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관계망의 조절효과 -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참여 남성의 아내를 중심으로 -
Impacts of Repeated Victimization from Domestic Violence on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Networks : Focusing on Wives Whose Husbands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Family Violence Perpetrator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6 no.8 = no.244, 2008년, pp.85 - 95  

김재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정윤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근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victimization of wives from repeated husband violence and how that affected their depression. It also explored whether social support networks can have moderating effects. Sixty-four wiv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group, 72.3% of whom had experienced repeated verbal vi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실상 교정 .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행위자의 재폭력을 감소하려는 것은 피해 여성과 자녀의 안전을 확보하고 가족기능을 회복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가정폭력행위자의 재폭력 행사 여부 뿐만 아니라 그것이 피해 여성과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요청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피해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은 구체적으로 남편이 가정폭력행위자 교정 .
  •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이전부터 형성되었던 피해여성의 비공식적 지지체계인 친구나 이웃 관계망, 종교적 관계망 및 프로그램 참여 이후 새롭게 구축된 전문가와의 관계망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내폭력 재피해 여성들의 심리적 건강과 역량강화를 위해서 실천적 개입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의 두 정의를 바탕으로 아내폭력을 결혼이나 동거관계 또는 배우자 관계에 있었던 남성이 여성에게 의도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상해를 입히는 행위로 정의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아내폭력 재피해란 가정폭력행위자 교정 .
  • 또한 아내폭력 재피해란 가정폭력행위자 교정 . 치료프로그램 참여 이후 남성이 아내에게 행사한 가정폭력으로 인해 여성이 경험한 피해로 개념을 조작화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다음의에서는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피해여성의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피해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내폭력 재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의 우울에 사회적 지지관계망이 어떠한 방향으로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여기서 아내폭력 재피해란 남편이 가정폭력행위자 교정 .
  • 본 연구는 그동안 탐색되지 않았던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 . 치료프로그램 참여 이후 시점에 발생한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 아내들이 남편으로부터 신체 폭력이나 성적 폭력을 재경험한 경우에는 항상 남편의 언어폭력이 수반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은 언어, 성적 폭력 없이 신체 폭력만을 재경험한 여성이나, 언어, 신체 폭력 없이 성적 폭력만을 재경험했다고 응답한 여성이 전혀 없다는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이다.

가설 설정

  • 둘째,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 . 치료프로그램 이후 피해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요청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광일(1989). 부부폭력의 임상실제. 정신건강연구, 제9집, 174-183 

  2. 김재엽(2007). 한국의 가정폭력. 서울: 학지사 

  3. 여성부(2008). 전국가정폭력 실태조사 보고서 

  4. 채수진(1997). 아내구타 피해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2). 가정폭력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6. 홍창희, 박유숙(2001).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심리과학연구, 2(1), 1-20 

  7. Arias, I., Lyons, C. M., & Street, A. E.(1997). Individual and marital consequences of victimization: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efficacy and spouse support. Journal of Family Violence, 12(2), 193-210 

  8. Barnett, O. W.(2000). Why battered women do not leave, part 1: External inhibiting factors within society. Trauma, Violence, and Abuse, 1, 343-372 

  9. Beck, A.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10. Bogat, G. A., Leahy, K., von Eye, A., Maxwell, C., Levendosky, A. A., & Davidson, W. S.(2005). The influence of community violence on the functioning of women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6, 123-132 

  11. Bybee, D. I., & Sullivan, C. M.(2002). The process through which an advocacy intervention resulted in positive change for battered women over tim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0(1), 103-132 

  12. Campbell, J. C., Kub, J., Belknap, R. A., & Templin, T. N.(1997). Predictors of Depression in Battered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Vol. 3, No. 3, 271-293 

  13. Carlson, B. E., McNutt, L., Choi, D. Y., & Rose, I. M.(2002). Intimate partner abuse and mental health: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other protective factors. Violence Against Women. Special Issue: Health Care and Domestic Violence, 8(6), 720-745 

  14. Cohen, S., & Hoberman, J. M.(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 99-125 

  15. Cohen, S., & Wills, T. 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57 

  16. Flannery, R. B.(1990).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trauma: A methodological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3(4), 593-611 

  17. Golding, J. M.(1999). Intimate partner violence as a risk factor for mental disorders: A meta-analysis. Journal of Family Violence, 14, 99-132 

  18. Gondolf, E. W.(1999). A comparison of four batterer intervention system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4(1), 41-61 

  19. Holmes, T. H., & Rahe, R. H.(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arch, 11, 213-218 

  20. Kaslow, N. J., Thompson, M. P., Meadows, L. A., Jacobs, D., Gibb, B., Bornstein, H., et al.(1998). Factors that mediate and moderate the link between partner abuse and suicidal behavioral in African American wom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3), 533-540 

  21. Kimerling, R., Alvarez, J., Pavao, J., Kaminski. A., & Baumrind, N.(2007). Epidemiology and conse quences of women's revictimization. Women's Health Issues, 17, 101-106 

  22. Lee, J. H., Pomeroy, E. C., & Bohman, T. M.(2007).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psychological health in a sample of Asian and Caucasian women: The roles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Journal of Family Violence, 22, 709-720 

  23. Straus, M. A.(1979). Measuring int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s(CT) Sca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75-88 

  24. Straus, M. A., & Gelles, R. J.(1990).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New Brunswick(U.S.A.) and London(U.K.) 

  25. Weinberger, M., Tierney, W. M., Booher, P., & Hiner, S. L.(1990). Social support, stress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Social Science Medicine, 30(40), 503-508 

  26. White, N. E., Richter, J. M., & Fry, C.(1992). Coping,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chronic illnes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4(2), 211-224 

  27.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