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어순 구조를 고려한 Two-Path 언어모델링
Two-Path Language Modeling Considering Word Order Structure of Korean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27 no.8, 2008년, pp.435 - 442  

신중휘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  박재현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  이정태 (고려대학교 컴퓨터.전파통신공학과) ,  임해창 (고려대학교 컴퓨터.전파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gram 모델은 영어와 같이 어순이 문법적으로 제약을 받는 언어에 적합하다. 그러나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한국어에는 적합하지 않다. 기존 연구는 어절 간 어순의 고려가 어려운 한국어의 특성을 반영한 twoply HMM을 제안했으나, 인접 어절 간 어순 구조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용언형태소 사이에 나타나는 인접 어절 간에 어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두 어절을 결합하는 세그먼트 단위를 정의하고, 제안한 세그먼트 단위에서 문맥에 따라 확률을 달리 추정하는 two-path 언어모델을 제안한다. 그 결과 기존 한국어 언어모델에 비해 제안하는 two-path 언어모델은 기존 연구보다 25.68% 혼잡도를 줄였으며, 어절 간에 결합이 일어나는 경계인 용언형태소에서는 94.03%의 혼잡도를 줄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gram model is appropriate for languages, such as English, in which the word-order is grammatically rigid. However, it is not suitable for Korean in which the word-order is relatively free. Previous work proposed a twoply HMM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t failed to reflect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용언형태소를 포함하는 어절과 그 이전 어절 간에 어순 구조가 있음을 밝히고, 두 어절의 결합을 통해 해당 인접 어절 간의 어순 구조를 고려하는 새로운 단위의 세그먼트를 정의한다. 또한 이렇게 정의된 세그먼트 단위에 적합한 문맥 정보를 이용하는 언어모델링을 제안한다. 이는 문맥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두 경로의 확률을 추정하는 문맥 기반 two-path 언어모델이다.
  •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형태소 단위의 언어모델은 교착어의 형태소 교착에 의한 어절 생성으로 어절의 종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많은 교착어에서 형태소 단위 언어모델 [8]을 이용하고 있고, 한국어 [9]에서도 이미 적용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용언형태소를 포함하는 어절과 그 이전 어절 간에 어순 구조가 있음을 밝히고, 두 어절의 결합을 통해 해당 인접 어절 간의 어순 구조를 고려하는 새로운 단위의 세그먼트를 정의한다. 또한 이렇게 정의된 세그먼트 단위에 적합한 문맥 정보를 이용하는 언어모델링을 제안한다.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인접 어절 간 어순을 고려하여 언어모델링을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인접 어절 간 어순이 나타나는 용언 대상 어절과 용언을 포함하는 어절 사이의 결합을 통한 세그먼트 단위를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언어모델링이 용이하면서도 한국어의 어순 구조를 반영할 수 있도록 두 인접 어절 간에 어순 구조가 존재하는 경우를 살펴 볼 것이다. 그 이유는 한국어의 자유로운 어순 구조로 인해 문장 내 어절 열을 이용하여 다음 어절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인접한 두 어절 간에 어순 구조가 존재하면 두 어절 중 처음 어절을 이용하여 다음 어절을 예측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gram 모델는 어떤 언어의 적용에 적합한가? n-gram 모델은 영어와 같이 어순이 문법적으로 제약을 받는 언어에 적합하다. 그러나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한국어에는 적합하지 않다.
언어모델이 하는 역할은? 언어모델은 문장이 나타날 확률로 다음 단어를 예측하거나 중의성을 해소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언어모델은 음성인식 [1], 기계번역 [2] 등 다양한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이용된다.
n-gram 모델 적용에 적합하지 않은 언어는? n-gram 모델은 영어와 같이 어순이 문법적으로 제약을 받는 언어에 적합하다. 그러나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한국어에는 적합하지 않다. 기존 연구는 어절 간 어순의 고려가 어려운 한국어의 특성을 반영한 twoply HMM을 제안했으나, 인접 어절 간 어순 구조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F. Jelinek, "Self-organized language modeling for speech recognition", Readings in Speech Recognition, A. Waibel and K. F. Lee, eds., Morgan Kaufmann, 450-506, 1990 

  2. P. F. Brown, S. A. Della Pietra, V. J. Della Pietra, F. Jelinek, J. D. Lafferty, R. L. Mercer, and Roossin, P.S. "A statistical approach to machine translation", Computational Linguistics, 16(2), 79-85, 1990 

  3. D. Jurafsky and J. H. Martin,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Prentice Hall, 2007) Chap.4, pp.83-121 

  4. 김진동, 임희석, 임해창, "Twoply HMM: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형태소 단위의 품사 태깅 모델", 정보과학회논문지 (B), 24 (12), 1502-1512, 1997 

  5. L. Rabiner and B. Juang, "An Introduction to hidden Markov models", ASSP Magazine IEEE Signal Processing, 3(1), 4-16, 1986 

  6. E. Arisoy and M. Saraclar, "Lattice extension and rescoring based approaches for LVCSR of turkish", in INTERSPEECH, 1025-1028, 2006 

  7. J. Gao, H. Suzuki, and Y. Wen, "Exploiting headword dependency and predictive clustering for language modeling", in EMNLP-2002, 248-256, 2002 

  8. M. Creutz, T. Hirsimaki, M. Kurimo, A. Puurula, J. Pylkkonen, V. Siivola, M. Varjokallio, E. Arisoy, M. Saraclar, and A. Stolcke, "Morph-based speech recognition and modeling of out-of-vocabulary words across languages", ACM TSLP, 5(1), 2007 

  9. O. Kwon and J. Park, "Korean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with morpheme-based recognition units", Speech Communication, 39(3-4), 287-300, 2003 

  10. N. Hideki, Corpus-based approaches to sentence structures (John Benjamins Pub Co., 2005), Chap.3, pp.51-76 

  11. S. M. Katz, "Estimation of probabilities from sparse data for the language model component of a speech recognizer", IEEE Transactions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35, 400-401, 1987 

  12. A. Stolcke, "SRILM-an extensible language modeling toolkit", in ICSLP-2002, 901-904,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