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자기애 성향과 외모 관련 의복행동의 관계에서 비만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Obesity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Clothing Behavior Related Appearance by Plus Size Consumer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0 no.4, 2016년, pp.615 - 630  

최미영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이재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e effects of obesity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cissism and clothing behavior related appearance.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322 women aged 20's-30's in an online survey.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18.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플러스 사이즈 구매 경험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만과 관련하여 자신의 신체외모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자기애 성향과 외모 관련 의복 행동요인을 분석한 후 각 요인별 영향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외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발생된 비만에 대한 스트레스가 두 변수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고 연구모형은 [Fig.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젊은 비만 여성 소비자들이 포함되는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자기애 성향의 다차원성을 밝히고, 둘째, 자기애 성향에 대한 하위차원이 의복의존 및 유행지향과 같은 외모 관련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외모 관련 의복행동을 야기하는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심리적 기제에 비만에 대한 사회적 시각의 차이에서 기인할 수 있는 비만 스트레스가 어떤 방식으로 매개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플러스 사이즈 구매 경험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만과 관련하여 자신의 신체외모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자기애 성향과 외모 관련 의복 행동요인을 분석한 후 각 요인별 영향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외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발생된 비만에 대한 스트레스가 두 변수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를 스스로에게만 관심을 가지는 데서 오는 이기적이고 건강하지 못한 특성이 아니라 자존감을 높여주는 긍정적 성격 성향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니치 마켓으로 부상되고 있는 플러스 사이즈 마켓의 젊은 비만 소비자를 대상으로 신체인지 특성과 자기애 성향의 차원을 규명하고 각 차원별로 외모 관련 의복행동이 발현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 비만 스트레스는 비만으로 느끼는주관적 스트레스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BAQ 척도 (Body Attitudes Questionnaire)를 Lee and Kim(2011)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토대로 4문항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비만 여성 소비자의 외모 관련 의복행동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의복을 긍정적 자기애를 발현시키는 도구로 보았다. 비만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의복이나 장신구, 화장, 향수 등은 단순히 비만 체형을 감추고자 이용되는 도구가 아니라 자신의 신체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수단이 되고 있다는 점과 외모관리를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유행정보를 탐색하고 유행지향적 행동을 한다는 점에 주목을 하였다.
  • 즉,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착각이 비록 방어적인 자존감과 연관된다 하더라도 심리적 안녕감을 가져다 줄 수 있으며, 타인을 자신보다 평가절하하는 것도 심리적 안녕감과 연관된다고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 특질로 이해한 자기애의 두 차원인 외현적 자기애 요인과 내현적 자기애 요인을 모두 포함한 자기애 척도를 통해 플러스 사이즈 제품을 구매하는 젊은 비만 여성 소비자들의 자기애 구성차원을 밝히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젊은 비만 여성 소비자들이 포함되는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자기애 성향의 다차원성을 밝히고, 둘째, 자기애 성향에 대한 하위차원이 의복의존 및 유행지향과 같은 외모 관련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외모 관련 의복행동을 야기하는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심리적 기제에 비만에 대한 사회적 시각의 차이에서 기인할 수 있는 비만 스트레스가 어떤 방식으로 매개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를 스스로에게만 관심을 가지는 데서 오는 이기적이고 건강하지 못한 특성이 아니라 자존감을 높여주는 긍정적 성격 성향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니치 마켓으로 부상되고 있는 플러스 사이즈 마켓의 젊은 비만 소비자를 대상으로 신체인지 특성과 자기애 성향의 차원을 규명하고 각 차원별로 외모 관련 의복행동이 발현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비만 관련 외모지각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가설 설정

