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5 no.4, 2008년, pp.67 - 82
홍승연 (건강보험연구원)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specially focused on the effect of functional capacity of community dwelling sedentary older adults on self-rated health. Method: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654 community-dwelling sedentary older adul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건강평가방법 중 주관적 건강평가 측정은 어떤 방법인가? | 건강평가방법 중 주관적 건강평가(Perceived health status) 측정은 “본인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 매우 나쁘다‘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여 스스로가 느끼는 건강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보건 및 운동 분야에서 빈번히 사용되어 왔다. 주관적 건강평가는 질병보다는 안녕을 강조하는 측정방식으로서 건강증진 측면에 더 적합한 방법이라고 평가된 바 있으며(Fehir, 1989) 본인이 신체적, 생리적,심리적, 사회적 측면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를 내림으로써 의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없는 건강상태에 대한 개인적 견해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Ware, 1987). | |
60세 이상의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좌식 고령자들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좌식고령자로 대상을 제한하여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는 좌식고령자와 규칙적 운동을 실시하는 고령자의 주관적 건강평가가 차이가 있으며 주관적 건강평가가 영향을 미치는 사망률 및 기능제한 역시 신체활동 및 운동수준에 영향을 받으므로 국내 고령자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좌식고령자로 대상을 제한하여 이들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건강증진 및 보건교육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같은 연구취지에도 불구하고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해서는 좌식고령자 그룹과 규칙적 운동참여 고령자의 두 그룹의 중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그 차이를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한 연구방법이나 여러 조건으로 인하여 좌식고령자군만을 조사한 것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둘째, 비록 16개 구에서 대상자를 모집하여 측정하였으나 서울지역으로 지역을 국한시킴으로써 도시 고령자보다 활동량이 전반적으로 많은 농어촌 지역거주 고령자에게까지 조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무리가 있다. 셋째, 대상자들의 답변 거부로 인한 자료수집의 한계로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주관적 건강평가에 반영되지 못하였는데 선행연구에서 수입이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마지막으로 횡단연구의 제한점인 단면조사로 원인-결과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
고령자 중 특히 좌식고령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는? | 고령자 중 특히 좌식고령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이는 좌식생활방식이 생리적 노화현상을 촉진시키며(Caspersen, Christenson, & Pollard, 1986) 노화관련 기능적 작업능력을 저하시키고(Hassmen과 Koivula, 1997), 비만관련 심혈관질환 및 사망률증가와 관련 있을 뿐만 아니라(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6), 규칙적 운동고령자와 비교 시 의료사용(입원, 외래, 투약)상승으로 인한 의료비 상승을 초래하는 집단이라고 보고됨과 동시에(Martinson et al, 2003; Buchner et al, 1997; Wang, Helmick, Macera, Zhang, Pratt, 2001) 신체활동 같은 건강증진 중재를 실시 시 대상집단으로 삼기 어려운 집단임에도 불구하고(Ettinger et al., 1997; King et al., 1991) 건강증진관련 중재를 실행 시 다른 어떤 집단보다도 건강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집단(Owen, Bauman, & Gore, 1992)이기 때문이다. |
김수영, 심재용, 원장원, 선우성, 박훈기, 이정권. 한국형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의 개발. 가정의학회지 2000;21(3):382-394
부가청, 장지연.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독일, 스웨덴, 이탈리아와의 국가 간 비교연구 시론. 월간노동리뷰 2007;33:66-85
송미숙, 송현종, 목진용. 경로당 등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003; 23(4):127-142
이윤환, 최귀숙, 강임옥, 김한중.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1998;18(2):110-125
이해정, 조주연, 정유지, 심희진, 서희선, 이홍수, 심경원, 이상화.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의 관련 요인. 가정의학회지 2002;23(10):1210- 1218
조경희. 포괄적 노인평가의 개념과 내용. 가정의학회지 2005;26(4):S293-295
통계청. 2006년 사회통계조사 2006
홍승연. 한국 여성 고령자의 노인체력검사 (Senior Fitness Test: SFT)결과의 외국 기준치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2008;47(5):405-413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position stand on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Med Sci Sports and Exs 1998;30(6):992-1008
Angel R. Ostir GV, Frisco ML, Markides KS. Comparison of a Self-Reported and a Performance-Based Assessment of Mobility in the Hispanic Established Population for Epidemiological Studies of the Elderly. Research on Aging 2000;22(6):715-737
Bautch JC, Malone DG, Vailas AC. Effects of exercise on knee joints with osteoarthritis: a pilot study of biologic markers. Arthritis Care & Research 1997;10(1): 48-55
Binder EF, Birge SJ, Kohrt WM. Effects of endurance exercis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serum lipids in older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6;44(3):231-236
Buchner DM, Cress ME, de Lateur BJ, Esselman PC, Margherita AJ, Price, R, et al. The effect of strength and endurance training on gait, balance, fall risk, and health services use in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997;52(4):M218- 224
Caspersen CJ, Christenson GM, Pollard R. Status of the 1990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objectives--evidence from NHIS 1985. Public Health Rep 1986;101(6): 587-592
Caspersen CJ, Powell KE. Christenson GM.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or health-related research. Public Health Rep 1985;100(2):126-131
Choi YH & Chung 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health assessment too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J Kor Acad Adult Nurs 1991;3:70-96
