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온성 액체 복합 Poly(ethylene oxide)(PEO)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Ionic Liquid Composite Poly(ethylene oxide)(PEO) Solid Polymer Electrolyte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9 no.3, 2016년, pp.101 - 106  

박지현 (청주대학교 태양광에너지공학과) ,  김재광 (청주대학교 태양광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의 안정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oly(ethylen oxide)(PEO)를 lithium bis (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N-butyl-N-methylpyrrolidinium bis (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와 블렌딩-가교 법으로 복합화시켜 PEO-LiTFSI-$Pyr_{14}TFSI$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전기화학적 산화 안정성 테스트에서 PEOLiTFSI-$Pyr_{14}TFSI$ 복합 고분자 전해질은 비록 4.4 V에서 약간의 산화곡선을 보이지만 5.7 V까지 안정하였다. PEO-LiTFSI-$Pyr_{14}TFSI$ 고분자 전해질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이온전도도가 증가하며, PEO계열의 고분자 전해질의 특성상 상온에서 $10^{-6}S\;cm^{-1}$로 낮지만 $70^{\circ}C$에서는 $10^{-4}S\;cm^{-1}$까지 증가 하였다. 리튬 고분자 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LiFePO_4$ 양극, PEOLiTFSI-$Pyr_{14}TFSI$ 복합 고분자 전해질, 리튬 음극으로 전지를 구성하였으며 0.1 C의 전류밀도에서 방전 용량이 $30^{\circ}C$에서 $40mAh\;g^{-1}$, $40^{\circ}C$에서는 $69.8mAh\;g^{-1}$, $50^{\circ}C$에서는 $113mAhg^{-1}$을 나타내 온도의 증가에 따라 방전 용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PEO-LiTFSI-$Pyr_{14}TFSI$ 복합 고분자 전해질은 $LiFePO_4$양극과 함께 50도에서 가장 우수한 충-방전 성능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repared an ionic liquid composite solid polymer electrolyte (PEO-LiTFSI-$Pyr_{14}TFSI$) with poly(ethylen oxide),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N-butyl-N-methylpyrrolidi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by blending-cross linking process. Although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8,9) 세 번째로 질량이 급격하게 감소된 지점은 430℃로 이온성 액체인 Pyr14TFSI의 분해로 인한 질량 감소이다.10) 상용화 되어 있는 분리막과 액체 전해질은 80℃에서 분해가 시작되어 120℃에서 완전히 소멸된다.11) 하지만 PEO-LiTFSIPyr14TFSI 복합 고분자 전해질은 300℃ 이상의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리튬 이차전지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차전지의 안정성 확보가 중요해진 까닭은 무엇인가? 6 V급의 작동 전압과 높은 에너지밀도를 가진 가볍고 치밀한 설계로 가전 시장에서 혁신을 일으켰다. 현재는 휴대용 이차전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전기 자동차나 간헐적인 재생에너지의 저장에 필요한 대규모의 이차전지 시스템이 필요함에 따라 이차전지의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현재 리튬 이온 이차전지에서 흔히 사용되는 액체 알킬-카보네이트계 전해질은 가연성과 휘발성이 있어 다른 전해질로 대체되어야 한다.
리튬 이온 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알킬-카보네이트계 전해질을 대체할 전해질은 무엇이 있는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사용이 될 수 있다. 이 전해질은 열적 안정성이 높고 유연 하여 얇은 박막으로 제조 가능하여 가변형 전지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의 안정성과 성능 향상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사용이 될 수 있다. 이 전해질은 열적 안정성이 높고 유연 하여 얇은 박막으로 제조 가능하여 가변형 전지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의 안정성과 성능 향상에서도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poly(ethylen oxide) (PEO) 계열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상온에서 이온전도도가 낮으며, 전극과 전해질의 높은 계면 저항을 나타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낮은 해리 에너지를 가진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LiTFSI)과 같은 리튬 염을 사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Kalhoff, G. G. Eshetu, D. Bresser, and S. Passerini, 'Safer electrolytes for lithium-ion batteries: State of the art and perspectives' ChemSusChem, 8, 2154 (2015). 

