006).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 가 신체이미지와 신체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1), pp. 48-54 

  35. 김재숙, 이미숙 (2001).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5), pp. 957-968 

  36. 고석주, 정진경 (1992). 외모와 억압-문화적 관념의 내 면화가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학, 8, pp. 33-75 

  37. 조선명, 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 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청 소년기 여학생의 연령 집단별 차이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5(7), pp. 1227-1238 

  38. McConnell, C. A. (2000). An object to her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girls and their bodie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39. 이부희, 고애란, 김양진 (1996). 남녀 중.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5), pp. 131-144 

  40. 신수래, 류숙희 (2005).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에 따 른 패션 트렌드 수용도. 복식문화연구, 13(2), pp. 280- 2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