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급식용 식재료 및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평가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Raw Materials and Cook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Establish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3, 2008년, pp.379 - 389  

신원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완수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에 대한 미생물적 품질검사를 위하여 2005년 6월${\sim}$7월, 9월${\sim}$10월의 2회로 나누어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11개교에서 원료 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시료(54종 64품목)를 수거하였다. 수거한 시료 중 장내세균전처리 채소에서 $0.86{\sim}6.78$ log CFU/g, 육류(돼지고기, 쇠고기, 닭봉)에서 $2.08{\sim}5.18$ log CFU/g, 어류(고등어, 코다리, 동태)에서 $2.20{\sim}4.1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양념된 채소인 생채류와 샐러드에서 $2.99{\sim}5.30$ log CFU/g, 숙채류에서는 $2.45{\sim}4.2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반 가공 식품인 J교의 떡국떡, D교의 두부에서도 각각 0.72와 2.44 log CFU/g의 장내세균이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전처리 야채인 쪽파(1.74 log CFU/g), 비전처리 야채에서 방울토마토(3.70 log CFU/g), 깻잎(3.59 log CFU/g), 쑥갓(3.15 log CFU/g), 미나리(0.20 log CFU/g), 파슬리(3.00 log CFU/g) 등 5건이 검출되었고, 육류는 돼지고기(0.65 log CFU/g), 쇠고기($0.20{\sim}1.50$ log CFU/g), 닭봉(1.78 log CFU/g)에서 검출되었다. 조리된 식품에서는 숙채류인 무청된장무침에서 1건(1.24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다중검출 유전자분석법(Multiplex PCR)을 이용한 유전자분석방법으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aureus, B. cereus, C. jejuni, V. parahaemolyticus, Shigella spp. 8종을 검출하여 확인한 결과, 8건의 조리된 음식과 식재료 19건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B. cereus의 정량검사 결과, 깻잎 5.46 log CFU/g, 청포묵무침 1.79 log CFU/g, 쪽파(전처리) 3.48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조리식품인 청포묵무침과 코다리조림은 원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조리된 식품에서 B. cereus가 검출되어 조리과정에서의 교차오염으로 판단되었다. E. coli O157:H7은 냉동쇠고기에서 2건이 검출되었고 1건이 API kit로 확인 동정(93.7%)되었다. L. monocytogenes는 유전자분석결과 튀김 1건에서 검출되었으나 전통적인 배지법으로 확인 실험한 결과, 의심집락은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C. jejuni는 전처리한 양파에서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and cooked foods served in the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Raw and cooked f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1 selected elementary schools in both June to July and September to October of 2005. Petrifilm plates were used to d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이 직영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초등학교의 급식용 식재료와 조리식품의 미생물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점심식사용으로 공급되는 식재료 및 조리식품을 수거하여 위생지표균과 식중독 유발균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 유전자분석법인 PCR검출법은 증균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검출할 수 있을 만큼 검출민감도가 높으며, 시료전처리에서 확인까지 검출시간이 짧아 경제적이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시판식품이나 미생물오염이 의심되는 식품으로부터 신속하게 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모니터링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6,7). 본 연구에서는 수거한 급식용 식재료와 조리식품에서 신속하게 식중독유발 가능성이 있는 미생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8종의 미생물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와 DNA를 추출하지 않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현장에서 수거한 많은 시료에 대한 1차 검색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염여부가 판단된 시료에 대해 확인․동정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및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에 대한 미생물적 품질검사의 결과는 어떠한가?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에 대한 미생물적 품질검사를 위하여 2005년 6월~7월, 9월~10월의 2회로 나누어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11개교에서 원료 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시료(54종 64품목)를 수거하였다. 수거한 시료 중 장내세균은 전처리 채소에서 0.86~6.78 log CFU/g, 육류(돼지고기, 쇠고기, 닭 봉)에서 2.08~5.18 log CFU/g, 어류(고등어, 코다리, 동태) 에서 2.20~4.1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양념된 채소인 생채류와 샐러드에서 2.99~5.30 log CFU/g, 숙채류에서는 2.45~4.2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반 가공식품인 J교의 떡국떡, D교의 두부에서도 각각 0.72와 2.44 log CFU/g의 장내세균이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전처리 야채인 쪽파(1.74 log CFU/g), 비전처리 야채에서 방울토마토 (3.70 log CFU/g), 깻잎(3.59 log CFU/g), 쑥갓(3.15 log CFU/g), 미나리(0.20 log CFU/g), 파슬리(3.00 log CFU/g) 등 5건이 검출되었고, 육류는 돼지고기(0.65 log CFU/g), 쇠 고기(0.20~1.50 log CFU/g), 닭봉(1.78 log CFU/g)에서 검출되었다. 조리된 식품에서는 숙채류인 무청된장무침에서 1건(1.24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다중검출 유전자분석법 (Multiplex PCR)을 이용한 유전자분석방법으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aureus, B. cereus, C. jejuni, V. parahaemolyticus, Shigella spp. 8종을 검출하여 확인한 결과, 8건의 조리된 음식과 식재료 19건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B. cereus의 정량검사 결과, 깻잎 5.46 log CFU/g, 청포묵무침 1.79 log CFU/g, 쪽 파(전처리) 3.48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조리식품인 청포묵무침과 코다리조림은 원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 으나 조리된 식품에서 B. cereus가 검출되어 조리과정에서의 교차오염으로 판단되었다. E. coli O157:H7은 냉동쇠고기에서 2건이 검출되었고 1건이 API kit로 확인 동정(93.7%)되 었다. L. monocytogenes는 유전자분석결과 튀김 1건에서 검출되었으나 전통적인 배지법으로 확인 실험한 결과, 의심 집락은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C. jejuni는 전처리한 양파에서 검출되었다.
학교 급식의 식중독발생규모는 어떠한 추이를 보였는가? 4%)에 이르고 있다(1). 그러나, 학교급식의 급격한 양적 성장과 함께 식중독발생규모도 대형화하여 2004년에 56건 (환자수 6,673명), 2005년에 19건(환자수 2,304명), 2006년 70 건(6,992명)으로 조사되었다(2). 이들 학교급식소에서 발생 한 식중독환자의 수를 식중독으로 인한 전체 환자수와 비교 해보면 연도별로 2004년에 64.
교육인적자원부는 학교급식법을 어떻게 개정하였는가? 5%로 매년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 이에 교육인적자원부는 학교급식의 질적 개선을 위한 대책 으로 학교급식법을 2007년 1월 전면개정(3)하여 ‘학교급식 식재료의 품질관리 기준’(제4조 1항)으로 농산물(전처리 농 산물 포함), 축산물, 수산물(전처리 수산물 포함), 가공식품 및 기타 등으로 학교급식용 식재료에 대한 품질세부 지침을 명시하였다. 학교급식 위생관리지침서(4)에서는 잠재적으 로 위험성이 있는 식재료의 규격기준을 정하여 이를 준수하 고 식재료를 공급하는 업체의 선정 및 관리기준을 마련, 위 생관리 능력과 운영능력이 있는 업체를 선정함으로써 보다 신선하고 질이 좋으며 위생적으로 안전한 식재료를 구입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2006. http://www.moe.go.kr/main.jsp?idx0306010101&pageSize10&cp1&modelist. Korea 

