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나무수액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세포독성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ytotoxicity of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Sap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1, 2008년, pp.105 - 110  

조숙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최용조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노치웅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최철웅 (국제대학교 식품과학부) ,  김덕송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  조성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나무수액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를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수행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나무수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DPPH 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고, ROS를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배양된 대식세포에 대나무수액을 농도별로 첨가한 결과 대나무수액 농토가 높을수록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자극이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대나무수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24시간 후 세포의 형태변화를 HIT assay로 실시한 결과 산화적 자극에 의해 발생한 세포손상이 대나무수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Ascorbic acid는 $H_2O_2$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독성을 억제해 주는 효과가 10 %로 우수하게 나타났고 대나무수액 역시 고농도에서 27 %의 세포손상 방지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대나무수액은 안전하고 독성이 전혀 없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bamboos sap isolated from Phyllostachys pubescens were investigated. This product scaveng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prevented lipid peroxidatio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amboo sap pr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BHA와 BHT등의 합성 항산화제는 항산화력이 뛰어나 상업용 식품 및 의약품 등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페놀계 항산화제이나 이들은 변이원성 및 독성의 유해성이 지적되고 있어 (32) 사용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연구 개발되어진 천연항산화제와 달리 천연 대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독성이 없는 항산화성 효능분석을 통하여 천연 항산화 식품소재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코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im M.J., Byun, M.W. and Jang M.S. (1996)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 (Sasa corean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35-142 

  2. Chung, H. J. and Ko, B. G. (2005) Antibacterial activities of bamboo sap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inhibitory effects in a model food system. Korean J. Food Culture, 20, 709-714 

  3. Shibata, M., Sato, F., Takeshita, K. and Otani, K. (1980) Pharmacological studies on bamboo grass Sasa- albomarginata 5. Combined effects of the extract F-D with vitamin C. Shoyakugaku Zasshi. 34, 274-279 

  4. Yoon, M. Y. (2001)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sap from Phyllostachys pubescen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5. 박상범 (1997) 대나무 신용도 개발(1). 월간 임업정보 제 93호 p. 48-53 

  6. Kim S.I. (1995) Utilization and pharmaceutical functions of bamboo tree. Annual report of national union of forestry. p. 32, 78-81, 326 

  7. 김홍은, 권기철, 박철화, 조남석 (1998) 소백산 지역의 수액채취종의 분포 및 수액채취량 Mockchae Konghak. 20, 15-19 

  8. 정성호 (1996) 특용수액음료개발. 산림. 산림조합중앙회 363(3), p.98-104 

  9. 국립전주박물관 (2002) 우리 문화속의 대나무. p. 213 

  10. Michiko, F. (1990) Difference between bamboo shoots and vegetables in thermal disintegration of tissues and polysaccharides fractionated by successive extraction. J. Food Sci., 55, 739-745 

  11. Rajebhosale, V.A., Burte, R.G. and Toro, V.A. (1998) Nutritive value of bamboo (Dendrocalamus calostachyus) leaves for crossbred calves. Ind. J. Anim. Nutr., 15, 58-60 

  12. Tsunoda, S., Yamamoto, K., Sakamoto, S., Inoue, H. and Nagasawa, H. (1998) Effects of Sasa health, extract of bamboo grass leaves, on spontaneous mammary tumourigenesis in SHN mice. Anticancer Res., 18, 153-158 

  13. Kim, N.K., Cho, S.H., Lee, S.D., Ryu, J.S. and Shim, K.H. (2001) Chemical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bamboo(Phyllostachys sp.).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469-474 

  14. Lee, M.J., Moon, G.S.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 juk, jolit-dae and o-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26-1232 

  15. Chuyen N.V., Kurata T., Kato H. and Fujimaki, M. (1982) Antimicrobial activity of kuazasa (Sasa albo-marginata). Agric. Biol. Chem., 46, 971-975 

  16. Kim, N.K., Cho, S.H., Lee, S.D., Ryu, J.S. and Shim, K.H. (2001)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Phyllostachys sp.).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475-480 

