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급격한 조석 감소에 의한 새만금 갯벌 대형저서동물 변화
Changes in Benthic Macrofauna of the Saemangeum Tidal Flat as Result of a Drastic Tidal Reduction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0 no.4, 2008년, pp.485 - 495  

구본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  신상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  이석 (한국해양연구원 새만금해양환경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dal ranges of inner Saemangeum were largely reduced after the final dyke enclosure, resulting in the former tidal flats becoming either permanently exposed, still influenced by changing tide, or permanently submerged. The effect of reduced tidal range on survival and population stability of tid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새만금 갯벌의 경우처럼 노출 및 침수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갯벌 대형 저서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 자료는 국내는 물론이고 국외에서도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석 감소에 의해 영구히 노출된 지역, 변형된 조석영향 지역, 영구히 침수된 지역으로 변화된 서식지별로 대형저서동물의 소멸과 유지, 그리고 변화된 서식지에 새롭게 가입한 대형저서동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방조제 건설이 수반한 조석 감소가 갯벌 대형저서동물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석 감소에 의해 영구히 노출된 지역, 변형된 조석영향 지역, 영구히 침수된 지역으로 변화된 서식지별로 대형저서동물의 소멸과 유지, 그리고 변화된 서식지에 새롭게 가입한 대형저서동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방조제 건설이 수반한 조석 감소가 갯벌 대형저서동물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만금 내해역에 어떤 환경적 변화가 일어났는가? 2006년 4월 새만금 방조제 연결 공사가 완료되면서 새만금 내해역에는 아주 큰 환경변화가 나타났다. 방조제 연결 후에는 내해역과 외해역 간의 해수유통이 신시 및 가력갑문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서만 가능해져 물리적인해수 유동에 큰 변화가 나타났다(Lie et al. 2008).
하구역 생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급작스러운 환경의 변화는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존과 군집구조에도 큰 변화를 주었을것으로 예상되었다. 하구역 생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환경요인 중의 하나는 조석이다(Wolf 1990). 큰 폭의 조석감소는 231 km2 넓이의 대규모 갯벌 서식지를 크게 축소시켰으며, 조류속도의 감소로 인해 많은 양의 토사가 새만금 내해역에 퇴적되었다(우 등 2006).
방조제 완공이 갯벌을 어떻게 변하 시켰는가? 방조제 완공은 새만금 내해역의 조석환경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이는 갯벌을 대기에 영구 노출지역, 변형된 조석영향 지역, 영구 침수지역 등의 세 서식지로 변화시켰다. 급격한 서식지 조석환경의 변화는 이곳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존과 개체수 유지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각 서식지별로 환경변화에 대한 대형저서동물의 반응은각기 달랐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구본주, 신상호, 우한준, 김은수, 제종길. 2008. 새만금 4호 방조제 연결 후 군산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 변화. Ocean and Polar Res., 30(4), 497-507 

  2. 우한준, 최재웅, 안순모, 권수재, 구본주. 2006. 새만금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Ocean and Polar Res., 28(4), 361-368 

  3. 임현식, 홍재상, 이재학. 1995. 진해만에서 아기반투명조개 Theora fragilis(Mollusca: Bivalvia)의 분포. 한국패류학회지, 11(1), 21-34 

  4. 해양수산부. 2003.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 (1차년도) -물리.유동분야. BSPM 139-08-1514-1. 363 p 

  5. 해양수산부. 2005. 시화호 해양환경 개선 사업. 한국해양연구원, BSPM 32900-1749-4. 686 p 

  6. 해양수산부. 2006.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 구(2단계 1차년도) - 유용저서생물자원 관리 및 이용 분야. 한국해양연구원, BSPM 37906-1860-3. 207 p 

  7. 홍재상, 정래홍, 서인수, 윤건탁, 최병미, 유재원. 1997. 시화방조제의 건설은 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인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한국수산학회지, 30(5), 882-895 

  8. Beukema, J.J. 1979. Biomass and species richness of the macrobenthic animals living on a tidal flat area in the Dutch Wadden Sea: Effects of a severe winter. Neth. J. Sea Res., 13, 203-223 

