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을 위한 나무주사용 약제선발
Selection of Trunk Injection Pesticides for Preventive of Pine Wilt Disease, Bursaphelenchus xylophilus on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3 no.4, 2009년, pp.267 - 274  

이상명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김동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이상길 (국립산림과학원) ,  박남창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물응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무주사를 통한 소나무재선충병 예방 효과가 우수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 현탁액에서 소나무재선충은 1일 후에 7.3%와 8.3%의 낮은 치사율을 보였다. 그러나 잿빛곰팡이균 배지상에서 소나무재선충 증식억제 효과는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 fosthiazate 30% 액제, fenitrothion 30% 액제에서 99.7% 이상을 나타내었다. 곰솔에 대한 나무주사 실험 결과 소나무재선충인공 접종지에서는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의 경우 흉고직경 10 cm당 $10\;m{\ell}$ 주입 시 당년도 고사주율이 0%와 3.3%였으나 fosthiazate 30% 액제를 흉고직경 10 cm당 $5\;m{\ell}$ 주입 시 63.3%의 고사주율을 보였다. 2년째에도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는 90%이상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무처리구의 발병율이 낮은 소나무재선충병 자연 발생지에서 나무주사 효과는 소나무재선충을 인공접종 시킨 곳에 비하여 방제가가 낮게 나타났으나 흉고직경 10 cm당 $20\;m{\ell}$ 주입 시 나무주사 당 년도에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의 방제가는 91.5%와 82.9%로 나타났고, 2년차에도 89.5%와 82.6%의 방제가를 보였다.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를 원액으로 처리한 것과 10배 희석하여 원액처리보다 10배 많은 양을 나무주사한 경우 물량이 많은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소나무재선충 인공접종 처리지에서 abamectin 1.8% 유제와 emamectin benzoate 2.15% 유제는 흉고직경 10 cm당 $5\;m{\ell}$ 주입 시에도 소나무재선충병 예방효과가 100%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effective preventive pesticides against pine wilt disease caused by pine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on trunk injection. 1,000 fold aquatic solution of abamectin 1.8% EC and emamectin benzoate 2.15% EC were lower mortality (7.3% and 8.3% resp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에 효과가 있으면서 경제적인 방제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내생물검정과 야외적용효과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야외에 식재되어 있는 조경수나 자연림 내의 해송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소나무재선충 발생지에서만 실험을 수행하여야 하는 실험 장소의 제약과 겨울철에만 가능한 나무주사 시기의 제한성, 산악지역에서 실험을 수행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나무주사나 소나무 재선충 접종 시 많은 노동력의 필요성 및 실험 후 고사목의 벌채와 훈증작업 시행 등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부수적 제약과 노력이 과도하게 드는 단점이 있었다.
  • 소나무재선충 예방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약제의 종류별에 따른 효과실험과 효과가 우수한 약제를 대상으로 약량별 효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약제의 종류별에 따른 소나무재선충병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나무재선충 피해지인 경남 진주시 금산면 장사리에서 조경용으로 식재된 곰솔을 대상으로 2004년 2월 19일에 abamectin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의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피해는 어떠한가? 5%에 달하는 면적이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일본의 경우 1905년 Nakasaki 지역에서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가 처음 발생한 후(Yano, 1913) 현재는 Aomori와 Hokkaido를 제외한 전역에 확산되었고, 피해량도 1932년에 11,700 m3에서 매년 증가하여 1979년에는 2,432,700 m3에 이르고 있는데 1980년대 이후로 매년 1,000,000 m3이상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Mamiya, 1988; Kishi, 1995; Futai, 2008).
소나무재선충병은 무엇에 의해 전파되는 병인가?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이 매개충인 하늘소류에 의해 전파되는 병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포르투칼 등지의 Pinus 속 소나무류에 치명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Cheng 등, 1983; Tzean과 Jan, 1985; Mamiya, 1988; Yi 등, 1989; Mota 등, 1999). 소나무재선충은 미국이나 캐나다, 멕시코 등 북미지역이 원산지 이나(Steiner와 Buther, 1934; Knowles 등, 1983; Dwinell, 1997) 이 지역의 소나무류는 저항성 계통으로 대부분 피해를 받고 있지 않으나(Dwinell과 Nickle, 1989) 우리나라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곰솔(P.
소나무재선충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소나무재선충병은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이 매개충인 하늘소류에 의해 전파되는 병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포르투칼 등지의 Pinus 속 소나무류에 치명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Cheng 등, 1983; Tzean과 Jan, 1985; Mamiya, 1988; Yi 등, 1989; Mota 등, 1999). 소나무재선충은 미국이나 캐나다, 멕시코 등 북미지역이 원산지 이나(Steiner와 Buther, 1934; Knowles 등, 1983; Dwinell, 1997) 이 지역의 소나무류는 저항성 계통으로 대부분 피해를 받고 있지 않으나(Dwinell과 Nickle, 1989) 우리나라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곰솔(P. thungergii)은 감수성 계통으로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면 100% 고사되고 있다(Takeuchi,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국립삼림과학원 (2006) 산림병해충 기술교본. 300pp. 

