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 외모 관련 사진활동이 여성의 사회·심리적 외모 관련 태도, 신체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NS Appearance-Related Photo Activity on Women's Body Image and Self-Esteem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5, 2017년, pp.858 - 871  

이민선 (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이현화 (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purpor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NS appearance-related photo activity, body image and self-esteem among young women. Objectification Theory and Social Comparison Theory explain the process how young women's SNS appearance-related photo activity influence their b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NS 외모 관련 사진활동에 대한 측정도구는 국내 사용자의 SNS 활동에 관한 검증된 측정도구의 부재로 Meier and Gray(2014)가 제시한 Facebook 상에서의 외모 관련 사진활동에 관한 측정도구를 표적집단면접을 통해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SNS와 여성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Facebook을 포함하여 모든 프로필 기반 SNS를 사용하는 응답자를 대상으로하기 위해 Facebook에서만가능한 사진 관련 활동에 관한 문항들은 제거하거나 모든 SNS 사용자들이 응답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그 결과, 총 8문항을 본 조사에 사용하였다[예, 내 사진(얼굴 또는 상반신만 나온) 게시하기, 내 사진(몸 전체가나온) 게시하기,친구 또는 팔로워의 사진(얼굴 또는 몸이 나온) 보기, 친구가 올린 내 사진 보기, 내 사진(얼굴 또는 몸이 나온)에 달린 댓글 확인하기, 친구 또는 팔로워의 사진(얼굴 또는 몸이나온)에 댓글 달기, 내 사진(얼굴 또는 몸이 나온)의 좋아요 확인하기, 친구 또는 팔로워의 사진(얼굴 또는 몸이 나온)에 좋아요 누르기].
  • 본연구의결과는자기대상화이론과외모비교이론을종합적으로 적용한 Tylka and Sabik(2010)의 연구결과와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SNS 상의 외모 관련 사진활동이 궁극적으로 여성 사용자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힘으로서, 사용자의 건강한 신체이미지 확립을 위한 SNS의 중요성 인식과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고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 본 연구는 SNS 상에서의 외모 관련 사진활동이 많을수록 이상적인 외모에 대한 미디어의 압박을 크게 느끼게 되고,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외모를 대상화시키게 하며 타인과의 외모비교단계를 거쳐 결과적으로 여성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계를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대중매체를 통한 이상적인 외모에의 노출과 수용자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고찰한 연구들과 이러한 관계를 대상화이론과 사회비교이론으로 설명한 다수의 선행연구의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Slater & Tiggemann, 2014; Stice et al.
  • 최근 현대사회에서는 SNS가가장강력하고보편적인문화도구로 사용자의 생활 전반에 걸쳐 사회적 비교의 기준을 제시하며, 그들의 사고, 태도, 행동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우리 사회에서 SNS가 강력한파급효과를 가진 하나의 미디어로서 20대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인의 신체이미지는 그/그녀가 속해있는 사회와 문화에서 수용될 수 있는 이상적인 아름다움의 기준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미디어를 통해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수용자는 자신의 외모를 대상화시켜 바라보게 되며, 이상적인 신체 및 외모와 자신을 비교하게 되어 수용자의 신체이미지지각에 영향을 미친다(Slater & Tiggemann,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용자의 SNS 상의 외모 관련 사진활동이 여성의 사회 · 심리적인 외모 관련 태도, 신체 만족도,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대상화이론(Objectification Theory)과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을 바탕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경향은 결국 수용자의 신체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 대상화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을 바탕으로 설명되어지는 미디어와 사용과 신체이미지와의 관계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이론을 최근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SNS 미디어에 적용하여 SNS 상에서의 외모 관련 사진활동이 여성 사용자의 신체이미지 확립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는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자아존중감을 낮아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과정을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대상화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의 설명과 일치하는 것이며, 우리나라 20대 여성사용자의신체이미지인식에 있어 SNS의강력한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SNS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본 연구는 이 두 이론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이미지에 미칠 수 있는 SNS의 영향력을 고찰해 본다는 학문적 기여를 가질 것이다. 이를 통해, 최근 한국 사회에서의 SNS 영향력을 규명하고 올바른 SNS의 사용과 건강한 여성의 신체이미지 확립을 촉구하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목적을 갖는다.
  •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SNS의 사용과 외모 관련 행동 및 신체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한 각 나라별로 사용되는 SNS의 종류 및 콘텐츠가 다르다는 것을 감안하면, 국내 상황을 반영한연구가절실하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SNS 활동을 단순히 사용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닌, SNS 상에서의 활동 중 사용자의 신체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모 관련 사진활동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다른 사람과의 외모비교는 신체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외모에 대한 자기대상화는 신체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따라서 자기대상화 경향과 외모비교성향이 높을수록 여성의 신체만족도는 낮아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낮아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모에 대한 자기대상화와 타인과의 외모비교는 신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가설 5, 가설 6), 신체만족도는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가설 7) 다음의 가설을 제안한다.
  • 이상적인 신체이미지에의 노출이 많이 될수록 수용자는 사회적으로 아름답다고 받아들여지는 외모나 신체를 가져야 한다는 압박을 더 크게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자신의 외모나신체를타인의외모와비교하는경향이높아진다(Meier & Gray, 2014). 이에 본 연구는 SNS 상의 외모 관련 사진활동이 많을수록 외모에 대한 미디어의 압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을 설정하였다.
  • , 2013). 이에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미디어의 압박 수준은 외모에 대한 자기대상화와 다른 사람과의 외모비교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칠 것이라는 가설 2와 가설 3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대상화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여성을 외모 기준으로 판단하는 현대 사회의경향은외모나신체를대상화시키기때문에일어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자기대상화는 다른 사람과의 외모비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를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정의한 SNS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정의에 따르면 SNS는 인터넷 상에서의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서비스로(기존 인간관계의 강화 및 새로운 인맥의 형성) 미니홈피,블로그, 마이크로블로그, 프로필 기반 서비스, 커뮤니티 등을 포함한다(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as cited in Lee, 2014). 2016년 1월 기준, 실제 활성 사용자(Active User) 수에 따른 세계 SNS 순위(소셜 메신저 포함)는 Facebook을 선두로, WhatsApp, QQ, Facebook messenger, QZone 등이 뒤를 잇고 있으며, 국내 SNS인 LINE은 사용자 약 2.
프로필 기반 SNS의 대표적인 예시는? 프로필 기반 SNS는 사용자의 사진이나 관심사 등의 개인정보를 중심으로 다른 사용자와의 메시지, 댓글, 평가 등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SNS 유형으로 국내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다. 대표적으로 Facebook, Instagram,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밴드, 스타일쉐어, 텀블러 등이 있다(Lee, 2014). 한국미디어패널조사가매년실시하는 SNS 이용률 추이 및 현황조사보고서(소셜 메신저 제외; 동일표본추적조사, 응답자 10,172명)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약 40%(n=4,056)의 응답자가 프로필 기반 SNS를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2013년 조사에서 보여진 약 31%와 비교하여 약 9% 증가한 결과이다(Kim,2015).
대상화 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용자의 SNS 상의 외모 관련 사진활동이 여성의 사회 · 심리적인 외모 관련 태도, 신체 만족도,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대상화이론(Objectification Theory)과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을 바탕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대상화 이론과 사회비교이론은 미디어의 특성이 수용자의 신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해 빈번히 사용되는 사회심리이론이다(Melioli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hadzadeh, A. S., Sharif, S. P., & Ong, F. S. (2017). Self-schema and self-discrepancy mediate the influence of Instagram usage on body image satisfaction among yout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8, 8-16. doi:10.1016/j.chb.2016.11.011 

