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이용한 재두루미의 한강 하구 서식지 이용에 대한 공간 분석
Spatial Analysis of White-naped Crane(Grus vipio) Habitats in the Han-River Estuary with GIS application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0 no.2, 2008년, pp.173 - 178  

김성옥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멸종위기종 재두루미의 월동서식지인 한강하구역의 서식지 이용을 분석하였다. 한강하구역의 재두루미 서식지 이용경향을 검정하기위해 인공위성 추적(satellite tracking method)으로 구한 재두루미의 위치포인트(n=228)를 중심으로 반경 100 m, 200 m, 500 m 및 1 km의 버퍼를 설정하고 대분류 토지피복도의 7개의 서식지 항목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식지이용에 대한 분석을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 500 m버퍼까지는 서식지의 선택적 이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반경 1 km버퍼의 경우 서식지의 선택성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bitat composition in the Han-river estuary, where white-naped crane(Grus vipio; endangered migrating bird) spend winter, was analysed by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nd the habitat use pattern of white-naped crane collected by satellite tracking method was analysed. The % compos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 를 사용하여 GIS분석을 하였다. 재두루미의 위치자료(GPS, WGS84좌표체계)를 "ArcMap"에서 우리나라 중부원점 TM좌표로 변환한 후 토지 피복도 레스터파일과 대조하여 재두루미의 위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각각 반경 100 m, 200 m, 500 m 및 1 km의 버퍼를 설정하였다. 또한 토지 피복 도의 레스터파일을 공간 데이터 유형을 바꾸고 토지 피복 도의 속성테이블을 통하여 토지항목별로 중첩된 재두루미의 위치포인트 수와 서식지 항목별 면적을 구하였다.
  • 서식지 선호도는 재두루미의 GPS위치자료와 동일한 개수로 연구지역 내에 설정한 랜덤포인트를 비교분석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재두루미 위치데이터는 주간(06:00-18:00) 과 야간(18:00-06:00)으로 나누어 각각 시간대별 재두루미 서식지 이용경향을 분석하였다. 재두루미의 서식지 이용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재두루미 위치포인트와 랜덤포인트를 가지고 토지 피복 도를 바탕으로 하여 분석된 결과를 카이제곱검정 (김우갑과 김관선, 1997; Zar, 1999)으로 검정하였다.
  • 재두루미의 위치자료(GPS, WGS84좌표체계)를 "ArcMap"에서 우리나라 중부원점 TM좌표로 변환한 후 토지 피복도 레스터파일과 대조하여 재두루미의 위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각각 반경 100 m, 200 m, 500 m 및 1 km의 버퍼를 설정하였다. 또한 토지 피복 도의 레스터파일을 공간 데이터 유형을 바꾸고 토지 피복 도의 속성테이블을 통하여 토지항목별로 중첩된 재두루미의 위치포인트 수와 서식지 항목별 면적을 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추적으로 구한 재두루미의 위치자료를 GIS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재두루미가 이동하는 주요지점을 파악하고 그 지점에서 서식지 종류에 따라 재두루미의 서식지 이용 경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버퍼의 크기를 변화 시켜 분석함으로써(Baker et al, 1995) DMZ를 포함한 한강하구역의 생태적 특성과 공간분석의 크기(scale)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 2 프로그램에서 TM좌표로 변환하여 한반도 내의 재두루미의 위치를 파악한 후 이 위치포인트를 환경부에서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제작한 대 분류 토지 피복도(환경부, 1999; 환경부, 2002)와 중첩시켜 7항목의 서식지(시가화/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수역)에 대하여 이용 경향을 분석하였다. 서식지 선호도는 재두루미의 GPS위치자료와 동일한 개수로 연구지역 내에 설정한 랜덤포인트를 비교분석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재두루미 위치데이터는 주간(06:00-18:00) 과 야간(18:00-06:00)으로 나누어 각각 시간대별 재두루미 서식지 이용경향을 분석하였다.
  • 수집된 위치정보는 ArcView 9.2 프로그램에서 TM좌표로 변환하여 한반도 내의 재두루미의 위치를 파악한 후 이 위치포인트를 환경부에서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제작한 대 분류 토지 피복도(환경부, 1999; 환경부, 2002)와 중첩시켜 7항목의 서식지(시가화/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수역)에 대하여 이용 경향을 분석하였다. 서식지 선호도는 재두루미의 GPS위치자료와 동일한 개수로 연구지역 내에 설정한 랜덤포인트를 비교분석하여 파악하였다.
  • 이렇게 버퍼크기가 X2-검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한강하구역 내에서 일반적인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강하구역 내에 무작위로 재두루미의 위치포인트(random point)를 설정한 후 버퍼 크기를 달리하여 X2-검정을 실시하고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검정결과 재두루미의 위치포인트 경우와는 달리 랜덤포인트의 경우에는 버퍼크기에 상관없이 모두 p >0.
  • 재두루미의 위치데이터 (n=228) 를 환경부에서 설정한 대분류 토지피복도의 7개 항목(시가화/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수역)의 서식지로 나누어 그 빈도와 백분율을 나타내었다(Table 1). 재두루미는 토지피복도의 7개 항목 서식지 중 어느 서식지도 배척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 받는다. 즉, 대상동물에게 송신기를 부착시켜 거기서 나오는 전파를 인공위성으로 포착하여 추적하는 방법으로 GPS자료를 획득하였다.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한강하구역의 재두루미 서식지를 확인하고 버퍼크기를 달리하여 서식지 이용경향을 분석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분석하였다. 특히 버퍼의 크기를 변화 시켜 분석함으로써(Baker et al, 1995) DMZ를 포함한 한강하구역의 생태적 특성과 공간분석의 크기(scale)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 이 연구에서 사용된 GPS 자료는 각각 1993년 3월 초에서 4월말, 10월 말부터 11월 말까지 하루에 1-4번 수집되었으며 재두루미 위치 포인트는 총 228개이다.
  • 산포되었다. 이들 지점을 중심으로 각각 반경 100 m, 200 m, 500 m 및 1 km로 버퍼를 설정하였다. 각각의 버퍼는 재두루미의 지상에서의 서식지를 이용하는데 기준점으로 사용되었다.
  • 일본 큐우슈우 이즈미지방에서 각각 다른 집단에서 추출한 4마리(Higuchi et al, 1996)의 재두루미 등에 장착한 송신장치(PTT: platform transmitter terminals, 모델명 T-2050) 로부터위치정보자료를 받는다. 즉, 대상동물에게 송신기를 부착시켜 거기서 나오는 전파를 인공위성으로 포착하여 추적하는 방법으로 GPS자료를 획득하였다.
  • 재두루미의 위치포인트를 중심으로 설정한 버퍼 228개의 총 면적 내 토지피복도의 7개 항목서식지 면적 분율을 각각 100 m, 200 m, 500 m 및 1 km 버퍼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Table 2). 또 광역의 한강하구역 내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위치(random point)를 중심으로 한 버퍼 228개의 총 면적 내 토지피복도의 7개항목 면적 분율도 따로 나타내었다(Table 1).

