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 여대생의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9 no.1, 2017년, pp.147 - 162  

이미숙 (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  전지현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to analysis the differences on this two variabl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e subjects were 700 Korean and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method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중국의 20대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을 조사한 연구는 부족하며, 또한 한국과 중국 여대생들의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여대생과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을 알아보고 두 소비자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 국내의 외모관련 기업들이 한국과 중국 소비자 각각의 욕구와 필요에 부합하는 상품기획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의 소비자 특성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각각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20대 소비자의 외모관련 소비자특성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 여대생과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을 알아보고 두 소비자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을 알아보고 두 소비자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의 20대 소비자의 특징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현재 중국 사회의 20대에 해당하는 90년생(지우링허우 세대)은 약 1억 4천만 명으로, 이들은 부모와 양가 조부모들의 극진한 보살핌 속에서 자라난 일명 ‘소황제’로 불리는 대표적인 세대이다. 중국의 20대 소비자의 특징을 살펴보면, 이들은 철저히 개인주의적이고 트렌드를 창조하는 세대로, 높은 학력을 자랑하며 글로벌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습득하고 트렌드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지닌다. 또한 가정환경이 부유하고 자신의 행복과 만족을 위한 소비에 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삼성디자인넷, 2016.
객체화 신체의식이란 무엇인가? 객체화 신체의식은 자신의 신체를 감시하고 평가함으로써, 자신을 전인격적 주체의 일부로 보기보다는 관찰하고 이용할 객체로 간주하는 것을 말하는데, 여러 선행연구에서 외모관리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제시되고 있다(전정혜, 유태순, 2011; Kretchmar, 2001; Mackinley & Hyde, 1996; Noll & Fredrickson, 1998). 여성들의 객체화 신체의식 수준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의 소비시장에서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는 어떠한가? 7배 증가하면서, 2015년 중국의 소비판매액은 30조 931억 위안을 기록하였다(KOTRA, 2016). 2015년 Euromonitor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화장품 시장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제품은 전년 대비 각 6.7%와 10.9%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의류 판매액도 빠르게 급증하여 2019년에는 약 3,300억 달러 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큰 어패럴 마켓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삼성디자인넷,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완석. (2007). 전반적 신체존중감 척도(KOBES): 개발 및 성차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231-253. 

  2. 김완석, 유연재. (2012). 한국 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일본, 중국과의 비교를 토대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2), 301-327. 

  3. 김완석, 유연재, 박은아. (2007).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2), 329-349. 

  4. 김완석, 박은아, Takemoto. T. (2009). 객체화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 자기해석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 23-46. 

  5. 김완석, 김정식. (2007). 동아시아 여대생들의 신체가치관과 신체존중감: 한국, 중국, 일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4), 113-134. 

  6. 김윤. (2007). 사회문화적 압력, 미적 고정관념의 내면화 및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신체만족과 외모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주현. (2010).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 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서란숙. (2012).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과 외모의 중요성이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미용학회지, 18(1), 180-186. 

  9. 안나영. (200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태도와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왕야, 김용숙. (2007). 중국 여대생의 외모관리 특성과 의복구매행동.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45-157. 

  11. 어느새 10조원...K뷰티 열풍, 화장발이 아니었다. (2016. 6. 9).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17. 1. 9. 자료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09/20 160609 00356.html. 

  12. 윤성욱, 황경미. (2006). 종업원의 매력성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 중국, 일본 비교 연구. 경영교육논총, 42, 295-315. 

  13. 이경숙. (2007). 성인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추구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욱연. (2016). 이만큼 가까운 중국. 경기도: 창비출판사. 

  15. 이종한, 박은아, 김은희. (2007). 행복의 조건에 대한 내-외요인 중요도와 자기존중감 및 낙관주의 관계: 초, 중, 대학생의 비교. 한국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0. 

  16. 이주영. (2012). 여대생의 외모만족과 BMI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8(3), 651-660. 

  17. 이주영. (2011). 여대생의 체중 조절행동과 신체 태도 및 비만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7(3), 461-467. 

