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약학회지 = Yakhak hoeji, v.52 no.6, 2008년, pp.480 - 487
김진영 (대검찰청 마약감식실) , 정재철 (대검찰청 마약감식실) , 서승일 (대검찰청 마약감식실) , 서용준 (대검찰청 마약감식실) , 이정직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품질경영부) , 김종상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품질경영부) , 인문교 (대검찰청 마약감식실)
We described an estim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in quantitative analysis of 11-nor-9-carbox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대마란 무엇인가? | 대마(Cannabis sativa L.)는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 다음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남용되는 마약류이다.1) 흔히 대마의 환각효과 때문에 하이(high), 해피스모크(happy smoke)로 불리기도 하고,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풀, 떨 등으로 불린다. | |
대마꽃에서 나오는 수지를 추출해 가루로 만든 것은 무엇인가? | 대마는 영어로 헴프(hemp)이지만 말아 피우면 마리화나(marijuana)가 된다. 꽃에서 나오는 수지를 추출해 가루로 만든 것은 해시시(hashishi)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중반 주한미군 등을 통해 알려져 1970년대 초 젊은 층에 크게 확산되다가 1975년 강력한 단속으로 급속히 감소하였다. | |
대마의 이명으로는 무엇이 있나? | )는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 다음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남용되는 마약류이다.1) 흔히 대마의 환각효과 때문에 하이(high), 해피스모크(happy smoke)로 불리기도 하고,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풀, 떨 등으로 불린다. 대마는 영어로 헴프(hemp)이지만 말아 피우면 마리화나(marijuana)가 된다. |
대검찰청 : 2007 마약류범죄백서. 대검찰청 마약.조직범죄부, p. 16 (2008)
Wall, M. E., Brine, D. R., Brine, G. A., Pitt, C. G., Freudenthal, R. I. and Christensen, H. D. : Isolation,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of several metabolites of delta-9-tetrahydrocannabinol. J. Am. Chem. Soc. 92(11), 3466 (1970)
Agurell, S., Nilsson, I. M. and Widman, M. : In Marihuana Chemistry, Biochemistry and Cellular Effects, Nahas, G. (ed.). Springer-Verlag: New York, p. 141 (1976)
U.S. Department of Heath and Human Servies : NIDA Research Monograph 42,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Rockville, MD, USA, p. 43 (1982)
Mason, A. P. and McBay A. J. : Cannabis: pharmacology and interpretation of effects. J. Forensic Sci. 30(3), 615 (1985)
Vandevenne, M., Vandenbussche, H. and Verstraete, A. : Detection time of drugs of abuse in urine. Acta Clin. Belg. 55(6), 323 (2000)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GUM). ISO/IEC Guide 98 (1995)
EURACHEM/CITAC : Quantifying Uncertainty in Analytical Measurement 2nd ed., EURACHEM/CITAC Guide CG 4 (2000)
우진춘 : 측정 및 분석 결과의 불확도(II) -국제 규범(GUM)에 맞는 불확도 산출 및 표현. 한국분석과학회지 13(3), 49A (2000)
Sin, Della W. M., Wong, Y. C., Mak, C. Y., Sze, S. T. and Yao, W. Y. : Determination of five phenolic antioxidants in edible oils: Method validation and estim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J. Food Compos. Anal. 19, 784 (2006)
문수정, 김병훈, 우진춘, 장윤석 : 혈액 시료 중 다이옥신의 농도 분석 결과에 대한 불확도 평가. 한국분석과학회지 16(6), 475 (2003)
김종상, 조남호 : 측정결과의 불확도산정을 위한 모델링과 불확도 전파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8(4), 167 (2002)
White, G. H. and Farrance, I. : Uncertainty of measurement in quantitative medical testing: A laboratory implementation guide. Clin. Biochem. Rev. 25(iv), 207 (2004)
정영해, 조지현, 황현식, 정은진 : SPSS 14.0 통계자료분석, 한국사회조사연구소, 광주 p. 219 (2008)
Harris, D. C. :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3rd ed.,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p. 63 (199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