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 비만남성의 체형연구를 통한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 기반 구축
Building up the foundation for the elderly apparel industry through the study on the body shapes of elderly obese male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6 no.5, 2018년, pp.665 - 678  

성옥진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김숙진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elderly apparel industry for the increasing numbers of elderly obese male population. In the study, a total number of 249 males between the ages of 60 to 85 were studied to analyze their body types and differences. The group had a Rohrer Index of 1.6 or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차 한국인 인 체치수조사 자료를 선택한 이유는 [Table 1]에서 보 듯이 5차 조사의 경우 60~90세까지를 피험자로 선택한 반면, 6차나 7차 조사, 또는 3D 측정에서도 피험자 수가 적어 이를 비만기준으로 다시 분류할 때 피험자 수가 줄어들어 연구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4, 2010, 2012, 2014, 2015). 또한 연령대도 60~85세까지 선택한 자료는 5차 인체치수자료가 유일하여 본 연구는 연령 및 피험자수를 확대하여 연구하고자 5차의 인체 자료를 선택하였다. 선정된 피험자는 측정항목 중 결항이 있는 피험자를 제외한 72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노년 비만인구의 의류산 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60~85세의 노년 남성 중에 Rohrer 지수 1.6 이상,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을 만족시키는 비만남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노년 비만남성의 신체적 특징을 분석하고 체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된 3가지 노년 비만남성의 체형을 CLO 3D(Marvelous Designer)를 이용해 구현하여 의류제작에 사용되는 바디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를 위해, 증가 추세에 있는 60~85세의 노년 비만남성을 대상으로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Data를 활용하여 비만 체형의 특징을 분석하고, 타겟층의 신체특징을 패턴에 적용함으로써 신체적합성이 높은 의복을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되고, 신체적 변화와 활동성을 고려하여 착용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성복 개발에 기본이 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의 비만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체중이 높게 나타나야 비만이라고 알고 있지만, 근육이 많은 사람은 비만이 아니더라도 체중은 높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에 지방조직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를 비만으로 정의한다(Baeg, 2017). 노년기의 비만은 체지방의 증가, 특히 복부비만(내장지방)의 증가가 뚜렷하고 근육량이 현저히 감소하여 기초에너지 대사율이 감소함으로써 식사량이 많지 않더라도 비만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시니어 세대의 특징은? 새로운 소비자층으로 등장한 시니어 세대는 과거 세대에 비해 시간적 여유와 경제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삶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증가는 여러 산업 활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제품과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실버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노년 남성 중에 정상체형에 속하는 60대와 70대 이상의 연령대 체형 특징은? 노년 비만남성의 체형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노년 남성 중에 정상체형에 속하는 60대와 70대 이상의 연령대와 노년 비만남성에 속하는 60대와 70대 이상의 연령대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Table 3). 이를 살펴보면 노년 남성 중 정상체형에 속하는 남성들은 연령대별로 키를 포함한 높이항목과 둘레항목이 연령이 높을수록 줄어들고, 너비항목에서는 배꼽수준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를 제외하고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께항목에서는 가슴과 엉덩이 부분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허리와 배부위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길이 항목에서는 등길이와 진동깊이를 제외한 거의 모든 항목이 연령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노년 비만남성에서는 높이항목에서 키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연령별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g, M.-K. (2017).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r by adults age groups in South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2. Jung, E. O.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acket pattern for the elderly 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c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 Jung, J. W. (2004). Study on the pattern design of formal pants for senior men: Especially men in their six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4. Kim, J.-E., & Kim, E.-K. (2017). A study on analysis of body types of active senior males (aged 55-69):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middle aged males (aged 35-5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4), 722-740. doi:10.5850/JKSCT.2017.41.4.722 

  5. Kim, S. H., & Lee, J. R. (2003).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elderly male's body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6), 624-634.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4).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보고서 [The fifth human body measurement report (Size Korea)]. Sejong-si: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보고서 [The 6th human body measurement report (Size Korea)]. Sejong-si: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8.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2). 중장년.노년층 3D인체형상측정조사사업 [2012 Middle-aged and elderly 3D human figure measurement research business (Size Korea)]. Sejong-si: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4). 고령자 3D 인체형상측정조사 개발사업 [2014 3D Human body shape measure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for the elderly (Size Korea)]. Sejong-si: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1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보고서 [The 7th human body measurement report (Size Korea)]. Sejong-si: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1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비만치료 지침 2012 [Obesity treatment guidelines 2012]. Retrieved March 21, 2018, from http://www.kosso.or.kr/general/board/list.html?num72&start0&sorttopdesc,numdesc&codegeneral_03&key&keyword 

  12. Lee, S. M. (1993).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bodytype of elderly males for upper garments construc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 159-179. 

  13. Lee, W.-S. (2017). The development of standard shoe-last on BMI and foot characteristics of senior gener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llabuk-do, Korea. 

  14. Nam, J. Y., Park, S. J., & Jung, E. S. (2007). Categorization of the body type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obese Korean men.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6(4), 103-111. 

  15. Ryu, Y.-S., & Oh, S. (2017). Classification of Korean elderly men' body types: Focused on aged 70 to 85.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55, 63-74. 

  16. Seok, H.-J., & Im, N.-Y. (2009). Classification of the lower half of the body by the somatotypes of elderly m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8), 123-131. 

  17. Seong, O. J., & Ha, H. J. (2017). Study on torso patterns for elderly obese women for vitalization of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4), 476-487. doi:10.7741/rjcc.2017.25.4.476 

  18. Seong, O. J., & Kim, S. J. (2015). Study on the body shapes of old aged obese women for the activation of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5), 755-767. doi:10.7741/rjcc.2015.23.5.755 

  19. Shim, B.-J., Suh, C.-Y., & Lee, S.-Y. (2007). Lower body analysis for pattern design of elderly men's slack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5), 15-34. 

  20. Statistics Korea. (2017). 2017 고령자통계 [Elderly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12, 2018,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bSeq&aSeq363362&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1. Yoon, J. W., Yoon, H. J., & An, J. S. (2013). An analysis of upper-body shapes in obese women for apparel pattern desig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130-137. doi:10.5805/SFTI.2013.15.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