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Abamectin과 Emamectin benzoate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과 솔잎흑파리 밑 솔껍질깍지벌레의 동시방제 가능성
Possibility of simultaneous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and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or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black pine (Pinus thunbergii) by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2 no.4, 2008년, pp.363 - 367  

이상명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김동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김철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추호렬 (경상대학교 응용생물환경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물응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으로 등록되어 있는 아바멕틴 1.8%유제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유제를 이용하여 소나무에 피해를 주고 있는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와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에 대한 동시방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아바멕틴 1.8%유제는 솔잎혹파리와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하여 매우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는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해서만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시험 약제를 소나무 흉고직경 1 cm 당 $1\;m{\ell}$수준으로 수간주사하여 대상해충별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솔잎혹파리에 대해서는 아바멕틴 1.8%유제 처리구에서의 당해년도 충영형성율이 0%였다가 2년차에서는 85%의 충영형성율을 보였고,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유제 처리구에서는 90%이상의 충영형성율을 보여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아바멕틴 1.8%와 에마멕틴벤조에이트 2.15%유제를 솔껍질깍지벌레에 처리하였을 때는 방제가가 각 각 89.1%와 91.4%로서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bamectin 1.8% EC and emamectin benzoate 2.15% were evaluated the simultaneous control effect of both insect pests on black pine (Pinus thunbergii) against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Matsucoccus thunbergianae. Abamectin 1.8% EC was highly effective against T. japonensis and M thunbergianae, how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동일기주에 동시 발생하고 있는 이들 병해충에 대한 방제법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일기주에 발생하는 2 종 이상의 해충을 동시에 방제 할 수 있는 방제법의 개발을 위해 소나무재선충병에 등록되어 있는 아바멕틴과 에마멕틴 벤조에이트를 이용하여 솔잎혹파리와 솔껍질깍지 벌레에 대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국립산림과학원 (2007) 신 산림해충도감. 웃고문화사. 458pp 

  2. 산림청 (2006) 산림병해충 발생 및 방제 통계. 393pp 

  3. 산림청 (2007) 솔잎혹파리 예찰.방제 실무매뉴얼. pp.56. 금강인쇄사 

  4. 산림청 (2008) 산림병해충 방제 세부지침서. 15pp 

  5. 이범영, 정영진 (1997) 한국수목해충. 성안당. 457pp 

  6. 임업연구원 (1994) 임업연구보고서(4-II). 247-273 

  7. 임업연구원 (1995) 한국수목해충목록집. 계문사. 360pp 

  8. 조인호 (2006) SAS 강좌와 통계컨설팅. (주)영진닷컴. 805pp 

  9. 최영연, 문일성 (1989) 한국에 있어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분포와 병원성. 한국식물병리학회지 5:277-286 

  10. 한국작물보호협회 (2008) 2008 농약사용지침서. 1078pp 

  11. Futai, K. (2008) Pine wilt in Japan: from first incidence to the present. pp.5-25, In Pine wilt disease. (eds. Zhao, B. G., F. Futai, J. R. Sutherland and Y. takeuchi), Springer, Tokyo 

  12. Shin, S. C. (2008) Pine wilt disease in Korea. pp.26-32, In Pine wilt disease. (eds. Zhao, B. G., F. Futai, J. R. Sutherland and Y. takeuchi), Springer, Tokyo 

  13. Takai, K., T. Suzuki, and K. Kawazu (2003a) Development and preventative effect against pine wilt disease of a novel liquid formulation of emamectin benzoate. Pest Manag Sci. 59:365-370 

  14. Takai, K., T. Suzuki, and K. Kawazu (2003b)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of emamectin benzoate at efficacious concentrations in pine tissues after injection of a liquid formulation. Pest Manag. Sci. 60:42-48 

  15. Tomlin, C. D. S (2006) The pesticide manual. BCPC. 1349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