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에 고온 스트레스로 인하여 산란계의 산란율이 다른 계절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름철 기후조건에서 산란율과 계사 내 1일 최고온도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음수량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사료섭취량 사이의 관계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계사 내의1일 최고온도가 $33^{\circ}C$ 이상이 되었을 때 산란율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음수량과 사료섭취량이 각각 $490\;mL\;bird^{-1}\;day^{-1}$, $240\;g\;bird^{-1}\;day^{-1}$까지 증가함에 따라 산란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 여름철에 산란계의 산란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붕을 충분히 단열처리하고, 만약 지붕이 단열처리 되지 않았다면 차광막을 설치하며, 하루중에 최고 온도가 되는 오후 2시경을 전.후로 지붕에 시원한 물을 살수하며, $15^{\circ}C$ 정도의 시원한 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철에 고온 스트레스로 인하여 산란계의 산란율이 다른 계절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름철 기후조건에서 산란율과 계사 내 1일 최고온도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음수량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사료섭취량 사이의 관계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계사 내의1일 최고온도가 $33^{\circ}C$ 이상이 되었을 때 산란율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음수량과 사료섭취량이 각각 $490\;mL\;bird^{-1}\;day^{-1}$, $240\;g\;bird^{-1}\;day^{-1}$까지 증가함에 따라 산란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 여름철에 산란계의 산란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붕을 충분히 단열처리하고, 만약 지붕이 단열처리 되지 않았다면 차광막을 설치하며, 하루중에 최고 온도가 되는 오후 2시경을 전.후로 지붕에 시원한 물을 살수하며, $15^{\circ}C$ 정도의 시원한 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at stress on laying hen performance during summer. A total of 180 Hyline-brown layers, 98 days of age, were housed in a enclosed house.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the house was ranged $26{\sim}36^{\circ}C$. The egg production w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at stress on laying hen performance during summer. A total of 180 Hyline-brown layers, 98 days of age, were housed in a enclosed house.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the house was ranged $26{\sim}36^{\circ}C$. The egg production was markedly fallen than other days when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the layer house became more than $33^{\circ}C$. As water intake and feed intake increased to $490\;mL\;bird^{-1}\;day^{-1}$ and $240\;g\;bird^{-1}\;day^{-1}$, the egg production soared. But it was hardly increased more than them. Based on these results, layer house roof should be amply insulated to improve the egg production of layers. If not insulated, the shade curtain should be installed above roof and cool water sprayed before and after 2 p.m. And layers should be provided cool drinking water of about $15^{\circ}C$ in the day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at stress on laying hen performance during summer. A total of 180 Hyline-brown layers, 98 days of age, were housed in a enclosed house.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the house was ranged $26{\sim}36^{\circ}C$. The egg production was markedly fallen than other days when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the layer house became more than $33^{\circ}C$. As water intake and feed intake increased to $490\;mL\;bird^{-1}\;day^{-1}$ and $240\;g\;bird^{-1}\;day^{-1}$, the egg production soared. But it was hardly increased more than them. Based on these results, layer house roof should be amply insulated to improve the egg production of layers. If not insulated, the shade curtain should be installed above roof and cool water sprayed before and after 2 p.m. And layers should be provided cool drinking water of about $15^{\circ}C$ in the day tim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여름철 기후조건에서 산란율과 계사 내 1일 최고온도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음수량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사료섭취량 사이의 관계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여름철에 고온 스트레스로 인하여 산란계의 산란율이 다른 계절에 비하여 현저히 낮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름철 기후조건에서 산란율과 계사 내 1일 최고온도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음수량 사이의 관계, 산란율과 사료섭취량 사이의 관계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씩 매일 오전 9시 오후 1시, 오후 5시에 균등하게 급이하였다. 각 케이지에 개의 니플을 설치하여 자유 음수토록 하였으며, 60 W 전구를 케이지 앞 60 cm 떨어진 복도 중간에 3 m 간격으로 설치하여 점등하였다. 타이머를 이용하여 오전 4시 30분부터 오후 21시 30분까지 총 16시간 동안 점등하였다.
Ltd, Germany)를 케이지의 1단 중앙부(산란계사 지면 기준 높이 60 cm 지점) 및 2단 중앙부(산란계사 지면 기준 높이 110 cm 지점 )에 총 12개를 설치하여 케이지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 중 하루 중 최고온도의 데이터를 산술평균하여 일일 최고 온도로 분석하였다.
