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역의 8가지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양식산 및 자연산 미역의 비교
Comparison of Aquacultured and Wild Undaria pinnatifida Thalli for Evaluation of Eight Quality Standards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41 no.5, 2008년, pp.337 - 342  

강지영 (부경대학교 생물공학과) ,  박남희 (부경대학교 생물공학과) ,  (부경대학교 생물공학과) ,  서만석 (석하상사) ,  홍용기 (부경대학교 생물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ght quality standards of the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were designed and evaluated with dry products collected from aquacultured and wild areas. Contents of n-3 fatty acids (stearidon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anti-edema activity, and total carbohydrate were measured as funct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새로운 품질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미역의 항염증, 혈액응고방지, 다이어트 등 다양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n-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 생체실험을 통한 항부종 효과, 총탄 수화물함량의 측정, 그리고 위생적인 측면에서의 총 세균수와 곰팡이 수, 미역의 외관 상태를 평가할 갈색 색소, 협잡물 함량, 수분함량 등을 포함한 8가지의 품질항목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의 대표적 미역생산지인 부산 기장 지역과 전남 완도 지역에서 생산된 양식 미역 및 여러 지역에서 채집한 자연산 미역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의 효능, 위생, 외관적인 측면에서의 항목별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 따라서 새로운 품질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미역의 항염증, 혈액응고방지, 다이어트 등 다양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n-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 생체실험을 통한 항부종 효과, 총탄 수화물함량의 측정, 그리고 위생적인 측면에서의 총 세균수와 곰팡이 수, 미역의 외관 상태를 평가할 갈색 색소, 협잡물 함량, 수분함량 등을 포함한 8가지의 품질항목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의 대표적 미역생산지인 부산 기장 지역과 전남 완도 지역에서 생산된 양식 미역 및 여러 지역에서 채집한 자연산 미역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의 효능, 위생, 외관적인 측면에서의 항목별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우선 갈조류의 대표적인 갈색 색소이면서 미역의 항암 및 비만방지에도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는 fucoxanthin 갈색색소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 색소는 쉽게파괴됨으로서 미역의 신선도 평가에도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ustin, B. 1988. Marine Microbiology. Cambridge Uni- versity Press. Cambridge, UK, 1-222 

  2. Calder, P.C. and R.F. Grimble. 2002.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flammation and immunity. J. Clin. Nutr., 56S, 14-19 

  3. Dawczynski, C., R. Schubert and G. Jahreis. 2007. Amino acids, fatty acids, and dietary fibre in edible seaweed products. Food Chem., 103, 891-899 

  4. Donguibogam Committee. 1999. Translated Donguibo- gam. Bubinmunwha Press, Seoul, Korea, 1-2198 

  5. Dyerberg, J., H.O. Bang, E. Stoffersen, S. Moncada and J.R. Vane. 1978. Eicosapentaenoic acid and preven- tion of thrombosis and atherosclerosis? Lancet, 2, 117-119 

  6. Evans, L.V. 1988. The effects of spectral composition and irradiance level on pigment levels in seaweeds. In: Experimental Phycology: A Laboratory Manual. Lobban, C.S., D.J. Chapman and B.P. Kremer,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23- 133 

  7. Galland-Irmouli, A.V., J. Fleurence, R. Lamghari, M. Lucon, C. Rouxel and O. Barbaroux. 1999. Nutritional value of proteins from edible seaweed Palmaria palmata (Dulse). J. Nutr. Biochem., 10, 353-359 

  8. Gerster, H. 1993. Anticarcinigenic effects of common carotenoids. Int. J. Vitam. Nutr. Res., 63, 93-98 

  9. Hosokawa, M., M. Kudo, H. Maeda, H. Kohno, T. Tanaka and K. Miyashita. 2004. Fucoxanthin induces apopto- sis and enhance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he PPARg ligand, troglitazone, on colon cancer cells. Biochim. Biophysic. Acta, 1675, 113-119 

