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재해 중 근골격계질환 요인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Risk Facto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8 no.3, 2009년, pp.17 - 25  

김현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박현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박기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김욱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유찬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김증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박정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of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based on the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Ministry of Labor. In this study all MSDs cases in 2007, 7,723 cases, were investigated. First of all, for the analysis of a wide view po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7년도 근골격계질환자 7,723명을 대상으로 작업과 질병과의 인과관계를 재 검증하고 근골격계질환 코드별로 질환을 발생시킨 주된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그러나 인과관계 검증 및 질환원인을 판단하는 과정에 있어 재해 근로자가 자계식으로 작성한 산업재해조사표의 재해개요 내용만을 토대로 검증하여 질환 발생 당시의 작업 상황이나 주변환경 등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는 2007년도 산업재해 중 근골격계질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질환 발생 원인 및 특성을 다각도로 비교·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정책수립 및 예방활동 방향 설정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업재해 중 근골격계질환자를 대상으로 질환 특성에 대해 다각도로 비교·분석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을 발생시킨 원인을 단일 원인과 복합 원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이점을 갖는다.
  • 하지만 현재 산업재해조사 시스템은 사고 발생 시 '재해발생 과정 및 원인조사'에 해당하는 재해조사 및 원인분석 내용에 대한 적정성, 정확성 등의 검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발생가능 문제를 최소화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근골격계질환 특성을 파악하고자 근골격계질환자 7,723명 모두를 대상으로 5W1H원칙에 의해 기 작성된 산업재해조사표의 재해개요 내용에 대해 각 case별로 재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사고 및 질병이 산업재해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업무와 재해와의 인과관계가 존재하여야 하므로(한경식, 2008), 재 검증과정을 통한 재해개요 내용을 토대로 작업과 근골격계질환과의 인과관계 여부를 판단하였다.
  • 아울러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산업재해보험요율을 적용하는 산업종류(업종)를 기준으로 질환자 발생의 주된 원인이 무엇인지 서로 비교하기 위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체 근골격계질환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일부 한계는 무엇이었나? 그 동안 근골격계질환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들은 많이 있었으나 선행 연구들은 특정업종이나 지역에 국한되어 연구가 이루어져 전체 근골격계질환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일부 한계가 있었다.
노동부의 산업재해 통계자료에 따른 2007년 근골격계질환자 발생 추이는 어떠한가? 노동부의 산업재해 통계자료에 따른 근골격계질환자 발생 추이는 그림 1과 같으며, 2007년도 근골격계질환자수는 7,723명으로 업무상 질병의 67.3%를 차지하였다.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Ramazzini의 저서를 비롯하여 1960년대 국제노동기구(ILO)에서 근골격계질환을 언급한 이래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활동이 국내·외의 관련 학회나 기관, 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연구활동뿐만 아니라 산업재해 자료를 토대로 바람직한 재해 예방 정책을 입안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홍기, 한 손 들기 작업과 양 손 들기 작업의 근력 능력 비교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26(2), 35-44, 2007. 

  2. 노동부, 년도별 산업재해분석 (1996-2007), 2008. 

  3. 백남원, 산업위생학개론, 신광출판사, 2000. 

  4. 정병용, 제조업 분야의 산업재해에 관한 경향 분석, 대한산업공학회지, 9(2), 231-238, 1996. 

  5. 정병용, 이동경, 현대인간공학, 민영사, 2005. 

  6. 지경택, 송영호, 정국삼, 산업재해 사례인자의 범주형 분석, 한국안전학회지, 17(1), 94-98, 2002. 

  7. 한경식, 산업재해보상체계의 문제와 개선방향, 재산법연구지, 24(3), 221-246, 2008. 

  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년도 산업재해원인조사 재해보고서,2007. 

  9. Bigos, S. J., Spengler, D. M., Martin, N. A., Zeh, J., Fisher, L., Nachemson,A. and Wang, M. H., Back injuries in industry: A retrospective study:II. Injury factors. Spine 2, 246-251, 1986. 

  10.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www.bls.gov/iif/oshdef.htm, 2008. 

  11. Ciriello, V. M., Snook, S. H., Hashemi, L. and Cotnam, J., Distributions ofmanual materials handling task parameters, International Journal ofIndustrial Ergonomics, 24, 379-388, 1999a. 

  12. Ciriello, V. M. and Snook, S. H., Survey of manual handling tasks,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3, 149-156, 1999b. 

  13. Heinrich, H. W., Peterson, D. and Roos, N.,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McGraw-Hill, 1980. 

  14. Klein, B., Roger, M., Jensen, R. and Sanderson, L., Assessment ofworker's compensation claims for back sprain/strains, Journal ofOccupational Medicine, 26, 443-448, 1984. 

  15. Knibbe, J. and Friele, R., Prevalence of back pain and characteristics of thephysical workload of community nurses, Ergonomics, 39, 186-198,1996. 

  16. Kumar, S. and Garand, D., Static Dynamic Lifting Strength at DifferentReach Distances in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Planes, Ergonomics,35, 861-880, 1992. 

  17. NIOSH, Elements of Ergonomics Programs: A Primer Based on WorkplaceEvaluation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DHHS Publication No.97-11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7. 

  18. Snook, S. H., Campanelli, R. A. and Hart, J.W., A study of three preventiveapproaches to low back pai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20,478-481, 1978. 

  19. Snook, S. H. and Ciriello, V. M., The design of manual handling tasks:revised tables of maximum acceptable weights and forces, Ergonomics,34, 1197-1213, 1991. 

  20. US Department of Labor, nonfatal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requiring days away from work in 2007, Bureau of Labor Statistics,2008. 

  21. http://www.bls.go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