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창의성 이론을 통해 본 수학 창의성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View of General Creativity Theory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8 no.3, 2008년, pp.465 - 496  

김판수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창의성은 리더십 및 전문성과 더불어 인재의 핵심가치로 부각되고 있다. 창의성은 영재성의 주요한 요소이며, 영재교육에서 창의성 계발은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특히 고차원의 사고력과 이해를 요구하는 수학영역에서의 창의성은 사고의 융통성을 잴 수 있는 척도로 창의성 연구의 기초 도구로 쓰인다. 그러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Sternberg와 Lubart가 제안한 6가지의 창의성 접근, 즉 신비주의적 접근, 실용주의적 접근, 심리-역등적 접근, 심리-측정적 접근, 인지적 접근, 사회-성격적 접근에 따라 수학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수학 창의성을 여러 측면에서 고찰해봄으로써 수학 창의성 개념과 최근 연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leadership and speciality, creativity is cutting a fine figure among major values of human resource in 21C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7th school curriculum much emphasis is put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by pursuing the image of human being based on creativity based on basic capabilit...

Keyword

참고문헌 (84)

  1. 강 완 (2003).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 구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3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2. 권오남, 박정숙, 박지현, 조영미 (2005).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 44(2). 307-323 

  3. 권오남, 김정효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 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39(2). 81-99 

  4. 김선희, 김기연, 이종희 (2005). 중학생들의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정서적 특성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1). 113-124 

  5. 김정효, 권오남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4(2). 83-103 

  6. 김진호 (2005). 수학자가 수학을 탐구하듯이 학습자도 수학을 탐구할 수 있는 방안모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4(1). 87-101 

  7. 김부윤, 이지성 (2007).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관점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6(3). 293-302 

  8. 김부윤, 이지성 (2006). 수학에서의 창의적 태도의 측정도구 개발과 그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5(1). 25-34 

  9. 김부윤, 이지성 (2005). 수학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모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3). 327-341 

  10. 김부윤, 김철언, 이지성 (2005).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에 대한 고찰(II).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9(1). 241-251 

  11. 김홍원, 김명숙, 방승진, 황동주 (1997). 수학영재판별도구개발연구(II)-검사제작편. 수탁연구 CR pp.97-5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2. 남승인 (2007). 수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1(2). 271-282 

  13. 서종진, 황동주 (2004).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 자기효능감에 대한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8(3). 209-226 

  14. 조석희, 황동주 (2006).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 주최 제11회 국제수학영재교육세미나 프로시딩. 211-226 

  15. 유윤재 (2004).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8(4). 81-94 

  16. 이강섭, 황동주 (2003). 일반 창의성(도형)과 수학 창의성과의 관련 연구-TTCT; Figural A와 MCPSAT; A를 바탕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2(1). 1-9 

  17. 이강섭, 황동주 (2007).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문제설정과의 상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6(4). 503-519 

  18. 이강섭, 황동주, 서종진 (2003). 수학과 창의성 평가에서 개방형 문항의 특성과 중학교 학생들의 반응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6. 201-215 

  19. 이대현 (1999).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직관과 논리의 역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38(2). 159-164 

  20. 이대현, 박배훈 (1998).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소고.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8(2). 679-690 

  21. 조석희, 황동주 (2006).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주최 제11회 국제수학영재학세미나 프로시딩, 211-226 

  22.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0(4). 561-574 

  23. 齊藤昇 (1998). 創造性創出過程のモデルの構築とるの實踐, 日本敎科敎育學會誌. 21(2). 45-53 

  24. Anderson, J. R. (2000). 인지 심리학과 그 응용 [이영애, 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본출판년도: 1995) 

  25. Barron, F., & Harrington, D. H. (1981).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2. 439-476 

  26. Bets, O. (2004). 숫자의 비밀 [배진아, 김혜진, 역] 서울: 도서출판 다시. (원본출간년도: 1999) 

  27. Belliver, A. (1956). Henri Poincare ou la vocation souveraine. Gallimard 

  28. Boden, M.A. (1999). Computer models of creativity. In R.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51-37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Cropley, A. J. (2004). 창의성 계발과 교육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1) 

  30.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R.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pp. 297-31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Davis, P. J., & Hersh, R. (1995). 수학적 경험.상 [양영오, 허 민, 역] 서울: 경문사. (원본출간년도: 1981) 

  32. Devlin, K. (1996). 새로운 황금시대 [허민, 역] 서울: 경문사. (원본출간연도: 1988) 

  33. Duncker, K. (1945). On problem-solving, Psychological Monographs, 58 

  34. English, L.D., & Halford, G.S. (2003). 수학교육론 [고상숙, 고호경, 박만구, 이중권, 정인철, 황우형, 역]. 서울 경문사. (원본출간년도: 1995) 

  35. Ervynck, G. (2003). 수학 창의성 [고등 수학적 사고; 편저자, Tall, D.(Ed.); 류희찬, 조완영, 김인수, 역]. 서울: 경문사. (원본출간연도: 1991) 

  36. Feist, G.J. (1999).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artistic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R.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pp. 273-296).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Finke, R.A., Ward, T.B., & Smith, S.M. (1992). Creative cogni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Cambridge, MA: MIT Press 