  2. 박종민, 김성원, 박성학 (2009) 고창 구시포 해안 곰솔림의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365-375 

  3. 산림청 (2005) 소나무재선충병 효율적 방제 실무매뉴얼. 228pp. 

  4. 산림청 (2009) 2008 임산물 생산 통계. http://www.forest.go.kr 

  5. 이상명, 김동수, 김철수, 추호렬, 이동운 (2008)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abamectin과 emamectin benzoate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과 솔잎혹파리 및 솔껍질깍지벌레의 동시방제 가능성. 농약과학회지 12:363-367 

  6. 조인호 (2006) SAS 강좌와 통계컨설팅. (주)영진닷컴. 805pp. 

  7. 한국작물보호협회 (2009) 2009 농약사용지침서. 1135pp. 

  8. 한상억, 강규석, 전병환, 김장수 (2007) 해송 수형목 풍매차대의 수고, 직경, 재적생장에 대한 유전력 및 개량효과. 한국육종학회지. 39:15-19 

  9. Cheng, H. R., M. Lin, W. Li and Z. Fang (1983) The occurrence of a pine wilting disease caused by a nematode found in Nanjing. Forest Pest and Disease 4:1--5 

  10. Dwinell, L. D (1997) The pinewood nematode: regulation and mitigation. Ann. Rev. Phytopathol. 35:153-166 

  11. Dwinell, L. D. and W. R. Nickle (1989) An overview of the pinewood nematode ban in North America. General Technical Report SE-55, North America Forestry Commission Publication No. 2, Southeastern Forest Experimental Station, Forest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2. Elbadri, G. A. A., D. W. Lee, J. C. Park, H. B. Yu, H. Y. Choo, S. M. Lee and T. H. Lim (2008) Nematicidal screening of essential oils and herbal extracts again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Plant Pathol. J. 24:178-182 

  13. Futai, K (2008) Pine wilt in Japan: from first incidence to the present. pp.5-25, In Pine wilt disease. (eds. Zhao, B. G., F. Futai, J. R. Sutherland and Y. takeuchi), Springer, Tokyo 

  14. Hara, A. H. and H. K. Kaya (1982) Effects of selected insecticides and nematodes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entomogenous nematode Neoaplectana carpocapsae. J. Nematol. 14:486-494 

  15. Kamata, N (2008) Intergrated pest management of pine wilt disease in Japan: tactics and strategies. pp.304-322, In Pine wilt disease. (eds. Zhao, B. G., F. Futai, J. R. Sutherland and Y. Takeuchi), Springer, Tokyo 

  16. Kishi, Y (1995) The pinewood nematode and Japanese pine sawyer. Thomas, Tokyo, p302 

  17. Knowles, K., Y. Beaubien, M. J. Wingfield, F. A. Baker and D. W. French (1983) The pinewood nematode new in Canada. For. Chron. 59:40 

  18. Kong, J. O., S. M. Lee, Y. S. Moon, S. G. Lee and Y. J. Ahn (2006) Nematicidal activity of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Aphelenchoididae). J. Asia-Pacific Entomol. 9:173-178 

  19. Mamiya, Y (1988) History of pine wilt disease in Japan. J. Nematol. 20:219-226 

  20. Mota, M., H. Braasch, M. A. Bravo, A. C. Penas, W. Burgermeister, K. Metge and E. Sousa (1999) First report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Portugal and in Europe. Nematology 1:727-734 

  21. Steiner, G. and E. M. Buhrer (1934) Aphelenchoides xylophilous n. sp., a nematode associated with blue stain and other fungi in timber. J. Agric. Res. 48:949-951 

  22. Takai, K., T. Soejima, T. Suzuki and K.Kawazu(2000) Emamectin benzoate as a candidate for a trunk-injection agent against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Pest Manag. Sci. 937-941 

  23. Takai K., T. Suzuki and K. Kawazu (2003a) Development and preventative effect against pine wilt disease of a novel liquid formulation of emamectin benzoate. Pest Manag Sci. 59:365-370 

  24. Takai K., T. Suzuki and K. Kawazu (2003b)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of emamectin benzoate at efficacious concentrations in pine tissues after injection of a liquid formulation. Pest Manag. Sci. 60:42-48 

  25. Takeuchi, Y (2008) Host fate following infection by the pine wood nematode. pp.235-249, In Pine wilt disease(eds. Zhao, B. G., K. Futai, J. R. Sutherland, and Y. takeuchi), Springer, Japan 

  26. Tzean, S. and S. Jan (1985) The occurrence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Taiwan. pp.38-39, In Proceedings of the 6th ROC symposium of electron microscopy 

  27. Yano, M (1913) Investigation on the causes of pine mortality in Nagasaki prefecture. Sanrinkoho 4:1-14 

  28. Yi, C. K., B. H. Byun, J. D. Park, S. I. Yang and K. H. Chang (1989) First finding of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et Buhrer) Nickle and its insect vector in Korea. Res. Rep. For. Res. Inst. 38:141-149 

  29. Zimmerman, R. J. and W. S. Cranshaw (1990) Compatibility of three entomogenous nematodes (Rhabditida) in aqueous solutions of pesticides used in turfgrass maintenance. J. Econ. Entomol. 83:97-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