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암포 사질조간대 대형저서동물의 분포양상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os in the sandy shore of Hakampo,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5, 2015년, pp.729 - 735  

남기웅 (한국종합환경연구소) ,  마채우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손대선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김종춘 (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초록

본 연구는 학암포 사질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 정점의 퇴적물 평균입도는 $1.90{\phi}{\sim}2.52{\phi}$의 범위로 평균 $2.37{\phi}$으로 나타나 전체 정점에서 전형적인 사질조간대의 중립사 퇴적상을 나타냈다. 유기물 함량은 0.90%~1.46%의 범위로 평균 1.15%이며, 대부분의 정점에서 사질조간대에서 나타나는 낮은 유기물 함량 수치가 나타났다. 전체 조사 정점에서 6개의 분류군 총 59종, 출현 개체수는 $668inds./m^2$이었다. 조사지역의 10개 정점에서 Bray-Curtis index의 유사도(Similarity)를 분석한 결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조간대 상부지역인 St. 2~St. 4, 조간대 중부지역인 St. 5~St. 8, 조간대 하부지역인 St. 9~St. 10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상 중 하부로 나누어지는 공간적인 군집구조 양상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Hakampo sandy shore. As for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ampling stations,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sediments from the sampling stations was $2.37{\phi}$ with the range of $1.90{\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개의 조사 정선에서 이루어진 연구이지만, 개방형 사질조간대에서의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 및 대상분포의 특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Hong and Yoon(2000)의 연구결과와 지리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사질조간대의 군집구조와 대상분포 패턴에 있어서 유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사질조간대 내의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이 요구하는 생태학적 지위가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본 연구는 학암포 사질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 양상에 따른 대상분포의 특징을 분석하여 국내 사질조간대의 대상구조를 이해하고 최근 유류오염으로 인해 조간대 생태계에 오염이 가중되고 있는 이 지역의 연안 저서생태계의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암포 사질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을 분석하여 학암포 사질조간대의 대상분포 패턴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질조간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조간대는 간조와 만조에 의하여 육상환경과 해양환경이 교차되는 지역으로 생태적 완충작용을 하며 다양한 해양생태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Stephenson and Stephenson, 1949; Park, 1998). 특히 사질조간대는 퇴적물의 모래 함량이 90% 이상인 지역으로 다양한 여가활동과 오염물질 정화 기능, 해안선 침식방지, 어패류의 산란과 먹이 공급처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Yun, 1995). 조간대의 대형저서동물은 물리·화학적 요인인 조석간만의 차, 조간대의 지역적 특징, 염분과 수소이온농도(pH) 등과 생물학적 요인인 섭이, 포식자의 분포 등에 따라 제한적으로 작용하며 조간대의 형태와 퇴적물의 입도조성 등으로 인하여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가 결정되고(Lee et al.
조간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조간대는 간조와 만조에 의하여 육상환경과 해양환경이 교차되는 지역으로 생태적 완충작용을 하며 다양한 해양생태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Stephenson and Stephenson, 1949; Park, 1998). 특히 사질조간대는 퇴적물의 모래 함량이 90% 이상인 지역으로 다양한 여가활동과 오염물질 정화 기능, 해안선 침식방지, 어패류의 산란과 먹이 공급처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Yun, 1995).
학암포 사질조간대에서 저서갑각류의 우점이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학암포 사질조간대에 출현하는 종들 가운데 우점을 보인 분류군은 절지동물이며 그 중에서 단각류 같은 저서갑각류의 우점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서갑각류가 상대적으로 다른 분류군에 비해 유영 능력과 잠입하는 능력이 뛰어나서(Brown and McLachlan, 1990), 사질조간대의 환경에 잘 적응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Dexter(1983)에 의하면 저서갑각류는 개방형 조간대에 우점적으로 분포한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학암포 사질조간대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개방형 조간대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own, A.C. and A. McLachlan (1990) Ecology of Sandy Shores. Elsevier, Amsterdam. 328pp. 

