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eal-Time PCR을 이용한 해수 존재 흰반점 바이러스의 정량 및 양식 환경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Quantificatio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n Seawaters Using Real-Time PCR and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WSSV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4 no.1, 2008년, pp.49 - 55  

송재호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해양과학부) ,  추여진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해양과학부) ,  조장천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해양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흰반점 바이러스(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는 양식산 새우에 감염하여 대량폐사를 일으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병원성 바이러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에 위치한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 양식장의 양식수와 양식장으로 유입되는 해수에서 WSSV를 막여과법을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새롭게 디자인한 primer와 Taqman probe를 사용하여 정량 실시간 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QRT-PCR)을 적용하여 WSSV를 정량하였다. 농도표준을 사용한 QRT-PCR 결과, 제작된 primer와 probe를 이용하여 WSSV가 정확하고 민감하게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해수에 존재하는 WSSV와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양식수와 해수 유입수에서 대하 양식기간인 2007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8회에 거쳐 다양한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양식수 1L에 존재하는 WSSV의 양은 3,814-121,545 copy였으며, 이는 분원성 enterococci ($r^2=0.9$, p=0.02), 엽록소${\alpha}$ ($r^2=0.8$, p=0.03), 생화학적 산소요구량($r^2=0.8$, p=0.07)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정립된 WSSV의 농축법 및 QRT-PCR 방법은 해수에 존재하는 WSSV를 정량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해수에 존재하는 WSSV의 양은 물리화학적 환경요인보다 생물학적 환경요인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s one of the most virulent viral agents in the penaeid shrimp culture industry. In this study, WSSV in a Fenneropenaeus chinensis shrimp farm and an adjacent seawater were concentrated using a membrane filtration and quantified using the quantitative real-time PC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SSV의 강한 전염성과 감염된 후 빠른 시일 안에 대량폐사를 일으키는 특징으로 인해 WSSV에 의한 감염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13, 21, 24, 29), 그 결과 최근에는 양^장의 환경 인자인 온도, 염분, pH, 용존산소 및 영양염류의 변동이 갑각류 면역체계에 영향을 주어 WSSV 감염을 쉽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0, 28). WSSV의 감염과 환경요인이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면, 양식수에 존재하는 WSSV의 농도와 환경요인과의 관계도 존재할 것이라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해수의 환경요인의 변화와 해수에 존재하는 WSSV 양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물리화학적 요인 및 생물학적 요인은 총 13개로서 이들의 시료별, 시료채취 기간별 변화는 Fig.
  • 그러나 연구의 대부분은 새우 조직 내의 WSSV의 존재 유무와 환경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서, 양식수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및 환경요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양식수에 존재하는 WSSV의 양과 양식수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해수에 존재하는 WSSV를 QRT- PCR 방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검출, 정량하는 방법을 정립하였으며 여러가지 물리, 화학, 생물학적 환경요인과 WSSV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2.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New York, N.Y., USA 

  3. Azam, F. 1974. Silicic acid uptake in diatoms studied with $[^{68}Ge]$ germanic acid as a tracer. Planta 121, 205-212 

  4. Chang, C.F., M.S. Su, H.Y. Chen, and I.C. Liao. 2003. Dietary ${\beta}$ -1,3-glucan effectively improves immunity and survival of Penaeus monodon challenged with white spot syndrome virus. Fish Shellfish Immunol. 15, 297-310 

  5. Chang, P.S., H.C. Chen, and Y.C. Wang. 1998. Detection of white spot syndrome associated baculovirus in experimentally infected wild shrimp, crab and lobsters by in situ hybridization. Aquaculture 164, 233-242 

  6. Choo, Y.-J. 2005. Ph. D. thesis. Prevalence of enteric viruses in oysters and oyster-harvesting environments. Seoul Nat'l University, Seoul 

  7. Chou, H.Y., C.Y. Huang, C.H. Wang, H.C. Chiang, and C.F. Lo. 1995. Pathogenicity of a baculovirus infection causing white spot syndrome in cultured penaeid shrimp in Taiwan. Dis. Aquat. Org. 23, 165-173 

  8. Darley, W.M. and B.E. Volcani. 1969. Role of silicon in diatom metabolism, A silicon requirement for deoxyribonucleic acid synthesis in the diatom Cylindrotheca fusiformis Reimann and Lewin. Exp. Cell Res. 58, 334-342 

  9. Dhar, A.K., M.M. Roux, and K.R. Klimpel. 2001.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infectious hypodermal and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and white spot virus in shrimp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SYBR green chemistry. J. Clin. Microbiol. 39, 2835-2845 

  10. Durand, S.V. and D.V. Lightner. 2002. Quantitative real time PCR for the measurement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in shrimp. J. Fish Dis. 25, 381-389 

  11. Flegel, T.W. 1997. Major viral diseases of the black tiger prawn (Penaeus monodon) in Thailand.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13, 433-442 

  12. Francki, R.I.B., C.M. Fauquet, D.L. Knudson, and F. Brown. 1991. Classifiation and nomenclature of viruses: Fif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p. 1-450. Springer-Verlag, New York, N.Y., USA 

