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아동의 트레이닝복 디자인 개발
The Design Development of Training Suit for Obese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2 no.1, 2008년, pp.35 - 44  

김남희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최윤미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is purposed to help obese children to recover their physical, spiritual inferiority complex and it give them to affirmative self formation by developing training-suit which has slender effect. In order to accomplish a research problem,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wearer's outwa...

주제어

참고문헌 (17)

  1. 김재숙, 이미숙. (1997). 아동의 의복과 체형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제2보)?체형에 따른 의복변인의 영향을 중 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4), 718?726 

  2. 김정진, 김은애, 유신정, 안정원. (2003). 직물의 주관적 감 각평가를 위한 Quad 분석 법의 적용. 한국의류학회 추계 학술대회지, 50 

  3. 김연성, 박영택, 서영호, 유왕진, 유한주. (1999). 품질경영. 서울: 박영사 

  4. 류정아. (1992). 의복 디자인의 선이 체형에 미치는 착시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박혜령. (1996). 의복 디자인 선에 따른 색채의 착시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이신학. (2003). 비만아동과 표준체중아동의 신체상 만족도 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지역개발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이옥희. (2001). 이상적인 인체미와 복식 디자인의 착시 효과 ?사적연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이은영. (2003). 복식 디자인론. 서울: 교문사 

  9. 임낙수. (2003). 비만도와 체형인식이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전경숙. (2002). 체형의식에 따른 의복관여 및 의복만족도에 관한 연구?서울시내 여자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복식, 52(3), 75?85 

  11. 조윤주, 이정란. (1999). 비만아동의 의복설계를 위한 체형 분류 및 특성연구 (제1보)?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4), 563?574 

  12. 초등학생 비만율 5년새 두 배로 늘어. (2005, 2. 17). 서울뉴 시스. 자료검색일 2005, 4. 23, 자료출처 http://kr.yahoo. com 

  13. 최은영. (1995). 무늬의 크기, 배열, 명도 대비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격자무늬와 물방울무늬를 중심으로?. 복식, 24(0), 193?203 

  14. 홍경희, Scheurell, D. M. (1997). 의류제품개발과정. 섬유기술과 산업, 1(4), 481?487 

  15. Kim, J. H., Hong, K. H., & Scheurell, D. M. (2004). Applying QFD in the development of sensible barssiere for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2), 1596?1604 

  16. Miller, R. W. (2002). Subjective property characterization by "Quad" analysis: An efficient method for conducting, paired comparisions. Textile Research Journal, 72(12), 1041?1051 

  17. Scheurell, D. M. (1994). Beyond the QFD house of quality: Using the downstream matrices. World clase Design to Manufacture, 1(2), 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