  18. 임보형. (2009).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객체화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전경란, 이명희. (2002). 여성의 욕구, 자아존중감과 성형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2(6), 71-83. 

  20. 전현진, 정명선. (2011).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신체 존중감이 체중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9(6), 1272-1287. 

  21. 전정혜, 유태순. (2011). 공적자기의식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이미지 관리행동에 미치는 인과관계. 한국의류학회지, 35(11), 1333-1345. 

  22. 조혜란, 최종명. (2007). 대학생의 성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외모향상행동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825-835. 

  23. 척립. (2004). 중국 신세대 남녀의 외모관리행동 분석. 경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홍금희. (2011). 여대생의 신체수치심과 외모변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 중국과 독일의 비교.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4), 523-530. 

  25. 홍금희. (2010). 공적 자기의식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이상적 외모태도와 신체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10), 1731-1741. 

  26. China's Cosmetics Market 2015. (2016. 9. 28.).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6. 10. 7. 자료출처, http://168.188.11.31/3f57cf4/Lib_Proxy_Url/www.samsungdesign.net /ChinaInfo/IssueReport/content.asp?an40279&glChkG&block0&page1&cnt9. 

  27. KOTRA. (2016. 12). 수출확대를 위한 국가별 경제협력방안 수립: 중국. KOTRA 심층보고서. 자료검색일. 2017. 1. 10. 자료출처, http://news.kotra.or.kr/user/reports /kotranews/20/usrReportsView.do?page1. 

  28. P형 소비자, 가치와 이슈를 쫓는 소비 트렌드. (2014. 11. 24).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6. 10. 7. 자료출처, http://168.188.11.31/3f57cf4/_Lib_Proxy_Url/www.sa msungdesign.net/Fashion/Report. 

  29. 20대 소비기준은 오로지 '내 만족'. (2017. 2. 8). 대학내일 20대연구소. 자료검색일 2017 2. 20. 자료출처, https://20slab.naeilshot.co.kr/arch ives/18918. 

  30.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보고서. (2016. 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자료검색일. 2017. 1. 10. 자료출처, http://kto.visitkorea.or.kr/kor/notice/data/statis/tstatus/forstatus /board/view.kto?id426627&isNoticefalse&instanceId295&rnum1. 

  31. 2016 China Fashion Market. (2016. 7. 22).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6. 10. 7. 자료출처, http://168.188.11.31/3f57cf4/_Lib_Proxy_Url/www.samsungdesign.net/C hinaInfo/IssueReport/List.asp?An40251&glChkG&block0&page1&cnt9. 

  32. 2016 China Consumer Trend. (2016. 7. 22).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6. 10. 7. 자료출처, http://168.188.11.31/3f57cf4/_Lib_Proxy_Url/www.samsungdesign.net/C hinaInfo/IndustryWatch/Consumer/content.asp?an40252&glChkG&block0&page1&cnt9. 

  33. Calogero, R. M, Davis, W. N., & Thompson, J. K. (2005). The role of self-objectification in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eating disorders. Sex Roles, 53(1-2), 43-50. 

  34. Forbes, G. B., & Jung, J. (2008). Measures based on sociocultural theory and feminist theory as predictors of multidimensional measures of body dissatisfaction among Korean and U. S. college wome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7(1), 70-103. 

  35. Fredrickson, B. L., & Roberts, T. A.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2), 173-206. 

  36. Harrison, K., & Cantor, J.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xposure and eating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47, 40-67. 

  37.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38. Kretchmar, J. L. (2001).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college-age women of varying physical activity leve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North Carolina. 

  39. McConnell, C. A. (2001). An object to her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girls and their bod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40. McKinley, N. M., & Hide, J. S. (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2), 181-215. 

  41. Nisbett, R. E. (2003). The geography of though: how Asians and Westerns think differently... and why. (최인철 역). 김영사. 

  42. Noll, S. M., & Fredrickson, B. L. (1998). A mediational model linking self-objectification, body shame, and disordered eat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2(4), 623-636. 

  43. Sinclair, S. L. (2006). Object lesson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women.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8(1), 48-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