  •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자기애와 외모 관련 의복 행동에 비만 스트레스가 매개할 것으로 가정한 본 연구 모형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응답자들이 자신의 비만 외모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체중과 신장을 통해 객관적 BMI 값을 계산하고, 주관적 신체사이즈 지각 및 주관적 비만 인지 정도, 신체만족도와 함께 비만에 대한 스트레스와 의복구매 행동에서 비만의 영향력에 대해 7점 척도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알아보았고 각 항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애란 무엇인가? 자기애(narcissism)는 정신분석학적 용어로, 어떠한 이유를 들어 자신의 외모, 능력에 대해 지나치게 자기 자신이 뛰어나다고 믿거나 사랑하는 자기중심성을 말한다. Freud(1914/1957)가 자기애를 심리적 에너지가 자신에게로 향해져 자신의 신체를 성적인 대상으로 취급하는 태도라고 보았다.
공동체 의식이나 타인에 대한 관심보다 자신의 안녕감이 중시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기애적 사고와 행동은 현대 사회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점차 산업화되고 다른 사람과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자신의 존재에 대한 안정감과 자기가치감을 추구 하는 심리적 경향이 강하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공동체 의식이나 타인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신의 안녕감이 중시된다. 또한 능력을 인정받기 위해 개인의 매력과 개성을 드러내는 것이 매우 당연하게 여겨진다(Choi & Kim, 2010).
젊은 비만 여성 소비자들이 과거와 다르게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 국내의 경우도 식습관의 서구화와 사회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증가한 젊은 비만 여성 소비자들은 체형 변화뿐 아니라 외모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태도에 있어서 과거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자신을 꾸미는 데 주저함이 없으며, 적극 적인 외모관리행동을 표출한다. 더구나 젊은 비만 인구의 증가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플러스 마켓이 성장하고 세분화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플러스 사이즈 소비자들의 쇼핑에 대한 변화된 기대와 행동에 부응할 수 있는 실무적 대응이 필요하다(Ry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khtar, S., & Thomson, J. A. Jr. (1982). Overview: Narcissitic personality disorder.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1), 12-20. doi:10.1176/ajp.139.1.12 

  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3. Bickle, M. C., Burnsed, K. A., & Edwards, K. L. (2015). Are U.S. plus-size women satisfied with retail clothing store environments? Journal of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28, 45-60. 

  4. Bursten, B. (1982). Narcissistic personalities in DSM III. Comprehensive Psychiatry, 23(5), 409-420. doi:10.1016/0010-440X(82)90154-7 

  5. Byun, J. H. (2010). The development of the jeans pattern for plus-sized women in the 2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6. Carroll, L., Hoeningmann-Stovall, N., & Whitehead, G. I. III. (1996). Interpersonal consequences of narcissism. Psychological Reports, 79(3 Pt 2), 1267-1272. doi:10.2466/pr0.1996.79.3f.1267 

  7. Choi, B. Y., & Choi, M. O. (2008). The surver for body shape recognition fatness knowledge and fatness stress of college wom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4), 1052-1064. 

  8. Choi, M. K., & Kim, J. N. (2010). Moderating effect of adolescent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tenden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4), 747-763. 

  9. Choi, Y. L., Cui, M. H., & Nam, Y. J. (2010). An exploratory study on proportion of women's body according to the obe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4), 487-493. 

  10. Chung, N. W. (2001). A validational study of the Hypersensitivity Narcissism Scale (HSN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3(1), 193-216. 

  11. Freud, S. (1957).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J. Serachey, Trans.). London: Hogarth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14) 

  12. Ha, H. J., & Kim, A. R. (2003).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lus-sized women, by ag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1(1), 153-164. 

  13. Han, S. J. (1999). Overt and covert self-relevant cognition of narcissis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Hendin, H. M., &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e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4), 588-599. doi:10.1006/jrpe.1997.2204 

  15. Hickman, S. E., Watson, P. J., & Morris, R. J. (1996). Optimism, pessimism, and the complexity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4), 521-525. doi:10.1016/0191-8869(95)00223-5 

  16. Holtzman, N. S., Vazire, S., & Mehl, M. R. (2010). Sounds like a narcissist: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narcissism in everyday lif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4(4), 478-484. doi:10.1016/j.jrp.2010.06.001 

  17. Jackson, L. A., Ervin, K. S., & Hodge, C. N. (1992). Narcissism and body imag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6(4), 357-370. doi:10.1016/0092-6566(92)90065-C 

  18. Jeon, Y. S., & Ahn, H. S. (2006). Influence of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weight management on obesity stress in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sthetics & Cosmeceutics, 1(2), 13-26. 

  19. Kaiser, S. B.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ew York, NY: Fairchild Pubns. 

  20. Kang, E. Y., & Lee, Y. H.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wo dimension narcissism scale: The relations between self-initiative narcissism and other-dependent narcissism and psychological characte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2), 397-415. 

  21. Kim, D. H., & Kim, K. H. (2010).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in accordance with the attitude towards appear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1), 11-25. 

  22. Kim, H. A. (2007). Apparel sizing system for women with obese figure - Focusing on the formal dress for 20s and 30s wome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3. Kim, H. J. (2004). Appearance-management: Narcissistic personality tendency and bo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Kim, H. J. (2008). A study on the appearance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depending on narcissis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Kim, S. H. (2003).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 Focused on females in their twenties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5), 99-108. 