  13. Hameed, A.S.S., V. Parameswaran, S.S. Musthaq, R. Sudhakaran, G. Balasubramanian, and K. Yoganandhan. 2005. A simple PCR procedure to detect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of shrimp, Penaeus monodon (Fabricious). Aquacult. Int. 13, 441-450 

  14. Hennig, O.L. and E.R. Andreatta. 1998. Effect of temperature in an intensive nursery system for Penaeus paulensis (Perez Farfante, 1967). Aquaculture 164, 167-172 

  15. Kalff, J. and E. Bentzen, 1984. A method for the analysis of total nitrogen in natural waters. Can. J. Fish. Aquat. Sci. 41, 815-819 

  16. Katayama, H., A. Shimasaki, and S. Ohgaki. 2002. Development of a virus concentra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detection of enterovirus and norwalk virus from coastal seawater. Appl. Environ. Microbiol. 68, 1033-1039 

  17. Kim, Y.J. and M.J. OH. 2004. Characteristics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nfected shrimp (Penaeus chinensis). Bull. Fish. Sci. Inst., Yosu Nat'l Univ. 13, 16-22 

  18. Le Moullac, G. and P. Haffner. 2000.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immune responses in Crustacea, Aquaculture 191, 121-131 

  19. Liu, B., Z.M. Yu, X.X. Song, and Y.Q. Guan. 2007. Studies on the transmission of WSSV (white spot syndrome virus) in juvenile Marsupenaeus japonicus via marine microalgae. J. Invertebr. Pathol. 95, 87-92 

  20. Liu, B., Z.M. Yu, X.X. Song, Y.Q. Guan, X.F. Jian, and J.F. He. 2006. The effect of acute salinity change on white spot syndrome (WSS) outbreaks in Fenneropenaeus chinensis. Aquaculture 253, 163-170 

  21. Lo, C.F., C.H. Ho, S.E. Peng, C.H. Chen, H.C. Hsu, Y.L. Chiu, C.F. Chang, K.F. Liu, M.S. Su, C.H. Wang, and G.H. Kou. 1996. White spot syndrome baculovirus (WSBV) detected in cultured and captured shrimp, crabs and other arthropods. Dis. Aquat. Org. 27, 215-225 

  22. Lorenzen, K., J. Struve, and V.J. Cowan. 1997. Impact of farming intensity and water management on nitrogen dynamics in intensive pond culture: A mathematical model applied to Thai commercial shrimp farms. Aquaculture Res. 28, 493-507 

  23. Lu, Y., L.M. Tapay,and P.C. Loh. 1996. Development of a nitrocellulose-enzyme immunoassay for the detection of yellow-head virus from penaeid shrimp. J. Fish Dis. 19, 9-13 

  24. Rosenberg, R. 2000 World shrimp farming 2000. Shrimp News International 13, 1-324 

  25. Tapay, L.M., E.C.B. Nadala, and P.C. Loh. 1999.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tocol for the detection of various geographical isolates of White Spot Virus. J. Virol. Methods 82, 39-43 

  26. Van Hulten, M.C.W., M.F. Tsai, C.A. Schipper, C.F. Lo, G.H. Kou, and J.M. Vlak. 2000. Analysis of a genomic segment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of shrimp containing ribonucleotide reductase genes and repeat regions. J. Gen. Virol. 81, 307-316 

  27. Van Hulten, M.C.W., J. Witteveldt, S. Peters, N. Kloosterboer, R. Tarchini, M. Fiers, H. Sandbrink, R.K. Lankhorst, and J.M. Vlak. 2001. The white spot syndrome virus DNA genome sequence. Virology 286, 7-22 

  28. Verghese, B., E.V. Radhakrishnan, and A. Padhi. 2007.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immune response of the Indian spiny lobster, Panulirus homarus (Linnaeus, 1758). Fish Shellfish Immunol. 23, 928-936 

  29. Wang, Y.C., C.F. Lo, P.S. Chang, and G.H. Kou. 1998. Experimental infection of white spot baculovirus in some cultured and wild decapods in Taiwan. Aquaculture 164, 221-231 

  30. Wongteerasupaya, C., J.E. Vickers, S. Sriurairatana, G.L. Nash, A. Akarajamorn, V. Boonsaeng, S. Panyim, A. Tassanakajon, B. Withyachumnarnkul, and T.W Flegel. 1995. A non-occluded, systemic baculovirus that occurs in cells of ectodermal and mesodermal origin and causes high mortality in the black tiger prawn Penaeus monodon. Dis. Aquat. Org. 21, 69-77 

  31. Yang, B., X.L. Song, J. Huang, C.Y. Shi, Q.H. Liu, and L. Liu. 2006. A single-step multiplex PC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and infectious hypodermal and haematopoietic mecrosis virus in penaeid shrimp. J. Fish Dis. 29, 301-305 

  32. Yang, F., J. He, X.H. Lin, Q. Li, D. Pan, X.B. Zhang, and X. Xu. 2001.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shrimp white spot bacilliform virus. J. Virol. 75, 11811-118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