  10. Kang, J.W. 1981. Some seaweed diseases occurred at seaweed farm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Bull. Kor. Fish. Soc., 14, 165-170 

  11. KFDA. 2004.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 stration, Seoul, Korea, 1-641 

  12. Khan, M.N.A., J.Y. Cho, M.C. Lee, J.Y. Kang, N.G. Park, H. Fujii and Y.K. Hong. 2007. Isolation of two anti- inflammatory and one pro-inflammatory PUFAs from the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J. Agric. Food Chem., 55, 6984-6988 

  13. Kim, K.H. and C.S. Kim. 1982.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Undaria pinnatifida, laver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 J. Food Sci. Technol., 14, 336-341 

  14. Kim, S.J., H.J. Kim, J.S. Moon, J.M. Kim, S.G. Kang and S.T. Jung. 2004. Characteristic and extraction of fucoxanthin pigment in Undaria pinnatifida. J. Kor. Soc. Food Sci. Nutr., 33, 847-851 

  15. Kim, Y., M. Singh and S.E. Kays. 2006. Near-infrared spectroscopy for measurement of total dietary fiber in homogenized meals. J. Agric. Food Chem., 54, 292-298 

  16. Kochert, G. 1978. Carbohydrate determination by the phenol-sulfuric acid method. In: Handbook of Phy- cological Methods. Vol. 2. Physiological and Bio- chemical Methods. Hellebust, J.A. and J.S. Craigie,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95-97 

  17. Kohlmeyer, J. and E. Kohlmeyer. 1979. Marine Mycology: The Higher Fungi.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690 

  18. Krinskey, N.I. 1994. Carotenoids and cancer, basic research studies, natural antioxidants in human and disease. Ann. New York Acad. Sci., 239, 1-6 

  19. Lee, Y.J. 2004. A study on mineral and alginic acid con- tents by different parts of sea mustards (Undaria pinnatifida). Kor. J. Food Cult., 19, 691-700 

  20. Maeda, H., M. Hosokawa, T. Sashima, K. Funayama and K. Miyashita. 2005. Fucoxanthin from edible sea- weed, Undaria pinnatifida, shows antiobesity effect through UCP1 expression in white adipose tissues. Biochem. Bioph. Res. Co., 332, 392-397 

  21. MOMAF. 2005. Detailed standards of items and quality authentification for fisheries products and traditional seafood.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the Marine Affairs and Fisheries, Korea, 2005-99, 1-26 

  22. MOMAF. 2007. Statistic Database for Fisheries Pro- duction. Retrieved from http://fs.fips.go.kr/main.jsp on July 14 

  23. Muraoka, D. and K. Saitoh. 2005. Identification of Undaria pinnatifida and Undaria undarioides (Laminariales, Phaeophyceae) using mitochondrial 23S ribosomal DNA sequences. Fish. Sci., 71, 1365-1369 

  24. Ohno, M. and M. Matsuoka. 1993. Undaria cultivation "Wakame". In: Seaweed Cultivation and Marine Ranching. Ohno, M. and A.T. Critchley, eds. Japan International Coorperation Agency, Japan, 41-49 

  25. Rioux, L.E., S.L. Turgeon and M. Beaulieu. 2007. Characterizations of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brown seaweeds. Carbohyd. Polym., 69, 530-537 

  26. Sanchez-Machado, D.I., J. Lopez-Cervantes, J. Lopez- Hernandez and P. Paseiro-Losada. 2004. Fatty acids, total lipid, protein and ash contents of processed edible seaweeds. Food Chem., 85, 439-444 

  27. Thompson, K.D. and C. Dragar. 2004. Antiviral activity of Undaria pinnatifida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Phytother. Res., 18, 551-555 

  28. Whyte, J.N.C. 1988. Extraction of alginic acid from a brown seaweed. In: Experimental Phycology: A Laboratory Manual. Lobban, C.S., D.J. Chapman and B.P. Kremer,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68-1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