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생 쑥부쟁이속 식물 4종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Four Aster Species Native to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1 no.1, 2008년, pp.52 - 59  

우정향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정식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영득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ter속 식물의 부위별 항산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4종의 Aster속 식물을 수확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radical 소거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모든 식물에서 지상부보다 꽃의 추출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참취 꽃 > 해국 지상부 > 참취 지상부 > 해국 꽃 순으로 높았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참취 꽃 > 해국 지상부 > 해국 꽃 > 참취 지상부 순으로 높았다. $Fe^{2+}$ chelating 효과는 모든 시료에서 대조구인 EDTA보다 낮았으며, 시료 중에는 해국의 지상부에서 비교적 좋은 효과를 보였다. 추출물 중 참취 꽃, 해국 지상부, 벌개미취 꽃, 참취 지상부는 지질산패 8일째에서도 BHT보다 linoleic acid의 산화를 강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참취 꽃이 각각 $90.46{\mu}g{\cdot}g^{-1}$$75.36{\mu}g{\cdot}g^{-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해국 꽃이 $60.78{\mu}g{\cdot}g^{-1}$, $41.48{\mu}g{\cdot}g^{-1}$로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potentials of 4 Aster species. Flowers and aerial parts were extracted with 80% ethano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bioactive substance contents were investigated. Flowers showed higher extraction yield than aerial parts of all 4 specie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ster속 식물의 부위별 항산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연구를 실시하였다. 4종의 Aster속 식물을 수확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radical 소거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최근에는 각종 식물추출물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를 찾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생 쑥부쟁이속(Aster) 식물 4종의 대체 천연항산화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g, M.H., D.H. Kim, J.S. Yoo, D.Y. Lee, M.C. Song, H.J. Yang, T.S. Jeong, K.T. Lee, M.S. Choi, H.G. Chung and N.I. Baek. 2005.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IV.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herba). J. Kor. Soc. Appl. Biol. Chem. 48: 418-420 

  2.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J. Am. Oil Chem. Soc. 52: 59-63 

  3. Cho, S.Y., Y.B. Han and K.H. Shin. 2001.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 Soc. Food Sci. Nutr. 30: 133-137 

  4. Cho, Y.O.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Korean wild leafy vegetables: Aster scaber and Ligularia fischeri. Nutraceuticals & Food 7: 146-150 

  5. Choi, S.Y., S.H. Lim, J.S. Kim, T.Y. Ha, S.R. Kim, K.S. Kang and I.K. Hwang. 2005.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7: 549-556 

  6. Choi, Y.M., B.H. Chung, J.S. Lee and Y.G. Cho. 2006.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Kor. J. Crop Sci. 51: 209-214 

  7. Chon, S.U., Y.M. Kim, D.K. Kim, B.G. Heo and J.Y. Cho. 2006. Phytotoxic effe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hlorogenic acid level of methanol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several Korean salad plants. Kor. J. Plant Res. 19: 405-410 

  8. Duthie, G. and A. Crozier. 2000. Plant-derived phenolic antioxidants.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3: 447 

  9. Ham, S.S., E.H. Hong, S.Y. Lee, G.G. Park and H. Omura. 1991. Partial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Aster scaber. J. Kor. Soc. Food Nutr. 20: 241-245 

  10. Han, W.S. 2003.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radical scavengers from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Kor. J. Med. Crop Sci. 11: 1-4 

  11. Heo, C., N.Y. Kim, H.P. Kim and M.Y. Heo.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s or fruits extract in Mice. J. Pharm. Soc. Kor. 49: 249-254 

  12. Heo, S.I., Y.S. Jin, J.H. Sa, T.H. Shim and M.H. Wang. 2005.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Aster ciliosus Kitamura. Kor. J. Pharmacogn. 36: 164-170 

  13. Jang, H.W., H.J. Lee and K.G. Lee. 2005.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olatile extracts from pla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Kor. J. Food Sci. Technol. 37: 723-729 

  14. Jeong, J.A., S.H. Kwon and C.H. Lee. 2007.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erial and underground part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ferns. Kor. J. Plant Res. 20: 185-192 

  15. Kang, H.J., E.J. Lee, S.H. Sung, Y.C. Kim, E.S. Song, M.J. Park and H.S. Lee. 2003. Anti-hepatotoxic activity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extract. Kor. J. Food Sci. Technol. 35: 138-143 

  16. Kim, E.Y., I.H. Baek, J.H. Kim, S.R. Kim and M.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7. Kim, H.J., J.Y. Cha, M.L. Choi and Y.S. Cho.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luble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8-152 

  18. Kim, H.K., Y.E. Kim J.R. Do, Y.C. Lee and B.Y. Lee.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0-85 

  19. Kim, H.K., Y.J. Kwon, Y.E. Kim and B. Nahmgung. 2004.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 J. Food Preserv. 11: 88-93 

  20. Kim, U.S., H.K. Yoon and S.J. Koo. 2004.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materials in a traditional one-dish meal (bibimbab). Kor. J. Soc. Food Cook. Sci. 20: 134-139 

  21. Lee, H.K., J.S. Kim, N.Y. Kim, M.J. Kim, S.U. Park and C.Y. Yu. 2003. A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Kor. J. Med. Crop Sci. 11: 53-61 

  22. Lee, J.K. and S.J. Koo. 2005.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Echinacea angustifolia. Kor. J. Food Cook. Sci. 21: 311-318 

  23. Lee, J.M., K.S. Shin and H.J. Lee. 1999.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vitamins in horticultural foods. Kor. J. Dietary Cult. 14: 167-173 

  24. Lee, M.S., S.H. Lee and K.B. Song. 2004. Effect of various natural antioxidants on the safflower Oil. Kor. J. Food Preserv. 11: 126-129 

  25. Lee, S.D., H.H. Park, D.W. Kim and B.H. Bang. 2000.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Kor. J. Food & Nutr. 13: 490-505 

  26. Marnett, L.J. 2000. Oxyradicals and DNA damage. Carcinogenesis 21: 361 

  27. Moon, G.S., T.W. Kwon and S.H. Ryu. 2003.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bean components by different assays. Kor. Soybean Digest. 20: 28-36 

  28. Moon, H.I., S.H. Lyu, J.H. Roh and O.P. Zee. 2000. Antioxidative compounds of Achillea sibirica Ledeb. Kor. J. Med. Crop Sci. 8: 1-8 

  29. Nam, Y.K. and J.A. Baik. 2005. Status of research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about endemic wild vegetables in Korea. J. Kor. Soc. Plants, People and Envir. 8: 1-10 

  30. Shin, K.H., S.H. Lee, D.H. Cho and C.H. Park. 1998. Analysis of vitamins and general components in the leaves of chwinamul. Kor. J. Plant Res. 11: 163-1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