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서식밀도모델
Distribution Model of the Wintering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 Cheorwon,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no.4, 2014년, pp.282 - 291  

유승화 (국립생태원) ,  이기섭 (한국물새네트워크) ,  김화정 (국립생물자원관) ,  허위행 (국립생물자원관) ,  김진한 (국립생물자원관) ,  박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개체군 및 서식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자연적 요인과 함께, 인간에 의한 직 간접적인 교란의 영향에 의한 서식분포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강원도 철원군의 민간인통제지역이며,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1월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분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는 거주지, 군사시설, 통행량이 빈번한 도로와 가까울수록 서식밀도가 감소하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서식밀도는 증가하였다. 통행량이 적은 도로, 잠자리와의 거리 및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는 민간인통제지역 외부보다 내부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요인을 이용해 단계적 진입을 통한 회귀분석의 결과, 두루미는 $3.4{\times}$AV_FE (이용이 가능한 농경지의 면적 ha)+$1.27{\times}$N_RES (거주지와의 거리 km)-$0.54{\times}$CCZ_0 (민통선 내:0-외:1)+$0.4{\times}$N_HTR (통행량이 많은 도로와의 거리)-1.40이었다. 재두루미는 $9.0{\times}$AV_FE-$5.47{\times}$N_LTR (통행량이 낮은 도로와의 거리 km)+$0.49{\times}$N_Lake (저수지와의 거리 km)+1.02이었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공통적으로 이용 가능한 농경지의 면적이 중요하였고, 두루미에서는 거주지와의 거리 및 통행량이 많은 도로와의 거리가, 재두루미에서는 통행량이 낮은 도로와의 거리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종 모두에서 모델에 의한 추정값과 실제 분포를 이용한 밀도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distribution model of the Red-crowned Crane and the White-naped Crane according to the anthropogenic and natur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crane in Cheorwon, Korea.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pact power and its range of the indirect anthropogenic influ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개체군 및 서식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자연적 요인과 함께, 인간에 의한 직 ∙ 간접적인 교란의 영향에 의한 서식분포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강원도 철원군의 민간인통제 지역이며,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1월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분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분포가 인위적 요인 및 자연적 요인에 의하여 결정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특히, 도로 및 건물 등의 인간에 의한 교란요인으로 판단하고 이들에 의해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분포가 인위적 요인 및 자연적 요인에 의하여 결정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특히, 도로 및 건물 등의 인간에 의한 교란요인으로 판단하고 이들에 의해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위와 같은 인위적 교란요인과 자연적 요인들의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통해 서식밀도 모델을 만들고, 주요 서식요인을 밝히려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루미류의 서식개체수가 크게 감소한 원인은? , 2011). 우리나라에서는 다수의 대형 조류가 멸종위기에 처해있으며 그 중 두루미류는 인간에 의한 지나친 남획, 중독 그리고 서식지의 감소로 인하여 서식개체수가 크게 감소하였다(Won, 1980). 분포지역 또한 원서식지의 상실에 따라 교란이 낮은 지역으로 분산되거나 서식지가 사라지기도 하였다(Lee, 2009).
두루미류 분포지역의 문제점은? 우리나라에서는 다수의 대형 조류가 멸종위기에 처해있으며 그 중 두루미류는 인간에 의한 지나친 남획, 중독 그리고 서식지의 감소로 인하여 서식개체수가 크게 감소하였다(Won, 1980). 분포지역 또한 원서식지의 상실에 따라 교란이 낮은 지역으로 분산되거나 서식지가 사라지기도 하였다(Lee, 2009).
환경요인에 의한 종의 분포 및 영향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환경요인에 의한 종의 분포 및 영향에 대한 연구는 서식모델로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서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출할 수 있다(Miller et al., 2004; Se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auju, M.B. and M. New. 2006. Ensemble forecasting of species distribution.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2(1): 42-47. 

  2. Austin, J.E. and A.L. Richert. 2001. A Comprehensive review of observational and site evaluation data of migrant Whooping Cranes in the United States, 1943-1999. US Geological Survey, Northern Prairie Wildlife Research Center, Jamestown, ND, USA, 157pp. 

  3. Barnosky, A.D., N. Matzke, S. Tomiya, G.O.U. Wogan, B. Swartz, T.B. Quental, C. Marshall, J.L. McGuire, E.L. Lindsey, K.C. Maguire, B. Mersey and E.A. Ferrer. 2011. Has the Earth's sixth mass extinction already arrived? Nature 471: 51-57. 

  4. Benitez-Lopez, A., R. Alkemade and P. Verweij. 2010. The impacts of roads and other infrastructure on mammal and bird population: A meta-analysis. Biological Conservation 143: 1307-1316. 