  26. Kind, K. O., & Hathcote, J. M. (2000). Speciality-size college female: Satisfaction with retail outlets and apparel fit.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4(4), 315-324. doi:10.1108/eb022599 

  27. Ko, S., Yu, H., & Kim, C. (2015). Comparing factors influencing fashion shopping service satisfaction of plus-size and regular-siz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1), 15-29. doi:10.5850/JKSCT.2015.39.1.15 

  28. Lee, J. H. (2002). Fit of ready-to-wear apparel for adult women by somatotyp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12), 189-197. 

  29. Lee, J. Y., & Kim, J. D. (2011).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r, body attitude, and obesity stress of a women's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7(3), 461-467. 

  30. Lee, M. (2014). A study on male adul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5), 809-822. doi:10.7741/rjcc.2014.22.5.809 

  31. Michelman, S. O., Miller-Spillman, K. A., & Damhorst, M. L. (2005). The meanings of dress (2nd ed.). New York, NY: Fairchild Books. 

  3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2012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2012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33. Myerson, L. (1971). Somatopsychology of physical disability. In W. M. Cruickshank (Ed.), Psychology of exceptional children and youth (3rd ed., pp. 1-74).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4. Park, S. R. (2004). Self-evaluation and attributional style of overt.covert narcissis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5. Preacher, K. J., &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731. doi:10.3758/BF03206553 

  36. Raskin, R., & Novacek, J. (1989). An MMPI description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3(1), 66-80. doi:10.1207/s15327752jpa5301_8 

  37. Rathvon, N., & Holmstrom, R. W. (1996). An MMPI-2 portrait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1), 1-19. doi:10.1207/s15327752jpa6601_1 

  38. Roach-Higgins, M. E., Eicher, J. B., & Johnson, K. K. P. (1995). Dress and identity. New York, NY: Fairchild Publications. 

  39. Rose, P. (2002).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3), 379-391. doi:10.1016/S0191-8869(01)00162-3 

  40. Ryu, J. Y., Syn, H. Y., & Lee, I. (2014). A study on the comparing about young plus size fashion design application on plus size body types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 Focusing on USA Market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3), 163-178. 

  41. Sim, J. H., & Park, S. J. (2007). A study of the middle-aged women's clothing attitudes depending on their somato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 33-43. 

  42. Syn, H., & Lee, I. (2014). Study on development of body types by type of young plus size ladieswear to push into the American marke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5(4), 243-250. 

  43. Thau, B. (2014, January 10). Retailers wake up to plus-sized market with trendier, tonier fare. Forbis. Retrieved April 19, 2015, from http://www.forbes.com/sites/barbarathau/2014/01/10/retailers-wake-up-to-plus-sized-market-with-trendier-tonier-fare/#d40d3377b0d7 

  44. Watson, P. J., & Biderman, M. D. (1993).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factors, splitting, and self-consciousnes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1(1), 41-57. doi:10.1207/s15327752jpa6101_4 

  45. WHO expert consultation.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e Lancet, 363, 157-163. doi:10.1016/S0140-6736(03)15268-3 

  46.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4), 590-597. doi:10.1037/0022-3514.61.4.590 

  47. Yu, H., Ko, S., & Kim, C. (2013a). Plus-size women and appearance management with a focus on clothing-Grounded theory based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 37(3), 306-319. doi:10.5850/JKSCT.2013.37.3.306 

  48. Yu, H., Lee, S. M., & Ko, S. (2013b). Segmenting the plus-size women's apparel consumers using store patronag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35-45. doi:10.5805/SFTI.2013.15.1.035 

  49. Zaborskis, A., Petronyte, G., Sumskas, L., Kuzman, M., & Iannotti, R. J. (2008).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among adolescents in Lithuania, Croati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context of global obesity. Croatian Medical Journal, 49(2), 233-242. doi:10.3325/cmj.2008.2.233 

  50. 통 큰 비즈니스, 플러스 사이즈(Plus-size) 패션 산업의 부상 [Big business, rising of plus-size fashion bushiness]. (2012, January 19). FashionNET Korea. Retrieved December 16, 2014, from http://www.fashionnetkorea.com/market/market_gl_bizreport_issue.asp?gubunFASHION&board_cdMGREPORT&modeview&idx13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