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시 일부 중.고등학교의 급식용 식재료 및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품질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and Cooked Foods in Middle and High School Food Service Establishm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0, 2008년, pp.1343 - 1356  

김명희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  신원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8개교 일반 중 고등학교와 1개교 특수학교에서 수거한 식재료 및 조리식품은 비전처리 채소가 38종, 전처리 채소가 13종, 육류 9종, 어패류(냉동 혹은 조미 포함) 3종, 건어물 7종, 반가공 혹은 가공 식재료 20종이었다. 수거한 식재료 중 전처리 야채(8종)에서 대장균군$3.4{\sim}4.3\;log\;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육류(4종)에서는 대장균군이 $2.2{\sim}4.3\;log\;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조리식품인 생채와 샐러드에서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에서 제시한 대장균 검출 기준치(g당 1,000 CFU이하)를 넘어선 수준의 $2.3{\sim}55\;log\;CFU/g$ 수준의 대장균군이 검출되었고, 가열처리를 거친 조리식품에서도 $1.0{\sim}3.5\;log\;CFU/g$수준으로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수거한 식재료와 조리식품 중 16종의 식품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청(8)에서 고시한 "신선편이식품 및 즉석식품의 미생물적 품질기준(대장균, 음성)"에 부적합하였다. 병원성 식중독 세균 중에서 B. cereus는 16종의 비전처리 채소, 2종의 전처리 채소, 3종의 가공식재료, 3종의 비가열조리 식품, 8종의 가열조리식품에서 검출되었으며, 정량검사를 실시한 결과, 당근 $3.6\;log\;CFU/g$, 무우 $2.9\;log\;CFU/g$, 부추 $2.5\;log\;CFU/g$, 건새우 쥐어채볶음 2.3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용혈성 대장균인 E. coli O157:H7은 가공식품인 탕수육용 냉동돼지고기(k교)에서 검출되었고, API kit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방법으로 확인 동정되었다. C. jejuni 는 i교에 공급된 비전처리 채소인 무와 r교의 전처리 채소인 채썬 양배추, f교의 오이채, 당근채에서 검출되었다. V. parahaemolyticus는 g교의 비전처리 채소류인 당근, 피망, 양배추, 깻잎과 전처리 채소인 깐 적양배추, 오이채, 깐 양상추에서 검출되었으며 조리된 식품인 비빔채 소국수에서 검출되었고, e교와 f교에 공급된 전처리 채소인 오이채와 e교에 공급된 가공식품인 냉동 미트볼에서 검출되었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시한 '즉석섭취식품',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이식품'에서의 V. parahaemolyticus는 '음성' 검출기준에 적합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 spp.는 r교에 공급된 냉동 닭고기에서 1건이 검출되었고 API kit 및 Salmonella 항혈청에 대한 응집반응을 통해 확인 동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school food samples collected from 19 selected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was undertaken. Eighty-nine food samples consisting of 38 non-pretreated vegetables, 13 pre-washed and cut vegetables, 9 meats and poultry, 3 fish and shellfish, 7 d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부분이 위탁급식 형태로 운영되는 중·고등학교의 급식용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중·고등학교에 점심식사용으로 공급되는 식재료 및 조리식품을 수거하여 위생지표 미생물과 식중독 유발 미생물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업무용 식자재 유통시장의 규모는 2008년 기준 얼마인가? 국내 업무용 식자재 유통시장은 2008년 현재 19~20조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으며 GDP의 증가, 주 5일 근무제의 확산에 따른 전체 외식비율의 증가, 대형 외식업체의 증가 및 식재의 아웃소싱이 늘어나면서 급성장하고 있다(5). 따라서 이들 식재료공급에 있어 안전성 및 편이성을 고려하여 수확 후 전처리 단계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현재는 축산물에 한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HACCP시스템의 도입 여부도 검토되고 있다.
교육부는 학교급식 주요 정책을 통해 어떤 것을 구축하도록 하였는가? 교육과학부(3)는 ‘학교급식 주요 정책’에서 양질의 식재료 선정과 구매를 위하여 학교급식용 식자재 납품업체와 위탁급식업체는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공정하고 투명하게 선정하고 식자재검수 및 급식위생의 안전성확보를 위하여 체계적인 관리체제를 구축하도록 하였으며, 2007년도에 급식계약 및 구매방법 혁신을 위한 학교급식 계약관리 투명성 제고, 지역거점 급식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중장기 학교급식 개선 추진과제를 발표하였다. 이에 식재료 공급업체 관리․감독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식재료 전문공급업종 신설, 식품관련 법령 위반업체 정보공유 체제 구축, 농․수․축산물 이력추진 관리제도 시행확대 등을 추진하기로 하였다(4).
식중독세균을 검출하기 위한 PCR법 중 본 연구에 적용한 다중유전자검출법이란 무엇인가? 유전자분석방법인 PCR법은 신속하고 고감도 검출방법으로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평가 및 현장검증 실험(monitoring 혹은 surveillance)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16)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식중독유발 세균을 동시다발적으로 검출하는 multiplex PCR법(17-19)과 대량으로 처리(high-throughput)하기 위한 microarray법(20-22) 등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 적용한 다중유전자검출법은 8종의 식중독 유발 미생물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gene-specific primers)”를 이용한 것으로 오염 미생물을 증식하지 않고, 별도의 DNA추출 단계 없이 검출이 가능한(16) 고감도 검출방법이다. 위탁급식 시스템을 이용하는 학교 및 단체급식소에서 발생하는 식중독은 동시다발적이고 규모가 크기 때문에 공공보건적인 위해 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파급되는 사회경제적 손실이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2006. http://www.moe.go.kr/main.jsp?idx0306010101&pageSize10&cp1&modelist Korea 