  5. Bibbly, C.J., N.D. Burgess and D.A. Hill 1997. Bird census technique. Academic Press, London, U.K., 257pp. 

  6. Gaudie, A. 2006. The Human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3rd eds). Blackwell Publiching Ltd, Oxford. 

  7. Herr, A.M. and L.P. Queen 1993. Crane habitat evalu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59(10): 1531-1538. 

  8. http://www.npwrc.usgs.gov/resource/2003/wcdata/wcdata.htm 

  9. Kim, J.Y., C.W. Seo, H.S. Kwon, J.E. Ryu and M.J. Kim. 2012.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4): 593-6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won, H.S., J.E. Ryu, C.W. Seo, J.Y. Kim, D.O. Lim and M.H. Suh. 2012. A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coreana using SDM.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5): 735-7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D.K. and W.K. Song. 2008. A study on the analytic unit of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and selection in conservation areas for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Focus on chungcheong province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64-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K.S. 2009. Wintering status of Red-crowned Crane wintering population increase and conservation in Korea. p. 12-19. In: Toward the future: the Red-crowned Crane and People (Koga, K., D. Hu and K. Momose, eds.). Tancho Protection Group, Hokkaido, Japan. 

  13. MEA;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Biodiversity Synthesis. Island Press, Washington, DC. 

  14. Miller, J.R., M.G. Turner, E.A.H. Smithwick, C.L. Dent and E.H. Stanley. 2004. Spatial Extrapolation: The Science of Predicting Ecological Patterns and Processes. BioScience 54(4): 310-320. 

  15. Pae, S.H. 1994. Wintering ecology of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and White-naped Crane Grus vipio in Cholwon basin, Korea. M. Sc. Thesis, Kyung Hee University. 43p. 

  16. Pae, S.H. 2000. A study on habitat use of wintering cranes in DMZ, Korea: with carrying capac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using GIS. Dissertation of the Kyung Hee University. 7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imm, S.L., G.H. Russell, J.H. Gittleman and T.M. Brooks. 1995. The future of biodiversity. Science 269: 347-350. 

  18. Sala, O.E., F.S. Chapin III, J.J. Armesto, E. Berlow, J. Bloomfield, R. Dirzo, E. Huber-Sanwald, L.F. Huenneke, R.B. Jackson, A. Kinzig, R. Leemans, D.M. Lodge, H.A. Mooney, M. Oesterheld, N.L. Poff, M.T. Sykes, B.H. Walker, M. Walker, D.H. Wall. 2000. Global biodiversity scenarios for the year 2100. Science 87: 1770-1774. 

  19. Seo, C.W., T.Y. Choi, Y.S. Choi and D.Y. Kim. 2008. A study on wildlife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for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3): 28-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palding, D.W. and G.L. Krapu. 1994. Communal roosting and foraging behavior of staging Sandhill Cranes. Wilson Bulletin 106(1): 62-77. 

  21. Steadman, D.W. and P.S. Martin 2003. The late quaternary extinction and future resurrection of birds on Pacific islands. Earth-Science Reviews 61: 133-147. 

  22. Thorn, J.S., V. Nijman, D. Smith and K. A.I. Nekaris 2009. Ecological niche modelling as a technique for assessing threats and setting conservation priorities for Asian slow lorises (Primates: Nycticebu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5(2): 289-298. 

  23. Vitousek, P.M. 1994. Beyond global warming: ecology and global change. Ecology 75: 3-15. 

  24. Won, P.O. 1980. Present status of the cranes wintering Korea and their conservation. Theses Collection, Kyung Hee University 10: 413-421. 

  25. Wong, D.W and J. Lee. 2005. Statistical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with ArcView GIS and ArcGIS.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USA, 441p. 

  26. Yoo, S.H. 2004. Som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Grus japonensis and Grus vipio behavioral aspects of family group. Ms. Thesis of Kyung Hee University, 11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oo, S.H., H.S. Kwon, J.J. Park and C.H. Park. 2011. Spatial distribution of feeding si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Roosting Site, road and residence) of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4): 516-5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Yoo, S.H., K.S. Lee and J.C. Yoo. 2007. Reaction to the vehicle and trade off between vehicular interruption and food resources of cranes: focused on the wintering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6): 526-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Yoo, S.H., I.K. Kim, T.H. Kang, H.J. Cho, S.W. Lee and H.S. Lee. 2008. Wintering Bird Community in Cheonsu Bay and the Relationship with Food Resourc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3): 301-3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Yoo, S.H., K.S. Lee, I.K. Kim, T.H. Kang and H.S. Lee. 2009. Research on the size, formation and tendency to evade the road of the feeding flocks of crane species: centering on the effect of road versus traffic condi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 4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