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제지공정의 인간공학적 개선방안
An Ergonomic Intervention of Paper-making Process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7 no.1, 2008년, pp.9 - 19  

김상호 (금오공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hazards in a paper-making industry were examined to explore ergonomic interventions in a participatory approach for mitigating the hazards. Manual tasks occurred in this paper-making industry were quite different with ordinary assembly industry where individual worker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별 부담작업에 대한 유해요인 특성을 분석하고 그 분포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각 작업유형에 따라 특정 유해요인이 보다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는 인력 운반, 설비운용준비와 청소/정리의 각 작업유형에 따라 작업부담을 가중시키는 주요 유해요인의 특성이 결정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주는 결과로 해석되었다.
  • 통상적인 산업 현장의 경우 공정개선에 따른 비용, 시간 상의 제약과 작업방식의 변화에 따른 작업자의 혼라 등을 이유로 개선안의 검토 및 도입 범위를 최소화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 사업장의 경우에는 경영진이 적극적인 작업환경 개선의지를 피력함에 따라 유해성 수준에 따른 차별적 고려 없이 16개 부담작업 전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이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설비중심 산업의 특성에 대한 고려와 함께 근로자의 안전성과 효율적인 작업시스템의 구현을 주요 경영목표로 하는 해당사의 경영방침에 따라 법률적 기준과 무관하게 290개 단위인력작업 전체에 대하여 근골격계에 대한 작업부담 정도를 파악하고, 작업의 효율성이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삼았다. 이에 따라 기초유해요인 조사의 경우 공정에서 발생하는 단위인력작업 전체를 연구대상 범위로 하되, 작업의 내용 상 동일한 특성을 지닌 단위작업들의 경우에는 중복을 최소화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 도출된 인간공학적 작업시스템 개선대안들 중 시행안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근골격계 작업부담의 경감이라는 본래의 목표에 충실하면서도 비용 효용성과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현장에서의 적용성을 함께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개선활동에 대한 참여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 93으로 낮아지는 효과를 거두었다. 또한 LI값을 보다 낮은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해서 한 번에 대차에 싣는 스틸코어의 개수를 줄이는 작업방식의 변화를 권고하였다.
  • 본 연구에 있어서는 경영진의 확고한 개선의지가 현장에 반영되어 전향적인 개선활동이 진행되었으며 개선안의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투자로 이어졌다. 또한, 개선안 및 도입시기 등 주요결정 사항 등에 대하여 현장부서장들과의 활발한 정보공유를 통해 개선안의 도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최소화하려 노력하였다. 사회심리학적 작업조건에 대한 고려와 임금체계 및 조직구조의 변화에 대한 저항 역시 해당기업의 경영환경 및 철학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부분이다.
  • 이는 단순히 현장부서장의 개인적 성향에 기인한 부분보다는 기업의 경영철학에 의한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있어서는 경영진의 확고한 개선의지가 현장에 반영되어 전향적인 개선활동이 진행되었으며 개선안의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투자로 이어졌다. 또한, 개선안 및 도입시기 등 주요결정 사항 등에 대하여 현장부서장들과의 활발한 정보공유를 통해 개선안의 도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최소화하려 노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비중심 산업인 화장지 제지공정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을 발병시킬 위험이 있는 유해인자를 내포한 작업들을 파악하고, 해당작업에서 유해인자를 제거 또는 경감할 수 있는 작업개선안을 도출하여 현장에 구현함으로써 근골격계질환 예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된 세부적 연구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따라 대규모 설비산업의 특성을 지닌 제지산업 생산라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발병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유해작업들을 선별하고, 그 유해성을 제거하기 위한 인간공학적 개선안을 모색, 적용함으로써 작업부담의 경감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시스템을 구축해보고자 하였다.
  • 앞서 분석결과를 통해 나타난 근골격계 부담작업의 특성과 그 유해요인들의 종류에 따라 개선방향을 도출해 보았다. 작업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작업내용이 동일하거나 비슷한 작업에 대해서는 작업부하가 가장 높은 작업을 대상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상호, 이홍태,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인간공학적 작업시스템 평가킷의 표준화", 안전경영과학회지 7(1), 57-76, 2005 

  2. 김정룡,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인간공학, 민영사, 2004 

  3. 노동부, 근골격계질환 예방의무 해설 [제2판], 2004 

  4. 한국산업안전공단, 인간공학적 위험요인 평가표, KOSHA H-28 -2002, 2002 

  5.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ANSI Z-365: Control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2000 

  6. Burdorf, A., "Invited point of view: The art of conducting workplace intervention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7(2), 175-176, 2007 

  7. Chaffin, D. B., "Development of computerized human static strength simulation model for job design",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anufacturing 7(4), 305-322, 1997 

  8. Dempsey, P. G., "Effectiveness of ergonomics interventions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Beware of what you ask",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7(2), 169-173, 2007 

  9. Franzblau1, A., Armstrong, T. J., Werner, R. A. and Ulin, S. S., "A cross-sectional assessment of the ACGIH TLV for hand activity level",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5(1), 57-67, 2005 

  10. Hagberg, M., Silverstein, B. A., Wells, R. P., Smith, R., Carayon, P., Hendrick, H., Perusse, M., Kuorinka, I. and Forcier, L. (Eds.),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 A handbook for prevention, Taylor and Francis, London, UK, 1995 

  11. Hignett, S. and McAtamney, L.,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Applied Ergonomics 31(2), 201-205, 2000 

  12. McAtamney, L. and Corlett, E. N.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ied Ergonomics 24(2), 91-99, 1993 

  13. Rubenowitz, S., "Survey and intervention of ergonomic problems at the workpla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9(4), 271-275, 1997 

  14. Waters, T. R., Putz-Anderson, V. and Garg, A., Applications manual for the revised NIOSH lifting equa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