  2. Benas, J. S., Uhrlass, D. J., & Gibb, B. E. (2010). Body dissatisfaction and weight-related teasing: A model of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among women.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41(4), 352-356. doi:10.1016/j.jbtep.2010.03.006 

  3. Byrne, B. M. (20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4. Calogero, R. M., Davis, W. N., & Thompson, J. K. (2005). The role of self-objectification in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eating disorders. Sex Roles, 52(1/2), 43-50. doi:10.1007/s11199-005-1192-9 

  5. Cash, T. F. (2000). Body Image Assessments: MBSRQ. THOMAS F. CASH, PH.D. Body-Images. Retrieved March 2, 2016, from the author at http://www.body-images.com/assessments/mbsrq.html 

  6. de Vries, D. A., Peter, J., Nikken, P., & de Graaf, H. (2014).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site use on appearance investment and desire for cosmetic surgery among adolescent boys and girls. Sex Roles, 71(9/10), 283-295. doi:10.1007/s11199-014-0412-6 

  7. Fardouly, J., Diedrichs, P. C., Vartanian, L. R., & Halliwell, E. (2015). The mediating role of appearance comparis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and self-objectification in young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9(4), 447-457. doi:10.1177/0361684315581841 

  8. Fardouly, J., & Vartanian, L. R. (2015). Negative comparisons about one's appeara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book usage and body image concerns. Body Image, 12, 82-88. doi:10.1016/j.bodyim.2014.10.004 

  9.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2), 117-140. doi:10.1177/001872675400700202 

  10. Flynn, M. A. (2016). The effects of profile pictures and friends' comments on social network site users' body image and adherence to the norm.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9(4), 239-245. doi:10.1089/cyber.2015.0458 