  38. Foster, J. (1970). An exploratory attempt to assess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Primary mathematics, 8. 2-7 

  39. Gallian, J.A. (1994). Comtemporary abstract algebra. Lexington, MA: Heath 

  40. Gordon, W.J.J. (1961). Synectic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apacity. New York: Harper & Row 

  41. Gruber, H.E., & Wallace, D.B. (1999). The case study method and evolving systems approach for understanding unique creative people at work. In R.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93-115).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Guilford, J.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43. Hadamard, J. (1990). 수학분야에서 발명의 심리학 [정계섭, 역]. 서울: 범양사. (원본출간년도: 1975) 

  44. Hang, D.J.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mathematical creativity and psychological types in middle school students.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6(4). 313-326 

  45. Hardy, G.H. (1967). A Mathematician's a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Haylock, Derek W. (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8(1). 59-74 

  47. Haylock, Derek W. (1985). Conflicts in the assesment and encourage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16(4). 547-553 

  48. Houtz, J. (2007). 창의성을 부르는 심리학 [김정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2) 

  49. Huckstep, P. (2002). Making mathematics.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2(2). 405-407 

  50. Jackson. P.W., & Messick, S. (1965). The person, the product and the response: Conceptual problems in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Journal of Personality, 35. 302-329 

  51. Jensen, L. R. (1973). The relationships among mathematical creativity, numerical aptitude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52. Kie $\beta$ wetter, K. (1985). Die Forderung von mathematisch besonders begabten und interessierten Schulern-ein bislang vernachlassigtes sonderpadagogisches. Der mathematische und naturwissenschaftliche Unterricht, 38. 300-306 

  53. King, J. (2001). 수와 신비주의 [김량국, 역]. 서울: 도서출판열린책들. (원본출간년도: 1996) 

  54.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5. Krutetskii, V. A. (1976). Mathematical aptitudes. In J. Kilpatrick and I. Wirzup (Eds.), Soviet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Volume I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56. Langley, P., Simon, H.A., Bradshaw, G.L., & Zytkow, J.M. (1987). Scientific discovery: computational explorations of the creative process. Cambridge, MA: MIT Press 

  57. Laycock, M. (1970). Creative mathematics at Nueva. Arithmetic Teacher, 17. 325-328 

  58. Liljedahl, P. (2004). Mathematical discovery: Hadamard resurected. Proceedings of the 28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59. Lubart, T.I. (1999). Creativity across cultures. In R.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39-35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Luchins, A.S. (1942). Mechanization in problem solving: The effect of Einstellung. Psychological Monographs, 54(6) 

  61. Lumsden, C.J. (1999). Evolving creative minds: Stories and Mechanism. In R.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153-168).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Mann, E. L. (2006). Creativity: The Essence of mathematic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0(2). 236-260 

  63. Martindale, C. (1999). Biological bases of creativity. In R.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pp. 137-15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 Mayer, R.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R.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pp. 449-46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Nickerson, R.S. (1999). Enhancing creativity. In R.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92-43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O'Connor, J. J. & Robertson, F. E. (2005). University of St. Andrew,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Archive: 인터넷자료 http://www-history.mcs.st- andrews.ac.uk/HistTopics/Poincare_mines.html. (금색일: 2008. 10.10) 

  67. Osborn, A.F. (1953). Applied imagination (rev.ed.). New York: Scribner's 

  68. Pickover, C.A. (2002). 신의 베틀 [이상원, 역] 서울: 경문사. (원본출간년도: 1997) 

  69. Poincare, H. (2007). Intuition and logic in mathematics. :인터넷자료http://www-history.mcs.st-andrews.ac.uk/Extras/Poincare_Intuition.html 

  70. Poincare, H. (1952). Mathematical Creation. In B. Ghiselin (Ed.). The Creative Process. New American Library, New York 

  71. Poincare, H. (1929). The value of science (in English), New York: Dover. (원본출간년도: 1929) 

  72. Polya, G. (2005).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서울: 교우사 (원본출판년도:1954) 

  73. Polya, G. (1962). Mathematical discovery, Vol. I. John Wiley & Sons, Inc. 

  74. Romey, W.D. (1970). What is your creativity quoti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70. 3-8 

  75. Runco, M. A. (1993). Creativity as an educational objective for disadvantaged students (RBDM9306). Storrs: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 

  76. Skemp, R. (1991). Mathematics in the primary school. London, Routledge 

  77. Spraker, H.S. (1960). A study of the comparative emergence of creative behavior during the process of group and individual study of mathematics. Dissertation Abstracts, 20. 4637 

  78. Sriraman, B. (2005). Are giftedness and creativity synonyms in mathematic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7(1). 20-36 

  79. Sriraman, B. (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s Educator, 14(1). 19-34 

  80. Sternberg, Robert J., & Lubart, Todd I. (1999). Concept of creativity. In Robert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15).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Sternberg, R.J., & Lubart, T.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 677-688 

  82. Toulouse, E. (1910). Henri Poincare. 인터넷자료: planetmath.org/encyclopedia/JulesHenriPoincare.html 

  83. Treffinger, D.J., Young, G.C., Shelby, E.C., & Shepardson, C. (2002).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RM02170). Storrs: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 

  84.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New York: Harcourt, Brace & Jovanovich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