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온성 액체를 함유한 고분자 겔 전해질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Ionic Liquid Contained Polymer Gel Electrolyt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2 no.1, 2008년, pp.85 - 89  

류상욱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  송의환 (삼성SDI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온성 액체인 N-methoxymethyl-N-methylpyrrolidium bis(trifluoro-methansulfonyl)imide (MPSI)를 첨가제로 함유하는 acrylate 계열의 단량체를 다관능기형 acrylate 가교제와 함께 carbonate 용매에서 중합, 겔형의 고분자 전해질을 합성하였다.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성은 고분자의 함량, 가교제의 종류, 이온성 액체의 함량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인장강도를 조사하여 고분자 및 이온성 액체의 함량이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성분의 최적화는 고분자 함량 15 wt%, 이온성액체 30 wt% 그리고 5 wt%의 가교제를 함유한 겔 전해액으로 달성되었고, 0.5 MPa의 기계적 물성과 0.8 mS/cm의 우수한 상온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rylate polymer gel electrolytes containing N-methoxymethyl-N-methylpyrrolidium bis (trifluoro - methansulfonyl) imide (MPSI) as an ionic liquid were synthesiz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carbonate solvent. ionic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gel elect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단량체의 함량, 가교제의 종류 및 이온성 액체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가교형 아크릴레이트 고분자를 합성하였으며, 이들 변수들을 조절하여 높은 이온 전도도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이 구현되도록 하였다. 또한 이온성 액체와 합성된 고분자 겔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안성정을 측정하여, 리튬이온 이차 전지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이온성 액체는 서론 부분에서 언급한 것처럼 탄소계 음극 활물질과의 반응성이 있고, 전지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연구에서는 비교적 안정성이 뛰어난 pyrrolidinium 계열의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흑연계 음극을 사용하여 전지반응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흑연을 작용전극, 리튬 금속을 기준 및 대전극으로 사용한 3전극 셀을 제작하여 MPSI 5 wt%를함유한 ECZDEC 전해액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Figure 7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확인된 pyrrolidinium 계열의 이온성 액체인 Ae-methoxymethyl-Ae-methylpyrrolidium bis(tri- fluoromethansulfonyl) imide (MPSI) < 도입한 고분자 겔 전해질을 합성하여 우수한 기계적 강도 높은 이온 전도성 및 안정적인 전기화학적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성분비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단량체의 함량, 가교제의 종류 및 이온성 액체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가교형 아크릴레이트 고분자를 합성하였으며, 이들 변수들을 조절하여 높은 이온 전도도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이 구현되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합성된 고분자 겔 전해질은 상온에서 안정적인 형체를 유지할 수 있지만 나아.가 상업적인 응용을 위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보유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온성 액체의 함량을 30 wt%로 고정시키고 고분자의 함량 및 가교제의 종류를 변수로 하여 다양한 고분자 겔 전해질을 합성, 기계적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두께 1 mm의 필름으로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 Wright, Br. Polym. J., 7, 319 (1975) 

  2. M. Armand, Solid State Ionics, 9/10, 745 (1983) 

  3. J. MacCallum and C. Vincent, Polymer Electrolyte Review-1, Elsevier Applied Science, New York, 1987 

  4. Y. Shibata, T. Kato, T. Kado, R. Shiratuchi, W. Takashima, and K. Kaneto, Chem. Commun., 21, 2730 (2003) 

  5. M. Armand, Ann. Rev. Mater. Sci., 16, 245 (1986) 

  6. P. Wright, MRS Bulletin, 27, 597 (2002) 

  7. B. Kumar, L. Scanlon, R. Marsh, R. Mason, R. Higgins, R. Baldwin, Electrochim. Acta, 46, 1515 (2001) 

  8. D. Xie and J. Smid, J. Polym. Sci. Polym. Lett. Ed., 22, 617 (1984) 

  9. P. Hall, G. Davies, J. McIntyre, I. Ward, D. Bannister, and K. Le Groeq, Polym. Commun., 27, 98 (1986) 

  10. D. Payne and P. Wright, Polymer, 23, 690 (1983) 

  11. M. Watanabe, S. Nagano, K. Senui, and N. Ogata, Polym. J., 18, 809 (1986) 

  12. K. Nagaoka, H. Naruse, I. Shinohara, and M. Watanabe, J. Polym. Sci. Polym. Lett. Ed., 22, 659 (1984) 

  13. D. Wilson, C. Nicholas, R. Mobbs, C. Booth, and J. Giles, Br. Polym. J., 22, 129 (1990) 

  14. H. Xie, X. Tao, and J. Guo, Polymer, 35, 4914 (1994) 

  15. O. Bohnke, C. Rousselot, P. Gillet, and C. Truche, J. Electrochem. Soc., 139, 1682 (1992) 

  16. G. Appetecchi, F. Croce, E. Moyroud, and B. Scrosati, J. Appl. Electrochem., 25, 987 (1995) 

  17. J. Song, Y. Wang, and C. Wan, J. Power Sources, 77, 183 (1999) 

  18. Z. Lan, J. Wu, J. Lin, M. Huang, S. Yin, and T. Sato, Electrochim. Acta, 52, 6673 (2007) 

  19. P. Wang, S. Zakeeruddin, J. Moser, and M. Gratzel, J. Phys. Chem. B, 107, 13280 (2003) 

  20. S. Fang, L. Yang, C. Wei, C. Peng, K. Tachiabna, and K. Kamijima, Electrochem. Commun., 9, 2629 (2007) 

  21. H. Zheng, K. Jiang, T. Abe, and Z. Ogumi, Carbon, 44, 203 (2006) 

  22. M. Ishikawa, T. Sugimoto, M. Kikuta, E. Ishiko, and M. Kono, J. Power Sources, 162, 658 (2006) 

  23. N. Koura, K. Etoh, Y. Idemoto, and F. Matsumoto, Chem. Lett., 12, 1320 (2001) 

  24. M. Holzapfe, C. Jost, and P. Novak, Chem. Commun., 4, 2098 (2004) 

  25. Y. Katayama, M. Yukumoto, and T. Miura, Electrochem. Solid-State Lett., 5, A96 (2003) 

  26. T. Sato, T. Maruo, S. Marukane, and K. Takagi, J. Power Sources, 138, 253 (2004) 

  27. B. Garcia, S. Lavalle, G. Perron, C. Michot, and M. Armand, Electrochim Acta, 49, 4583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