산란계 케이지 층별 음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단별로 소비되어 변화되는 음수통의 무게를 1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변화량을 단별로 계측하였다. 단별로 1일 음수량을 정리, 산술 평균하여 시험계사 내 총 180수 산란계 1일 평균 음수량을 산출하였다.
사료섭취량의 경우 매회 급이 전에 사료통에 남아있는 사료량을 단별로 회수 후 계측하여 잔여사료량을 산출, 총 공급 사료량의 무게에서 잔여사료량을 공제하여 급이시마다의 산란계 평균 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산란율의 경우 단별로 산란량을 매일 오전과 오후 일정한 시간에 회수하여 폐사된 산란계 수수를 고려한 헨데이산란율(Hen day egg production, %)4-7)으로 측정하였다. 헨데이산란율은 생존 산란계가 생산한 계란수를 생존 산란계 수수로 나누어 산출하는 방식이다.
타이머를 이용하여 오전 4시 30분부터 오후 21시 30분까지 총 16시간 동안 점등하였다.
직경 25 mm 하우스용 철재관 골조를 피복・단열재의 내부 지지재로 사용하였으며, 그 위에 폴리프로필렌(PP)시트를 사용하여 피복하였다. 또한 내부의 습기가 단열재 및 보온재에 침투하지 못하게 폴리에틸렌(PE)필름을 피복하고, 그 위에 Foam PE를 3중으로 설치한 다음 보온덮개를 피복하였다. 단열재의 양면에 빗물의 침투방지와 단열재의 방습을 위하여 최 외부에 폴리에틸렌(PE)필름을 피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란계사 내의 온도 측정을 위하여 Fig.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도센서(Model : HOBO pro series, ONSET Co. Ltd, Germany)를 케이지의 1단 중앙부(산란계사 지면 기준 높이 60 cm 지점) 및 2단 중앙부(산란계사 지면 기준 높이 110 cm 지점 )에 총 12개를 설치하여 케이지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 중 하루 중 최고온도의 데이터를 산술평균하여 일일 최고 온도로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산란계케이지로는 J사에서 판매하는 주카미(ZUCAMI) Z610모델을 사용하였으며, 2층 14칸으로 케이지의 사양은 Table 1과 같다. 산란계 사육밀도와 군 크기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450 cm2/bird 6~7 birds/group 와 이었다2,4).
공시동물로는 우리나라에서 사육되고 있는 산란계 중 약 75%를 차지하고 있는 갈색산란계 하이라인브라운 품종 산란계 총 180수가 이용되었고, 1열 2단 케이지에서 사육되었다. 이들의 실험 시작 시 나이는 14주령이었다.
공시동물로는 우리나라에서 사육되고 있는 산란계 중 약 75%를 차지하고 있는 갈색산란계 하이라인브라운 품종 산란계 총 180수가 이용되었고, 1열 2단 케이지에서 사육되었다. 이들의 실험 시작 시 나이는 14주령이었다.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직경 25 mm 하우스용 철재관 골조를 피복・단열재의 내부 지지재로 사용하였으며, 그 위에 폴리프로필렌(PP)시트를 사용하여 피복하였다. 또한 내부의 습기가 단열재 및 보온재에 침투하지 못하게 폴리에틸렌(PE)필름을 피복하고, 그 위에 Foam PE를 3중으로 설치한 다음 보온덮개를 피복하였다.
데이터처리
산란계 케이지 층별 음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단별로 소비되어 변화되는 음수통의 무게를 1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변화량을 단별로 계측하였다. 단별로 1일 음수량을 정리, 산술 평균하여 시험계사 내 총 180수 산란계 1일 평균 음수량을 산출하였다.