Ettinger WH, Burns R, Messier SP, Applegate W, Rejeski WJ, Morgan T.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with a health education program in older adults with knee osteoarthritis. The Fitness Arthritis and Seniors Trial (FAST) JAMA 1997;277(1):25-31
Fehir JS. Self-rat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motivation, and selected demographics as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 sty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ustin; 1989
Fillenbaum GG. Social context and self- assessments of health among the elderly. J Health and Socl Behav 1979; 20:45-51
Ford J, Spallek M, Dobson A. Self-rated health and healthy lifestyle ar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of survival in elderly women. Age Ageing 2007;0(1): afm171-afm117
Hassmen P, Koivula N & Uutela A. Physical exerci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population study in Finland. Prev Med 2000;30(1):17-25
Hassmen P, Koivula N. Mood, physical working capac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the elderly a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ging 1997;9(1-2):136-142
Idler EL & Kasl SV. Self-ratings of health: do they also predict change in functional ability?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1995;50(6):S344-353
Jette AM. How measurement techniques influence estimates of disability in older populations. Soc Sci Med 1994;38(7): 937-942
King A, Haskell W, Taylor C, Kraemer H, DeBusk R. Group-vs home-based exercise training in healthy older men and women. A community-based clinical trial. JAMA 1991;266(11):1535-1542
King, AC, Oman RF, Brassington GS, Bliwise DL, Haskell WL. Moderate-intensity exercise and self-rated quality of sleep in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1997;277(1):32-37
Lawrence RH & Jette AM. Disentangling the disablement proces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1996;51(4): S173-182
Lee Y & Shinkai S. A comparison of correlates of self-rated health and functional disability of older persons in the Far East: Japan and Korea. Arch Gerontol Geriatr 2003;37(1):63-76
Lee Y. The predictive value of self assessed gener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on functional decline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0; 54(2):123-129
Martinson BC, Crain AL, Pronk NP. O'Connor PJ, Maciosek MV.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and short-term changes in health care charg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older adults. Prev Med 2003;37(4):319-326
McGee DL, Liao Y, Cao G, Cooper RS. Self- reported health status and mortality in a multiethnic US cohort. Am J Epidemioly 1999;149(1):41-46
Mor V, Wilcox V, Rakowski W, Hiris J. Functional transitions among the elderly: patterns, predictors, and related hospital use. Am J Public Health 1994; 84(8):1274-1280
Mossey JM & Shapiro E. Self-rated health: a predictor of mortality among the elderly. Am J Public Health 1982;72 (8):800-808
Rikli RE & Jones CJ. Senior Fitness Test Manual. Illinois: Human Kinetics 2001
Ro SO. A study on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status of aged women in Korea. Kor J Women Health Nurs 1996;2(1):47-58
Rodin J & McAvay G. Determinants of change in perceived health in a longitudinal study of older adults. J Gerontol 1992;47(6):373-384
Shields M & Shooshtari S. Determinants of self-perceived health. Health Report 2001;13(1):35-52
Song KC & Kim DK.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ly in a rural area and study for related factors. J Kor Geriatr Soc 2002;6(1):29-40
Spiers N, Jagger C & Clarke M. Physical function and perceived health: cohort differences and interrelationships in older people.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1996;51(5):S226-233
Suh SR & Hong HS. Stress, immune cells, physical status and depression of elderly. J Kor Acad Fundament Nurs 2001;3(1):73-90
Suni JH, Oja P, Miilunpalo SI, Pasanen ME, Vuori IM, Bos K. Health-related fitness test battery for adults: associations with perceived health, mobility, and back function and symptoms. Arch Phys Med Rehabil 1998;79(5):559-569
Tsuji I, Minami Y, Keyl PM, Hisamichi S, Asano H, Sato M, et al. The predictive power of self-rated heal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mbulatory activity for cause-specific mortality among the elderly: a three-year follow-up in urban Japan. J Am Geriatr Soc 1994;42(2): 153-15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1996
Wang G, Helmick CG, Macera C, Zhang P, Pratt M. Inactivity-Associated medical costs among US adults with arthritis. Arthritis Rheum 2001;45(5):439-445
Ware JE.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definition and content. J Chron Dis 1987;40:473-480
Wilcox VL, Kasl SV & Idler EL. Self-rated health and physical disability in elderly survivors of a major medical event.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1996; 51(2):S96-104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