  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2006. http://fm.kfda.go.kr. Korea 

  3. 개정 학교급식법령. 2007. 법률 제7962호. 교육인적자원부 

  4.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2004. Manual for Safety Management in School Food Service (11-1340000-000185-14). Seoul, Korea. p 27-38 

  5. Yoo HC, Park HK, Kim K. 2000.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prepared foods and raw materials of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15: 123-137 

  6. Moon GS, Kim WJ, Shin WS. 2003. Development of detection sensitivity of Listeria monogenes using crude pediocin-1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od Sci Biotechnol 12: 435-438 

  7. Moon GS, Kim WJ, Shin WS. 2004. Optimization of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by PCR and application to field test. J Food Prot 67: 1634-1640 

  8. Kim JS, Bang OK, Chang HC. 2004.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d Hyg Safety 19: 60-65 

  9. Kim HY, Cha JM. 2002. A study for the quality of vegetable dishes without heat treatment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 J Soc Food Cookery Sci 18: 309-318 

  10. Bae HJ, Lee JH, Oh SI. 2003. Effect of applying pretreatment methods before cooking for decreasing the microbiological hazard of cooked dried fish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555-561 

  11. Jeon IK, Lee YK. 2004. Verification of the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Focus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in non-heat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154-1161 

  12. Tessi MA, Aringoli EE, Pirovani ME, Vincenzini AZ, Sabbag NG, Costa SC, Garcia CC, Zannier MS, Silva ER, Moguilevsky MA. 2002.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afety of ready-to-eat cooked foods from a centralized school kitchen in Argentina. J Food Prot 65: 636-642 

  13. Sagoo SK, Little CL, Mitchel RT. 2003. Microbiological quality of open ready-to-eat salad vegetables: effectiveness of food hygiene training of management. J Food Prot 66: 1581-1586 

  14. Littel CL, Omotoye R, Mitchell RT. 2003.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eady-to-eat foods with added spices. Int J Environ Health Research 13: 31-42 

  15. Lehmacher A, Bockmuhl J, Aleksic S. 1995. Nationwide outbreak of human Samonellosis in Germany due to contaminated paprika and paprika powdered potato chips. Epidemiol Infect 115: 501-511 

  16. Cameron G. 1998. Need to consider Bacillus subtilis as a cause of food poisoning. N Zealand Pub Health Rep 5: 11 

  17. Michino H, Araki K, Minami S, Takaya S, Sakai N, Miyazaki M. 1999. Massive outbreak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fection in school children in Sakai City, Japan,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white radish sprouts. Am J Epidemiol 150: 797-803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5. Food Code. Korea 

  19. Kwak HS, Whang IK, Park JS, Kim MK, Lee KY, Gho YH, Bae YY, Moon SY, Byun JS, Kwon KS, Woo GJ. 2006. Quantitative evalua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n commercial Sangsik. J Fd Hyg Safety 21: 41-46 

  20. Bae HJ, Park HJ. 2007. Hazard analysis of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sandwich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30-9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