성능/효과
3은 실험기간 중의 1일 최고온도와 산란율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며, 실험기간 동안 산란계사내의 1일 최고온도는 26~36 ℃를 나타냈다. 산란계사 내의 일 최고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헨데이산란율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산란계가 25℃ 이상의 고온에 노출될 경우, 호흡기, 순환기 및 내분비기 계통 등에 생리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9).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정한 온도로 계사 내부온도를 유지할 때 이 일정온도가 최적온도인 이상으로 21℃ 높아짐에 따라 산란율이 저하되며4-6), 또한 1일 주기로 일정범위 내에서 온도를 변화시킬 때 하한온도가 최적온도인 21℃ 이하로 낮아짐에 따라 산란율이 향상된다7). 그리고 본 연구 결과 1일 최고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위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산란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33℃ 이상의 고온에서는 산란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름철에 하루 중 최고온도를 나타내는 오후 2시경을 전후로 하여 계사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야 하며, 또한 가능한 한 계사 내부의 1일 최고온도가 33℃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란계사 내의 1일 최고온도가 33℃ 이상이 되었을 때 산란율이 현저히 저하되었고 음수량과 사료섭취량이 각각 , 490 mL bird-1 day-1, 240 g bird-1 day-1까지 증가함에 따라 산란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산란계 1수가 전 실험기간 동안 1일 평균 320~530 mL의 물을 마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수량과 산란율과의 관계는 Fig.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헨데이 산란율이 증가하였으나, 490 mL bird-1 day-1 이상에서는 음수량이 증가해도 헨데이 산란율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닭의 경우 인간 및 다른 가축과는 다르게 땀샘이 없기 때문에 주로 호흡기로 증산작용을 이용하여 열을 방출한다11).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 여름철에 산란계의 산란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붕을 충분히 단열처리하고, 만약 지붕이 단열처리 되지 않았다면 차광막을 설치하며, 하루 중에 최고 온도가 되는 오후 2시경을 전・후로 지붕에 시원한 물을 살수하며, 15℃ 정도의 시원한 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위 스트레스는 산란계에게 무엇을 야기하는가?
이런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기후는 땀구멍이 없고 체온이 높은 가금류에게 많은 더위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더위 스트레스는 사료섭취량 감소를 유발시켜 산란율 감소를 초래하고, 과・휴산계 및 폐사계의 증가의 원인이 된다2-3).
소규모, 대규모 산란계 사육농가 수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의 식생활 변화로 인하여 소규모 산란계 사육농가수의 사육수수는 감소하였고 대규모 산란계 사육농가(5만수 이상)의 사육수수는 전체 사육수수 53,516천수의 46%인 24,832천수로 크게 증가하였다1). 이에 따라 단위면적당 사육수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단 직립식 산란계케이지 및 자동 급이・급수 시스템 등의 기계시설을 갖추어 협소한 사육공간에서 다수의 산란계를 밀집 사육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었다.
냉각수를 산란계에게 급수하는 것으로 더위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산란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이 증명, 규명되어야 하는가?
더위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산란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중에는 냉각수를 산란계에게 급수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이 산란계에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음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료섭취량이 증가하고 이 결과 산란율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증명되어야 한다. 또한 산란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사료섭취량을 어느 정도까지 증가시키는 것이 옮은 것인지 규명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13)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in Republic of Korea (2007) The Korean Agriculture Statistics-The part of Livestock
Korean Poultry Association (2006) Manual of Layer Raising Management
Lee, B. D. (1994) Effect of Increased Water Intake on the Alleviation of Heat Stress in Chick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vol 21(2), 93-99
Emery, D. A., Vohra, P. and Ernst, R. A. (1984) The Effect of Cyclic and Constant Ambient Temperatures on Feed Consumption,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Shell Thickness of Hens. Poultry Science vol 63, 2027-2035
Deaton, J. W., Reece, F. N. and Lott, B. D. (1986) Effect of Summer Cyclic Temperatures Versus Moderate Temperature on Laying Hen Performance. Poultry Science vol 65, 1649-1651
Miller, P. C. and Sunde, M. L. (1975) The Effects of Precise Constant and Cyclic Environments on Shell Quality and Other Lay Performance Factors With Leghorn Pullets. Poultry Science vol 54, 36-46
Deaton, J. W., Reece, F. N., Mcnaughton, J. L. and Lott, B. D. (1981) Effect of Differing Temperature Cycle on Egg Shell Quality and Layer Performance. Poultry Science vol 60, 733-737
Kim, J. M., Lee, D. S., Chung, S. B. and Oh., S. J. (1990) Studies on Decision of Suitable Housing Density in Caged Laying He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vol 17(4), 318-326
Sainsbury, D. and Sainsbury, P. (1979) Livestock health and housing 2nd edit. Bailliere Tindall. London
Muller, W. H. (1966) Effect of rapid temperature changes on acid-base balance and shell quality. Journal of Poultry Science vol 45, 1109-1118
Gwak, J. H. (1998) Livestock Management
Kim, Y. B., Park, J. C., Lee, S. K., Kim, S. T., La, W. J., Huh, M. R. and Jeong, S. W. (2006) Analysis of Cooling Effect on the Plastic Film Cover of Greenhouse Module Depending on the Shade and Water Curtain.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ol 15(4), 306-316
Jeon, J. H. Yeon, S. C., Choi, Y. H., Min, W., Kim, S., Kim, P. J. and Chang, H. H. (2006) Effects of chilled drinking water on the performance of lactating sows and their litters during high ambient temperatures under farm conditions. Livestock Science vol 105, 86-9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