  11.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doi:10.2307/3151312 

  12. Fredrickson, B. L., & Roberts, T. A. (1997).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2), 173-206. doi:10.1111/j.1471-6402.1997.tb00108.x 

  13. Gonzales, A. L., & Hancock, J. T. (2011). Mirror, mirror on my Facebook wall: Effects of exposure to Facebook on self-esteem.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1-2), 79-83. doi:10.1089/cyber.2009.0411 

  14. Guizzo, F., & Cadinu, M. (2017). Effects of objectifying gaze on female cognitive performance: The role of flow experience and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6(2), 281-292. doi:10.1111/bjso.12170 

  15. Han, M. (2000).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ccessings of thin promoting TV messages on college females' body satisfaction and die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4(3), 291-317. 

  16. Hesse-Biber, S., Leavy, P., Quinn, C. E., & Zoino, J. (2006). The mass marketing of disordered eating and eating disorders: The social psychology of women, thinness and culture.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29(2), 208-224. doi:10.1016/j.wsif.2006.03.007 

  17. Holland, G., & Tiggemann, M. (2016). A systematic review of the impact of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on body image and disordered eating outcomes. Body Image, 17, 100-110. doi:10.1016/j.bodyim.2016.02.008 

  18.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doi:10.1080/10705519909540118 

  19. Jang, S. C., & Song, M. H. (2004). Relationship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3), 115-133. 

  20. Kalpidou, M., Costin, D., & Morris, J.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book and the well-being of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4) 183-189. doi:10.1089/cyber.2010.0061 

  21. Kapidzic, S. (2013). Narcissism as a predictor of motivations behind Facebook profile picture selection.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6(1), 14-19. doi: 10.1089/cyber.2012.0143 

  22. Kim, J. S., & Lee, M. S. (2001). The effect of TV media on adolescent' body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5), 957-968. 

  23. Kim, S. Y., & Seo, Y. S. (2011). The relations of exposure to sexually objectifying media to disordered eating, learning flow, and performance anxiety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3(4), 1137-1160. 

  24. Kim, Y. H. (2015, March 25).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Developmental progress and patterns of SNS usage]. KISKI STAT Report, 15-03-02, 7-12. Retrieved March 5, 2016, from http://m.kisdi.re.kr/mobile/repo/stat_view.m?key113605 

  25. Lee, B. H. (2011). The effect of advertising women model in magazine on self-efficac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Studies of Korean Science, 37(1), 79-98. 

  26. Lee, E. J. (2010). Analysis of path model based on objectification theory for college women's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1), 78-86. doi:10.4069/kjwhn.2010.16.1.78 

  27. Lee, Y. H. (2014, September 16). 국내 SNS의 이용 현황과 주요 이슈 분석 [SNS usage and major issues analysis in Korea]. INTERNET & SECURITY FOCUS, August 2014, 56-78. Retrieved March 4, 2017, from https://www.kisa.or.kr/public/library/IS_View.jsp?modeview&p_No158&b_No158&d_No204&cPage1&STT&SVSNS 

  28. Mabe, A. G., Forney, K. J., & Keel, P. K. (2014). Do you "like" my photo? Facebook use maintains eating disorder risk.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7(5), 516-523. doi:10.1002/eat.22254 

  29. Mehdizadeh, S. (2010). Self-presentation 2.0: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4), 357-364. doi:10.1089/cyber.2009.0257 

  30. Meier, E. P., & Gray, J. (2014). Facebook photo activity associated with body image disturbance in adolescent girl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7(4), 199-206. doi:10.1089/cyber.2013.0305 

  31. Melioli, T., Rodgers, R. F., Rodrigues, M., & Chabrol, H. (2015). The role of body im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bulimic symptoms: Three theoretical framework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8(11), 682-686. doi:10.1089/cyber.2015.0154 

  32. Moradi, B. (2010). Addressing gender and cultural diversity in body image: Objectification theory as a framework for integrating theories and grounding research. Sex Roles, 63 (1-2), 138-148. doi:10.1007/s11199-010-9824-0 

  33. Moradi, B., & Huang, Y. P. (2008). Objectification theory and psychology of women: A decade of advances and future direction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2(4), 377-398. doi:10.1111/j.1471-6402.2008.00452.x 

  34. Myers, T. A., & Crowther, J. H. (2007). Sociocultural pressures, thin-ideal internalization, self-objectifica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Could feminist beliefs be a moderating factor? Body Image, 4(3), 296-308. doi:10.1016/j.bodyim.2007.04.001 

  35. Noll, S. M., & Fredrickson, B. L. (1998). A mediational model linking self-objectification, body shame, and disordered eat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2(4), 623-636. doi: 10.1111/j.1471-6402.1998.tb00181.x 