  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 보도/해명자료: 개학철대비 식재료 공급업소 지도?점검결과 및 위생관리 강화. http://www.kfda.go.kr 

  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06. 보도자료: 학교급식주요정책. http://www.mest.go.kr 

  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07. 보도자료: 중장기 학교급식 개선 추진과제. http://www.mest.go.kr 

  5.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8052762641 

  6. Ryu K. 2006. Safety management of food commodity in foodservice operations. Food Industry & Nutrition 11: 30-34 

  7. Shin WS, Hong WS, Lee KE. 2008.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raw materials and cook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establish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79-389 

  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 Food code. Korea 

  9.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2004. Manual for Safety Management in School Food Service(11-1340000-000185-14). Seoul, Korea. p 27-38 

  10. 곽동경, 강영재, 류경, 김성희. 2004. 학교급식 식재료 및 급식시설 안전관리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정책연구 과제보고서 

  1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Development of procedures to investigate foodborne disease. Appendix 1: Foodborne illness-some facts and figures. p91-109 

  12. Wijnands LM, Dufrenne JB, Rombouts FM, in't Veld PH, van Leusden FM. 2006. Prevalence of potentially pathogenic Bacillus cereus in food commodities in The Netherlands. J Food Prot 69: 2587-2594 

  13. Turner NJ, Whyte R, Hudson JA, Kaltovei SL. 2006. Presence and growth of Bacillus cereus in dehydrated potato flakes and hot-held, ready-to-eat potato products purchased in New Zealand. J Food Prot 69: 1173-1177 

  14. Lee SY, Chung HJ, Shin JH, Dougherty RH, Kang DH. 2006. Survival and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during cooking and storage of oriental-style rice cake. J Food Prot 69: 3037-3042 

  15. Public Health Laboratory Service (PHLS). 2000. Guidelines for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some ready-to-eat foods sampled at the point of sale. Comm Dis Pub Health 3: 163-167 

  16. Moon GS, Kim WJ, Shin WS. 2004. Optimization of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by PCR and application to field test. J Food Prot 67: 1634-1640 

  17. Mukhapadhyay A, Mukhapadhyay UK. 2007. Novel multiplex PCR approaches for the simulataneous detection of human pathogens: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J Microbiol Method 68: 193-200 

  18. Bhagwat AA. 2003. Simulataneous detection of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trains by real-time PCR. Int J Food Microbiol 84: 217-224 

  19. Ramesh A, Padmapriya BP, Chrashekar A, Varadraj MC. 2002. Application of a convenient DNA extraction method and multiplex PCR for the direct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Yershinia entercolitica in milk samples. Mol Cell Probes 16: 307-314 

  20. Kim HJ, Par SH, Lee TH, Mahm BH, Kim YR, Kim HY. 2008. Microarray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using specific probes prepared by comparative genomics. Biosens Bioelectron 24: 238-246 

  21. Eom HS, Hwang BH, Kim DH, Lee IB, Kim YH, Cha HJ. 2007. Multiple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using a novel 16s rDNA-based oligonucleotide signature chip. Biosens Bioelectron 22: 845-853 

  22. Call DR, Borucki MK, Loge FJ. 2003. Detection of bacterial pathogens in environmental samples using DNA microarrays. J Microbiol Methods 53: 235-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