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관련 업종에서의 근골격계질환 예방과 관리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Automobile-related Industri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9 no.4, 2010년, pp.479 - 486  

임현교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안전공학과) ,  나미령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안전공학과) ,  김동균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안전공학과) ,  김홍영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utomobile-related industries have been a few of leading ones among domestic industries reporting high rate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In this paper, major ergonomic aspects of automobile-related works were reviewed with reference to WMSD's. According to the result, high repeatabilit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점들을 대표적으로 지적할 수 있다. 그래서, 자동차 관련 업종의 근골격계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인간공학이 안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간략히 검토해 보기로 한다.
  • 그 결과, 많은 근골격계질환 예방 활동과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관련 업계의 근골격계질환자 수는 전체 근골격계질환자 수의 약 1/3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노동부 2004). 본 논문은, 자동차 관련업종의 근골격계질환과 관련하여 이제까지 수행되어 온 국내외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국내 생산현장의 당면 문제점을 짚어 봄으로써, 추후 국내 자동차 관련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단 산재 신청이란? 우리나라의 근골격계질환은 통신 분야의 근로자에서부터 보고되기 시작하였으나, 사실상 관계자들에게 깊은 관심을 끌게 되고 사회 문제화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중반 자동차 관련 산업과 중공업 분야의 집단 산재 신청 및 판정에 따른 것이었다. 집단 산재 신청은 근골격계질환이 의심되는 근로자들이 수백 명 혹은 수십 명이 동시에 산재를 신청하고 작업을 거부하는, 일종의 노동운동이었으며, 이것은 곧 컨베이어 작업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는 자동차 관련 산업의 특성상 작업 중지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자동차 관련 업종의 공정 중 대표적인 물리적 유해요인은 무엇인가? 근년 국내 자동차 조립사업장을 중심으로 수행된 대규모 연구(이경태 등, 2006)에 따르면, 자동차 관련 업종의 공정 중 98%가 노동부 고시 부담작업에 한 가지 이상 해당된다고 한다. 그만큼 자동차 관련 업종의 작업 공정은 작업자에게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다는 의미인데, 그 중 대표적인 물리적 유해요인으로 학자들은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런 자세 등을 꼽고 있다(Putz-Anderson, 1988; Silverstein 등, 1987).
자동차 관련 업계의 근골격계질환자 수는 전체 근골격계질환자 수의 얼마인가? 그 결과, 많은 근골격계질환 예방 활동과 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관련 업계의 근골격계질환자 수는 전체 근골격계질환자 수의 약 1/3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노동부 2004). 본 논문은, 자동차 관련업종의 근골격계질환과 관련하여 이제까지 수행되어 온 국내외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국내 생산현장의 당면 문제점을 짚어 봄으로써, 추후 국내 자동차 관련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o, S., Spielholz, P., Howard, N. and Silverstein, B., "Quantifying repetitive hand activity for epidemiological research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 Part I: individual exposure assessment", Ergonomics, 49(4), 361-380, 2006. 

  2. Bao, S., Spielholz, P., Howard, N. and Silverstein, B., "Quantifying repetitive hand activity for epidemiological research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 Part II: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of measuring force level and repetitiveness", Ergonomics, 49(4), 381-392, 2006. 

  3. Carayon, P., Smith, M. J. and Haims, M. C. "Work organizatio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Human Factors, 41(4), 644-663, 1999. 

  4. Engstrom, T., Hanse, J. J. and Kadefors, R., "Musculoskeletal symptoms due to technical preconditions in long cycle time work in an automobile assembly plant: a study of prevalence and relation to psychosocial factors and physical exposure", Applied Ergonomics, 30(5), 443-453, 1999. 

  5. Faucett, J., Garry, M., Nadler, D. and Ettare, D., "A test of two training interventions to preven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upper extremity", Applied Ergonomics, 33(4), 337-347, 2002. 

  6. Faucett, J. and Rempel, D., "VDT-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 Interactions between Work Posture and Psychosocial Work Factor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6, 597-612, 1992. 

  7. Frederick, L. J.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Journal, 40(3), 113, 1992. 

  8. Fredriksson, K., Bildt, C., Hagg, G. and Kilbom, A, "The impact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changing physical and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conditions in the automobile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8(1), 31-45, 2001. 

  9. Fucini, J. and Fucini, S., Working for the Japanese: Inside Mazda's American auto plant, New York, Free Press, 1990. 

  10. Houtman, I. L., Bongers, P. M., Smulders, P. G. and Kompier, M. A., "Psychosocial stress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problem",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20(2), 139-145, 1994. 

  11. Johansson, J. A., Kadefors, R., Rubenowits, S., Klingenstierna, U., Lindstrom, I., Engstrom, T. and Johansson, M., "Musculoskeletal symptoms, ergonomics aspects and psychosocial factors in two different truck assembly concep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2(1), 35-48, 1993. 

  12. Kadefors, R., Engstrom, T., Petzall, J. and Sundstrom, L., "Ergonomics in parallelized car assembly: a case study with references also to productivity aspects", Applied Ergonomics, 27, 101-110, 1996. 

