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사고잦은곳 발생분포를 활용한 개선사업 구간선정 방안
Identification Method for Hazardous Road Sections Based on Black Spot Distribution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6 no.3 = no.102, 2008년, pp.67 - 74  

김상옥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  안성채 (아주대학교 교통공학과)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공학과) ,  장일준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초록

현재 시행 중인 지점단위 사고잦은곳 개선사업은 매년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으나, 효율성 제고방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구간단위 개선사업은 방법론에 있어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개선사업 및 미개선사업 지점으로 부터 사업 차년도 신규 사고잦은곳에 이르는 거리자료를 분석하여, 적정 개선사업 구간길이 및 구간설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거리자료 분석결과, 개선사업을 실시한 교차로로부터 2Km 내 신규 사고잦은곳이 발생할 확률이 미개선 교차로 지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선사업 내역별 거리분포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상호 인접거리가 2km내에 있는 일련의 사고잦은곳을 포함하는 구간을 개선사업 후보구간으로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the efficiency of a point based black spot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low, none of solid methodology, which is based on section not point, an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promising substitute, has not been come up with yet. Thus, this research aims at proposing the adequate length of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선사업 실시지점으로부터 차년도 신규 사고잦은곳까지의 거리분포와 개선사업 미실시 지점으로부터 차년도 신규 사고잦은곳까지의 거리분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구간단위의 개선사업은 사업의 실질적 주체인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에서도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나 위험 구간 선정의 방법론에 있어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국도를 대상으로 사고잦은곳에 관한 최소한의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개선사업을 위한 후보구간 선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개선사업에 따른 차년도 인접지역 신규 사고잦은곳 발생분포를 도로 기하구조별로 조사하여 사고전이 효과를 살펴보고, 신규 사고잦은곳에 인접한 전년도 개선사업 지점에서의 사업내역을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개선사업 후보구간 선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인프라 및 인력에 대한 별도의 충원 없이 간단한 지리정보 입력 및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비용 대비 효율성 높은 사고잦은곳 개선사업 구간선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선사업이 실시된 지점자료를 기하구조별로 구분하고 개선사업 실시 차년도 신규 사고잦은곳까지의 거리 정보를 활용하여 각각에 대한 개선사업의 공간적 영향범위를 분석하였다.
  • 사고전이 효과, 개선사업 내역분석 또한 TransCAD에 입력된 정보들의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선사업 구간선정 방안은 사고 전이 범위와 연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개선사업 실시지점은 전년도 사고잦은곳이었던 지점자료와 사고잦은곳이 아니었던 지점자료들이 혼재되어 있어, 이 두 자료 집단을 동일한 분포를 가진 동일한 집단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가 의문시되었다. 이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두 자료 집단이 가지는 분포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를 경우와 비정규 분포를 따를 경우, 상이한 검정방법이 적용되므로 정규성 검정을 선행 실시하였다.
  • 또한 서두에서 제기했듯이 대부분의 구간단위 선정방법이 최소한의 교통량 정보 및 단위 도로길이 당 사고밀도 자료 등을 요구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프라 및 인력에 대한 별도의 충원 없이 간단한 지리정보 입력 및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구간선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교차로 개선지점 주변 사고잦은곳 발생분포와 미개선 지점 주변 사고잦은곳 발생분포 분석에서 나타나듯이 전체적으로 개선사업 실시지점은 미실시지점에 비해 주변 2km 내에서 차년도 신규 사고잦은곳이 발생할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개선지점으로부터 반경 2km를 개선사업에 따른 사고전이 범위라고 설정하고 이 구간 내에 신규 사고잦은곳이 발생한 사고잦은곳 개선사업 내역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선진국에서 사고잦은곳(Black Spot) 개선사업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통상 교통선진국이라 불리는 미국, 독일, 호주 등지에서의 사고잦은곳(Black Spot) 개선사업은 지점 및 구간단위로 이분화되어 전개되고 있다. 개선사업을 위한 구간길이는 미국의 경우, 각 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최소 1마일 이상으로 일본의 경우 통상 2km 이상 10km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사고잦은곳 개선사업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가? 사고잦은곳 개선사업은 ’87년 8월 국무조정실 주관 ‘교통안전 종합대책’의 중점과제로 선정된 이후 ’88년부터 범정부적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은 ’91년부터 ’05년까지 15년 동안 개선지역에서 사고건수 26.
인프라 및 인력에 대한 별도의 충원 없이 간단한 지리정보 입력 및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구간선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두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제시하고자 하는 첫 번째 방법은 사고잦은곳이 위치한 교차로가 4차로 미만 도로일 경우 최소한 반경 2.6km를, 4차로 이상 도로의 경우 반경 1km를 대상으로 하여, 인접한 사고잦은곳이 그 반경 내에 포함될 경우 두 지점을 하나의 개선 후보구간에 포함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각 사고잦은곳이 위치하는 도로의 기하구조가 다양할 수 있으며 사업내역별 전이개소 비율의 상호간 차가 그리 크지 않으므로, 모든 교차로 사고잦은곳으로부터 반경 2km 내 위치하는 사고잦은곳을 하나의 개선 후보구간으로 묶는 것이다. 이 경우 일본에서 위험도로 최소 개선구간 길이를 통상 2km 내외로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건설교통부 (2002), "사고잦은곳 개선사업 업무편람" 

  2. 김정현.이수범.박병정 (2002), "교통사고 잦은 지점 및 구간 선정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3. 교통개발연구원 (1989), " '87 사고많은 지점 개선사업에 대한 효과평가" 

  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1),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5.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2),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6.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3),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7.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4),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8.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5),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 곳 현황" 

  9.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5), "2005년 교통사고 잦은곳 기본개선계획 및 효과분석" 

  10.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6), "2006년 교통사고 잦은곳 기본개선계획 및 효과분석" 

  11. 설재훈.김영호.채찬들 (2006), "도로교통 안전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한국교통연구원 

  12. 임평남 외 (2006), " '05.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와 평가",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13. 최병호.배중철.이승택 (2005), "교통사고 조사 및 분석체계 구축방안 연구", 교통안전공단 

  14. 최병호 외 (2006), "자치단체 관할도로의 사고누적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I)", 교통안전공단 

  15. 홍정열.도철웅 (2002), "신호교차로에서의 사고예측모형개발 및 위험수준결정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7호, 대한교통학회, pp.155-166 

  16. D. W. Harwood et al. (2002), "Safety Effectiveness of Intersection Left- and Right- Turn Lanes", FHWA-RD-02-089 

  17. Goodell-Grivas, Inc. (1981), "Highway Safety Improvement Program", FHWA-TS-81-218 

  18. Meuleners L. et al. (2005),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Black Spot Programs in Western Australia, 2000-2002", Injury Research Centre of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19. R. Elvik (1997), "Evaluation of Road Accident Blackspot Treatment: A Case of the IronLaw of Evaluation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9, No.2, pp.191-199 

  20. S. Washington et al. (2005), "Validation of Accident Models", FHWA-RD-03-0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