  9. Beukema, J.J. 1985. Zoobenthos survival during severe winters on high and low tidal flats of the Dutch Wadden Sea. p. 351-361. In: Marine biology of polar regions and effects of stress on marine organisms, ed. by J.S. Gray and M.E Christiansen. John Wiley, Chichester 

  10. Bogaards, R.H., J.W. Francke, R.H.D. Lambeck, and C.H. Borghouts-Biersteker. 1980. De afslulting van de Grevelingen en de gevolgen voor de aan het substraat gebonden macrofauna. De Levende Natuur, 3, 109-118 

  11. Copeland, B.J. 1970. Estuarine classification and response to disturbances. Trans. Am. Fish. Soc., 99, 826-835 

  12. Fortuin, A.W., H. Hummel, A. Meijboom, and L. De Wolf. 1989a. Expected effects of the use of the Oosterschelde Storm Surge Barrier on the survival of the intertidal fauna: Part 1-The effects of prolonged emersion. Mar. Environ. Res., 27, 215-227 

  13. Fortuin, A.W., H. Hummel, A. Meijboom, and L. De Wolf. 1989b. Expected effects of the use of the Oosterschelde Storm Surge Barrier on the survival of the intertidal fauna: Part 2-The effects of protracted tidal cycles. Mar. Environ Res., 27, 229-239 

  14. Hummel, H., A. Meijboom, and L. de Wolf. 1986. The effects of extended periods of drainage and submersion on condition and mortality of benthic animals. J. Exp. Mar. Biol. Ecol., 103, 251-266 

  15. Hummel, H., A.W. Fortuin, L. De Wolf, and A. Meijboom. 1988. Mortality of intertidal benthic animals after a period of prolonged emersion. J. Exp. Mar. Biol. Ecol., 121, 247-254 

  16. Jernelv, A. and R. Rosenberg. 1976. Stress tolerance of ecosystems. Environ. Conserv., 3, 43-46 

  17. Kennedy, V.S. 1976. Desiccation, higher temperatures and upper intertidal limits of three species of sea mussels (Mollusca: Bivalvia) in New Zealand. Mar. Biol., 35, 127-137 

  18. Koo, B.J., J.-G. Je, S.-H. Shin, S.-H. Kahng, and J.-H. Lee. 2006. Long-term variations of benthic ecosystem in Lake Sihwa and its prospects after operation of tidal power plant. p. 57-64. In: 1st Int. workshop on management and function restoration technologies for estuaries and coastal seas. Ansan, Korea, Dec. 1. Korea Ocean and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19. Lee, S., H.J. Lie, K.M. Song, C.H. Cho, and E.P. Lim. 2008. Tidal Modification and Its Effect on Sluice-Gate Outflow after Completion of the Saemangeum Dike, South Korea. J. Oceanogr, 64, 763-776 

  20. Lie, H.-J., C.H. Cho, S. Lee, E.-S. Kim, B.J. Koo, and J.-H. Noh. 2008.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Korea. Ocean and Polar Res., 30(4), 475-484 

  21. Noh, J.H., D.H. Choi, S. Lee, and E.S. Kim. 2008. Impact assessment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after the Saemangeum dyke Enclosure in Korea. p. 28. In: 2008 Joint symp. on tidal flat issues, Nagasaki, Japan, Nov. 27-28. Nagasaki University and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2. Odum, E.P. 1971. Fundamentals of ecology. Philadelphia. 574 p 

  23. Pearson, T.H. 1975. The benthic ecology of Loch Linnke and Loch Eil. A sea loch system on the west coast of Scotland. IV. Changes in the benthic fauna attributable to organic enrichment. J. exp. Mar. Biol. Ecol., 20, 1-41 

  24.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 229-311 

  25. Rosenberg, R. 1972. Benthic faunal recover in a Swedish Fjord following the closure of a sulphite pulp mill. Oikos, 23, 92-108 

  26. Tami, K. 1993. Tolerance of Theora fragilis (Bivaliva: Semelidae) to low concentrations of dissloved oxygen. Bull. Jap. Soc. Sci, Fish., 59, 615-620. (in Japanese) 

  27. Wolf, W.J. 1990. Anthropogenic influences and management of estuaries. Limnologica (Berlin), 20(1), 153-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