  17. Baek, J.W., Chung, S.H. and Moon, G.S. (200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bamboo culms and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73-1078 

  18. Kweon, M.H., Hwang, H.J. and Sung, H.C.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c. Food Chem., 49, 4646-4655 

  19. Hu, C., Zhang, Y. and Kitts, D.D.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leaf extract in vitro. J. Agric. Food Chem., 48, 3170-3176 

  20. Shin, D.W. and Lee, B.W.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0-204 

  21. Chung, M.J., See, S.J, Shin, J,H, Cho, J,S., and Seong, R,J. (1995)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aps from the white birches, bamboo trees and Actinidia arguta. J. Korean Soc. Food Nutr., 24, 727-733 

  22. Chung, S.H. (1996) Development of bamboo sap. Annual Report of National Union of Forestry, 363, 98-104 

  23. Park, S.B. (1996) Utilization of bamboo sop. Annual Report of National Union of Rorestry. 367, 102-109 

  24. Lee, S.O., Kim, M.J., Kim, D.K. and Choi, H.J.(2005)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n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4, 139-147 

  25. Papa, S. and Skulachev, V.P.(1997) Reactive oxygen species, mitochondria, apoptosis and aging. Mol. Cell. Biochem., 174, 305-319 

  26. Szuster-Ciesielska, A., Daniluk, J. and Kandefr-Szerszen, M. (2001) Alcohol-related cirrosis with pancreatitis.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in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Arch. Immunol. Ther. Exp., 49, 19-22 

  27. Sranely Mainzen Princem, P. and Menon, V. P. (2001) Antioxidant action of Tinospora cordifolia root extract in alloxan diabetic rats. Phytother. Res., 15, 213-217 

  28. Young, I. S. and McEneny, J. (2001) Lipoprotein oxidation and atherosclerosis. Biochem. Soc. Trans., 29, 358-361 

  29. Radi, R., Beckman, J.S., Bush, K.M. and Freeman, B.A. (1991) Peroxynitrite-induced membrane lipid peroxidation; The cytotoxic potential of superoxide and notric oxide. Arch. Biochem. Biophys., 288, 481-485 

  30. Corl, M.M. (1974)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 and ascorbylpalmitate and their mode of action. JAOCS, 51, 321-325 

  31. Coleman, M.D., Fermandes, S. and Khanderia, L.A. (2003) A preliminary evaluation of a novel method to monitor a triple antioxidant combination(vitamin E, C and ${\alpha}$ -lipoic acid) in diabetic volunteers using in vitro methaemoglobin formation. Environ. Toxicol. Pharmacol., 14, 69-75 

  32. Ito, N., Fukushima, Hagiwara, A., Shibata, M. and Ogiso, T. (1983) Carcinogenicit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on F344 rats. J. Natl. Cancer Inst., 70, 343-352 

  33. Wang, H., Joseph, J.A. (1999) Quantifying cellular oxidative stress by dichlofluorescein assay using microplate reader. Free Radic. Biol. Med. 27, 612-616 

  3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35. Choi, J.H. and Oh, S.K .(1985) Studies on the anti-aging of Korean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06-515 

  36. Kim, E.Y., Lee, M.J., Song, Y.O. and Moon, G.S. (2004). Effect of maengjong-juk (phyllostachys pubescens) extract coated rice diet on antioxidative system of C57BL/6 mice fedatherogenic diet. Kor. J. Community Nutr., 9, 536-544 

  37. Kweon, M.H., Hwang, H.J. and Sung, H.C.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phyllostachys edulis). J. Agric. Food Chem., 49, 4646-4655 

  38. Ames, B.N., Shigenog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39. Harman, D. Aging : a theory based on free radical and radiation chemistry. (1956) J. Gerontol., 2, 298-300 

  40. Miquel, J., Quintanilha, A.T. and Weber, H.(1989) In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I p.223 

  41. Harman, D. (1982) In free radicals in biology V. Academic Press, New York. pp. 255-2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