  13. King, P. M., Fisher, J. C. and Garg, A., "Evaluation of the impact of employee ergonomics training in industry", Applied Ergonomics, 28, 249-256, 1997. 

  14. Kuorinka, I., Alaranta, H. and Erich, I.,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t work: validation and reliability in a multicenter interven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5(6), 437-446, 1995. 

  15. Linton, S. J., "Risk factors for neck and back painin a working population in Sweden", Work and Stress, 4(1), 41-49, 1990. 

  16. Nussbaum, M. A. and Torres, N., "Effects of training in modifying working methods during common patient-handling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7, 33-41, 2001. 

  17. Putz-Anderson, Cumulative Trauma Disorders - A Manual for Mus culoskeletal Disease of the Upper Limbs, London, Taylor-Francis, 1988. 

  18. Saleem, J. J., Kleiner, B. M. and Nussbaum, M. A., "Empirical evaluation of training and a work analysis tool for participatory ergonomic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1, 387-396, 2003. 

  19. Salminen, S., Saari, J., Saarela, K. L. and Rasanen, T., "Organizational factors influencing serious occupational accident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19(5), 352-357, 1993. 

  20. Sande, L. P., Coury, H. J. C. G., Oishi, J. and Kumar, S., "Effec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n prehension strength", Applied Ergonomics, 32(6), 609-616, 2001. 

  21. Silverstein, B. A., Fine, I. J. and Armstrong, T. J., "Occupational Factors and Carpal Tunnel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11, 343-358, 1987. 

  22. Svenson, H. O. and Anderson, G. B., "Low-back pain in 40- to 47-year-old men: Work history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Spine, 8(3), 272-276, 1983. 

  23. Wu, H. S., Chen, H. C. and Chen, T., "Effects of ergonomics-based wafer-handling training on reduction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wafer hand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9(1), 127-132, 2009. 

  24. Yun, J. H. and Lim, H. K., "Comparison of Work Characteristics for Evaluating Musculoskeletal Hazards of Atypical Works", Proceeding of The 1st East Asian Ergonomics Federation Symposium, 203-207, 2008. 

  25. Zetterberg, C., Forsberg, A., Hansson, E., Johansson, H., Nielson, P., Danielsson, B., Inge, G. and Olsson, B. M., "Neck and upper extremity problems in car assembly workers: A comparison of subjective complaints, work satisfaction, physical examination and gender",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9, 277-289, 1997. 

  26. 강진우, 유재혁, 이종원, 이향기, 한영선, 구정완, "자동차 정비사들의 직능별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율 및 자세비율에 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6-209, 2008. 

  27. 권순찬, 송재철, 이수진, 임현교, 김인아, 고재우, "한 완성차공장의 WMSD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전산프로그램의 개발", 대한산업의학회 학술대회, 2005. 

  28. 기도형, "외부 부하, 동작 반복 효과가 반영된 자세 분류 체계의 개발", 대한인간공학회지, 26(1), 39-46, 2007. 

  29. 김일룡, 김재영, 박종태, 최재욱, 김해준, "자동차 조립 작업자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연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3(3), 220-231, 2001. 

  30. 김재영, 최재욱, 김해준, "자동차 조립 작업자들에서 상지 근골격계의 인간공학적 작업평가결과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연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7(2), 306-319, 1995. 

  31. 김창선, 김광종, 최재욱, 윤수종, "자동차 조립공장 근로자의 누적외상성질환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 위험요인",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1(1), 85-91, 2001. 

  32. 나종관, 박민용, "소형 부품 자동화 조립시스템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인간공학적 개선안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24(2), 57-63, 2005. 

  33. 노동부, 근골격계질환 예방업무 편람, 2004. 

  34. 백승렬, 임석진, 권영준, 문명국, "국내 상용자동차 제조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314-318, 2007. 

  35.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직종 근로자에서 산지 근골격계 증상호소율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1(4), 439-448, 1999. 

  36. 이경태, 이창민, 장성록, 정병용, "한국 자동차 업종의 작업자세 분포와 근골격계 부담작업 분석", 대한인간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148-157, 2006. 

  37. 이용희, 이동춘, 이상도, "자동차 시트 제조작업장에서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4-39, 2006. 

  38. 이윤근, 김현욱, 임상혁, 박희석, "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발",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1(1), 56-69, 2001. 

  39. 이윤근, 박희석, "심리사회적 요인과 근골격계질환 증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22(4), 15-25, 2003. 

  40. 이인석, 정민근, 최경임, "지각불편도를 이용한 관찰적 작업자세 평가기법의 비교", 대한인간공학회지, 22(1), 45-56, 2003. 

  41. 최순영, 김현성, 김태헌, 박동현,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0(3), 202-211, 2005. 

  42. 한영선, 이승철, 박상은, 구정완, "일개 자동차 정비사업소 업무와 관련한 작업분류별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및 작업자세 실태조사", 대한인간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37-24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