  36. Peter, J., Valkenburg, P. M., & Schouten, A. (2006). Characteristics and motives of adolescents talking with strangers on the Internet. Cyberpsychology & Behavior, 9(5), 526-530. doi:10.1089/cpb.2006.9.526 

  37.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 Rutledge, C. M., Gilmor, K. L., & Gillen, M. M. (2013). Does this profile picture make me look fat? Facebook and body image in college students. Psychology of Popular Media Culture, 2(4), 251-258. doi:10.1037/ppm0000011 

  39. Schaefer, L. M., Burke, N. L., Thompson, J. K., Dedric, R. F., Heinberg, L. J., Calogero, R. M., Bardone-Cone, A. M., Higgins, M. K., Frederick, D. A., Kelly, M., Anderson, D. A., Schaumberg, K., Nerini, A., Stefanile, C., Dittmar, H., Clark, E., Adams, Z., Macwana, S., Klump, K. L., Vercellone, A. C., Paxton, S. J., & Swami, V.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4 (SATAQ-4). Psychological Assessment, 27(1), 54-67. doi:110.1037/a0037917 

  40. Schaefer, L. M., & Thompson, J. K. (201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Scale-Revised (PACS-R). Eating Behaviors, 15(2), 209-217. doi:10.1016/j.eatbeh.2014.01.001 

  41. Slater, A., & Tiggemann, M. (2014). Media exposur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ppearance-related comments as predictors of female adolescents' self-objectific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9(3), 375-389. doi:10.1177/0361684314554606 

  42. Smock, A. D., Ellison, N. B., Lampe, C., & Wohn, D. Y. (2011). Facebook as a toolkit: A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to unbundling feature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6), 2322-2329. doi:10.1016/j.chb.2011.07.011 

  43. Statistic Brain Research Institute. (2015). Facebook Company Statistics. STATISTIC BRAIN. Retrieved March 1, 2016, from http://www.statisticbrain.com/facebook-statistics/ 

  44. Stefanone, M. A., Lackaff, D., & Rosen, D. (2011).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social-networking-site behavior.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1/2), 41-49. doi:10.1089/cyber.2010.0049 

  45. Stice, E., Spangler, D., & Agras, W. S. (2001). Exposure to media-portrayed thin-ideal images adversely affects vulnerable girls: A longitudinal experiment.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3), 270-288. doi:10.1521/jscp.20.3.270.22309 

  46. Sung, Y. S., Kim, M. N., Kim, B. K., & Park, B. K. (2007). A comparative study of realistic and idealized advertising: Focusing on social comparison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8(4), 311-334. 

  47. Thompson, J. K., Coovert, M., & Stormer, S. M. (1999). Body image, social comparison, and eating disturbance: A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6(1), 43-51. doi:10.1002/(SICI)1098-108X(199907)26:1 3.0.CO;2-R 

  48. Tiggemann, M., & Miller, J. (2010). The Internet and adolescent girls' weight satisfaction and drive for thinness. Sex Roles, 63(1-2), 79-90. doi:10.1007/s11199-010-9789-z 

  49. Tylka, T. L., & Sabik, N. J. (2010). Integrating social comparison theory and self-esteem within objectification theory to predict women's disordered eating. Sex Roles, 63(1-2), 18-31. doi:10.1007/s11199-010-9785-3 

  50. University of Haifa. (2011, February 7). Facebook users more prone to developing eating disorders, study finds. Science-Daily. Retrieved February 27, 2015, from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11/02/110207091754.htm 

  51. van den Berg, P., Paxton, S. J., Keery, H., Wall, M., Guo, J., & Neumark-Sztainer, D. (2007).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comparison with media images in males and females. Body Image, 4(3), 257-268. doi:10.1016/j.bodyim.2007.04.003 

  52. van den Berg, P., Thompson, J. K., Obremski-Brandon, K., & Coovert, M. (2002). The tripartite influence model of body image and eating disturbance: A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vestigation testing the mediational role of appearance comparis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3 (5), 1007-1020. doi:10.1016/S0022-3999(02)00499-3 

  53. Vandenbosch, L., & Eggermont, S. (2012). Understanding sexual objectification: A comprehensive approach toward media exposure and girls' internalization of beauty ideals, selfobjectification, and body surveillance. Journal of Communication, 62(5), 869-887. doi:10.1111/j.1460-2466.2012.01667.x 

  54. Wang, S. S., Moon, S. I., Kwon, K. H., Evans, C. A., & Stefanone, M. A. (2010). Face-off: Implications of visual cues on initiating friendship on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2), 226-234. doi:10.1016/j.chb.2009.10.001 

  55. We Are Social. (2016, January 27). Digital in 2016. We Are Social. Retrieved February 25, 2016, from http://wearesocial.com/special-reports/digital-in-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