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사회학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41 no.1, 2007년, pp.124 - 155, 291
박윤숙 , 윤인진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사회적 지지망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남한사회 적응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된 자료는 2005년 5월 18일부터 5월 28일까지 표준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응답자들은 서울ㆍ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4세부터 24세 미만의 탈북 청소년들이다. 총 20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이중 응답이 성실한 19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지제공자의 수는 평균 2.1명이었고, 한 명의 지지제공자도 갖지 못한 경우가 12%에 달해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기반이 취약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회적 지지망 유형을 공식적 지지망과 비공식적 지지망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가족, 친구, 공동체 가족, 후견인과 같은 비공식적 지지망의 크기와 중요성이 더욱 큰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지지 수준을 측정한 결과 예상과는 달리 보통수준 이상의 사회적 지지를 주위 사람들로부터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수준과 일상생활 적응수준을 비행/일탈, 우울/불안, 문화적응, 가족관계, 정서적응의 5가지 척도로 측정한 결과 대체로 보통 이상의 적응수준을 보였다. 다만 비행/일탈과 문화적응과 같은 외현화된 문제보다 우울/불안과 정서적응과 같은 내면화된 심리적 문제에서 적응에 약간 더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수준과 적응수준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예상한 대로 사회적 지지수준은 탈북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일상생활 적응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특히 공식적 관계에 의해서 맺어진 사람들보다 혈연, 우정, 애정으로 맺어진 사람들로부터 받는 지지가 탈북 청소년의 심리, 사회, 문화적 적응과 안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networks for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and the effects of the networks on the level of their social adaptation in South Korea. The primary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survey of 197 North Korean migrant adolesc...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