  2. Choi, J.W., D.S. Kim., S.H. Shin. and J.G. Je (1998)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the Sandflat of Taebudo, Kyonggi Bay, the West Coast of Korea. J. OPR. 20: 97-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onway Morris, S. (1979) Middle Cambrian polychaetes from the Burgess Shale of British Columbia.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pyal Society. London B. 285(1007): 227-274. 

  4. Dahl, E. (1952) Some aspects of the ecology and zonation of the fauna on sandy beaches. Oikos. 4: 1-27. 

  5. Dexter, D.M. (1983)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sandy beaches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In: McLachlan, A. and Erasmus, T. (eds.), Sandy Beaches as Ecosystems. The Hague: W. Junk. 461-472. 

  6. Fauchald, K. (1974) Polychaete phylogney: A problem in protostome evolution. Systematic Biology. 23(4): 493-506. 

  7.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arameters. J. Sed. Pet. 27: 3-27. 

  8. Hong, J. S. and S.P. Yoon (2000) Zonation of the Exposed Sandy Beach Macrofauna in Okjukpo, Taechongdo, Korea. J. The Sea. 5(2): 146-1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utchings, P. (1998) Biodiversity and functioning of polychaetes in benthic sediment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7(9): 1133-1145. 

  10. Jo, Y.W. (1990) Taxonomy and biogeography of sandy beach Amphipoda (Crustacea) of Korea. Ph. D. Dissertation. Univ. Amsterdam, Amsterdam, 169pp. 

  11. LeBris, H. (1988) Fonctionnement des ecosystems benthiques cotiers au contact d'estuaires: larade de Lorient et la baie de Vilaine. Ph. D. Dissertation. Univ. Bretagne Occidental, Brest, 311pp. 

  12. Lee, J.H., O.H. Yoo, H.K. Lee. and J.Y. Park (2004)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Inter-and Subtidal Macrobenthic Communities in the Iwon Dike Area. J. Kor. Fish. Soc. 37(4): 295-3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J., K.C. Kang. and J.C. Kim (2001) Spatial Species Diversity of Macrobenthos in the Intertidal Zone of Hwasoon, Jeju Islands. Korean J. Malacology. 17(1): 63-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im, H.S. and J.G. Je (1998) Macrobenthic Communities on the Macro-Tidal Flats of Taebudo and Tando in the West Coast of Korea. J. OPR. 20: 121-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cLachlan, A. (1990) Dissipative beaches and macrofauna communities on exposed intertidal sands. J. Cstl. Res. 6: 57-71. 

  16. McLachlan, A. and E. Jaramillo (1995) Zonation on sandy beaches. Oceanogr. Mar. Biol. Ann. Rev. 33: 305-335. 

  17. Paik, S. G., B.S. Yun, K.H. Kim and S.G. Yun (2005) Macrobenthic Community on Angol Tidal Flat in Jinhae. Korean J. Environ Biol. 23(2): 106-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H.S. (1998) Effects of dike construction on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faunal community in Chonsu Bay, Korea.Ph. D. Dissertation. Univ. Inha, Incheon, 226pp. 

  19. Shin, S.Y. (2008)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macrobenthos on the Hakampo and Mongsanpo beaches. MS. Dissertation. Univ. Soon Chun Hyang, Chungcheongnam-do, 81pp. 

  20. Snelgrove, P.V.R. and C.A. Butman (1994) Animal-sediment rela tionships revisited: cause versus effect. Oceanogr. Mar. Biol. Ann. Rev. 32: 111-127. 

  21. Stephenson, T.A. and Stephenson (1949) The universal features of zonation between tide marks on rockycoasts. J. Ecol. 37:289-305. 

  22. Sung, W.M. (2010) The community analysis of macrozoobenthos of the Taean Tidal flats in the south Korea. MS. Dissertation. Univ. Soon Chun Hyang, Chungcheongnam-do, 69pp. 

  23. Trevallion, A., A.D. Ansell, P. Sivadas. and B. Narayanan (1970) A preliminary account of two sandy beaches in South West India. Mar. Biol. 6: 268-279. 

  24. Yun, S.K. (1995) Marine biology (Benthos), Acabook, 412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