  2. D. H. Kim and S. W. Ryu, 'Synthe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anched solid polymer electrolytes containing ethylene carbonate group' J. the Korean Electrochem. Soc., 18, 150 (2015). 

  3. M. Wetjen, G. T. Kim, M. Joost, G. B. Appetecchi, M. Winter, and S. Passerini, 'Therm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EO-LiTFSI-Pyr_{14}TFSI$ -based composite cathodes, incorporating 4 V-class cathode active materials' J. Power Sources, 246, 846 (2014). 

  4. J. H. Shin, W. A. Henderson, C. Tizzani, S. Passerini, S. S. Jeong, and K. W. Kim, 'Characterization of Solvent-Free Polymer Electrolytes Consisting of Ternary $PEO-LiTFSI-PYR_{14}TFSI$ ' J. Electrochem. Soc., 153, A1649 (2006). 

  5. G. B. Appetecchi, M. Carewska, F. Alessandrini, P. P. Prosini, and S. Passerin, 'Characterization of PEO-based composite cathodes. I. Morphological, thermal,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J. Electrochem. Soc., 147, 451 (2000). 

  6. J. K. Kim, L. Niedzicki, J. Scheers, C. R. Shin, D. H. Lim, W. Wieczorek, P. Johansson, J. H. Ahn, A. Matic, and P. Jacobsson, 'Characterization of N-butyl-N-methyl-pyrrolidi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based polymer electrolytes for high safety lithium batteries' J. Power Sources, 224, 93 (2013). 

  7. G. B. Appetecchi, M. Montanino, D. Zane, M. Carewska, F. Alessandrini, and S. Passerini, 'Effect of the alkyl group on the synthesis an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N-alkyl-N-methyl-pyrrolidi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 imide ionic liquids' Electrochim. Acta, 54, 1325 (2009). 

  8. P. D. S. Claire, 'Degradation of PEO in the solid state: a theoretical kinetic model' Macromolecules, 42, 3469 (2009). 

  9. G. B. Appetecchi, J. Hassoun, B. Scrosati, F. Croce, F. Cassel, and M. Salomon, 'Hot-pressed, solvent-free, nanocomposite, PEO-based electrolyte membranes: II. All solid-state $Li/LiFePO_4$ polymer batteries' J. Power Sources, 124, 246, (2003). 

  10. J. K. Kim, D. H. Lim, J. Scheers, J. Pitawala, S. Wilken, P. Johansson, J.H. Ahn, A. Matic, and P. Jacobsson, 'Properties of N-butyl-N-methyl-pyrrolidi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 imide based electrolytes as a function of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 imide doping' J. the Korean Electrochem. Soc., 14, 92 (2011). 

  11. Y. J. Lim, H. W. Kim, S. S. Lee, H. J. Kim, J. K. Kim, Y. G. Jung, and Y. Kim, 'Ceramic-based composite solid electrolyte for lithium-ion batteries' ChemPlusChem, 80, 1100 (2015). 

  12. P. P. Prosini, M. Carewska, F. Alessandrino, and S. Passerini, 'The two-phase battery concept: a new strategy for high performance lithium polymer batteries' J. Power Sources, 97-98, 786 (2001). 

  13. S. Matsui, T. Muranaga, H. Higobashi, S. Inoue, and T. Sakai, 'Liquid-free rechargeable Li polymer battery' J. Power Sources, 97, 772 (2001). 

  14. A. Lahiri, N. Borisenko, A. Borodin, M. Olschewski, and F. Endres, 'Characterisation of the solid electrolyte interface during lithiation/delithiation of germanium in an ionic liquid' PhysChemChemPhys., 18, 5630 (2016). 

  15. Y. H. Kim, G. Cheruvally, J. W. Choi, J. H. Ahn, K. W. Kim, H. J. Ahn, D. S. Choi, and C. E. Song,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EO-based polymer electrolytes blended with different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s' Macromol. Symp., 249-250, 18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