데이터처리

  • 상용 프로그램인 ArcView 9.2(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ESRI Korea, Inc.) 를 사용하여 GIS분석을 하였다. 재두루미의 위치자료(GPS, WGS84좌표체계)를 "ArcMap"에서 우리나라 중부원점 TM좌표로 변환한 후 토지 피복도 레스터파일과 대조하여 재두루미의 위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각각 반경 100 m, 200 m, 500 m 및 1 km의 버퍼를 설정하였다.
  • 재두루미 위치포인트 주위에 설정한 버퍼 전체로 형성된 지역 내에서 재두루미의 서식지 이용 경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버퍼지역 내 7개 항목 서식지 면적 분율에 비례하는 예상 빈도를 설정하고 X, -검정을 실시하였다(Table 2). 버퍼크기 100 m, 200 m 및 500 m 각각의 경우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
  • 또한 재두루미 위치데이터는 주간(06:00-18:00) 과 야간(18:00-06:00)으로 나누어 각각 시간대별 재두루미 서식지 이용경향을 분석하였다. 재두루미의 서식지 이용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재두루미 위치포인트와 랜덤포인트를 가지고 토지 피복 도를 바탕으로 하여 분석된 결과를 카이제곱검정 (김우갑과 김관선, 1997; Zar, 1999)으로 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