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패션브랜드 퍼스낼리티가 소비자의 브랜드 동일시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Consumer's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Loyal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2 no.1, 2008년, pp.88 - 98  

장수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은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the consumer's brand loyalty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brand identification as mediator. The questionnaire data from 218 women who had purchase experience of fashion luxury brands were collected. Factor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aker(1997)가 개발한 브랜드 퍼스낼리티 및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패션브랜드 퍼스낼리티 차원을 패션명품브랜드에 적용하여 각 요인을 확인해 본 후, 패션브랜드 퍼스낼리티 각 차원이 브랜드 동일시 과정을 거쳐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는 패션브랜드 퍼스낼리티-브랜드 동일시-브랜드 충성도를 연결함으로써 상징적 소비에 대한 연구를 더욱 확대 시키는 이론적 시사점이 있으며, 소비자가 지각하고 있는 브랜드 동일시 정도에 따라 해당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포함한 소비자 행동이 달라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패션명품 종사자들에게 패션 명품 소비자의 성향, 브랜드 이미지 구축 및 관리의 중요성, 소비자와 패션브랜드 관계 향상에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 라 본다.
  •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사회적 의미, 감정적 경험, 자기이미지와의 연관성이 큰 패션 명품브랜드를 중심으로, 소비자가 지각하는 패션브랜드 퍼스낼리티 요인이 브랜드 동일시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초점을 맞추어 왔다(김자경, 2004). 따라서, 패션 명품브랜드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브랜드 동일시가 높은 브랜드에 대해 브랜드 충성도가 높아질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패션브랜드 퍼스낼리티와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브랜드 동일시 의 매개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패션 명품을 구매한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패션브랜드 퍼스낼리티가 브랜드 동일시 및 브랜드 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브랜드 동일시의 매개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선행연구에서 시사하는 바에 근거하여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 하였으며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패션브랜드 퍼스낼리티의 각 차원이 브랜드 동일시를 매개로 하여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고은주, 윤선영. (2004). 패션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마케팅과학연구, 14, 59?80 

  2. 권영서. (2004).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브랜 드 충성도에 관한 정성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 김수진, 정명선. (2006). 패션명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감정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7), 1126?1134 

  4. 김유경. (2000). 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 구?제품특성과 소비자 요인을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49, 29?53 

  5. 김자경. (2004). 명품과 준(Quasi) 명품의 브랜드 개성과 기 능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패션브랜드를 중 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정구, 안용현. (2000). 브랜드 개성의 FCB 모델에 따른 영 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1(4), 65?85 

  7. 박민주. (2005). 패션명품 소비자의 상표충성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소연. (2005). 소비자 자아일치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박주영, 최인형, 장경. (2001). 브랜드 개성과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 마케팅 저널, 3(6), 92?113 

  10. 이경미. (1999).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적 차 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소비자의 Self-monitoring 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유재, 라선아, 안정기. (2001). 서비스 애호도와 의사 애호 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2(1), 53?74 

  12. 이유재, 라선아. (2002). 브래드 퍼스낼리티-브랜드 동일시-브 랜드 자산 모형: 이용자와 비이용자간 차이에 대한 탐색 적 연구. 마케팅연구, 17(3), 1?33 

  13. 이은정. (2006). 패션브랜드 퍼스낼리티의 개념적 구조 및 영향 요인: 남성 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이중재. (2003). 브랜드 퍼스낼리티-브랜드 동일시-브랜드 퍼 스낼리티 확장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지영. (2003).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Brand Affect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최민욱. (2005).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적 차원과 브랜드 자산 요소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박사학위 논문 

  17. 최원주. (2002). 제품 유형에 따른 브랜드 개성의 영향 요인 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3(1), 183?213 

  18. 황진숙, 양정하. (2004). 패션제품의 추구혜택과 상표 충성도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862?871 

  19.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ew York: The Free Press 

  20.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The Free Press 

  21. Aaker, D. A.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 347?348 

  22. Aaker, D. A. (1999). The malleable self: The role of selfexpression in persua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 45?57 

  23. Chaudhuri, A. & Holbrook, M. B. (2001).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5(2), 81?93 

  24. Dolich, I. J. (1969). Congruence relationships between self images and product bran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6, 80?84 

  25. Fournier, S. (1998).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4), 347?373 

  26. Graeff, T. R. (1996). Using promotional message to manage the effects of brand and self-image on brand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3, 4?18 

  27. Hughes, R. E. (1976). Self-concept and brand preference: A partial replication. The Journal of Business, 49(4), 530?541 

  28. Jacoby, J. & Chestnut, R. W. (1978). Brand loyal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29. Jacoby, J., Chestnut, R. W., & Kyner, D. B. (1973). Brand loyalty vs repeated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0(1), 1?9 

  30. Keller, K. L. (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New Jersey: Prentice Hall 

  31. Keller, K. L. (2001). Build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Marketing Management, 10(2), 15?19 

  32. Oliver, R. J. (1993). Cognitive, affective, and attribute bases of the satisfaction respon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12), 418?430 

  33. Oliver, R. J. (1999).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3, 33?43 

  34. Plummer, J. T. (1985). Brand personality: A strategic concept formultinational advertising, in marketing educator's conference. New York: Free Press 

  35. Sirgy, M. J. (1982).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u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December), 287?300 

  36. Taylor, R. E. (1999). A six-segment message strategy whe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6), 7?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