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소나무재선충(Bersaphelenchus xylophilus) 나무주사 약제의 효율적인 평가법 개발
Development of Effective Screening Method for Efficacy Test of Trunk Injection Agents Against Pine Wood Nematode, Bersaphelenchus xylophilus in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9 no.4, 2015년, pp.440 - 449  

신원식 (경북대학교 생물응용학과, 생태환경관광학부) ,  정영학 (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 ,  이상명 ((주)SM바이오) ,  이채민 (국립산림과학원) ,  이창준 (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원) ,  김동수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문일성 (국립산림과학원)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물응용학과, 생태환경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소나무류의 가장 치명적인 해충의 하나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스페인, 포르투갈 등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살선충제 나무주사는 효과적인 방제법의 하나이나 야외나 실내실험의 많은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체 효과 평가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곰솔의 가지에서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은 수분 손실이 적은 가지에서 증식이 많이 되었으며 파라핀 도포는 수분손실을 78.6% 감소시켰다. 소나무재선충 접종 한 달 후 자른 가지에서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은 접종 부위로부터 상하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5cm구간과 10cm 구간 사이에도 차이가 없었다. 접종 나무의 굵기가 작을수록 재선충의 증식량이 많았으며 접종 동일 면의 증식량이 많았다. 곰솔과 소나무에서 재선충의 증식은 수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증식기간이 길수록 증식이 많이 되었다. Emamectin benzoate 2.15% EC와 morantel tartrate 8% SL을 곰솔에 수간주입 후 가지를 절단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증식량을 조사한 결과 60일 후에 두 약제 모두 재선충의 증식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수간주사 한 소나무재선충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수간주사 한 나무의 가지에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효과를 검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one of the most serious pests of pine tree. Trunk injection of some nematicides in tree is well known as an effective control method.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ng factors which hindering the efficacy of trunk injection in field or pott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간주사를 통한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선충 활성 검정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하면서 실제 야외실험과 동일 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수행하였는데 자연림 내에 있는 소나무에 수간주사를 한 후 가지 부분을 절단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살선충 효과를 검정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 이는 소나무에 대한 실험들이 비용과 시간, 노력이 많이 드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실험 후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을 완벽하게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소나무재선충 방제제 개발에 부합하는 실험방법의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에 수간주사나 또는 방제제를 처리한 후, 소나무에 직접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는 실험방법을 개선하여 소나무의 일부 가지부분을 채취한 뒤, 여기에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방제 효과를 규명하는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에 수행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1차적으로 소나무 가지에 소나무재선충을 접종 시 적정 농도와 증식에 소요되는 기간, 접종하는 가지나 나무의 적정 크기, 절단한 가지의 건조가 소나무재선충 증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의 규명과 2차적으로는 실제 수간주사를 통해 가지부분에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수간주사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방법 중 나무주사법의 문제점은? 그리고 약제가 비산되어 주변 생태계에 유입되거나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지 않아 환경이나 사람에 대한 영향이 적고, 항공방제나 지상부 약제살포의 경우 처리 지역의 제한이나 강우나 바람 등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는데 비하여 나무주사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임지 내에서 많은 수의 나무에 주사를 하는 것은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대면적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Kamata, 2008).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나무주사는 소나무재선충병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을 위한 수간주사용 방제제의 연구가 다수 수행 된 바 있다(Takai et al.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소나무류의 고사를 막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소나무류의 고사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는 소나무재선충 자체를 죽이는 방법과 솔수염하늘소와 같은 매개충을 죽이는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morantel tartrate나 abamectin, emamectin benzoate와 같은 살선충제를 소나무재선충 침입 전에 소나무에 수간주사하여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을 막는 방법이 있고(Takai et al., 2000; Lee et al., 2009), 후자의 경우 매개충의 우화시기에 메프 유제와 같은 살충제를 항공 살포하거나 메탐소디움 액제를 이용하여 피해목을 훈증시키는 방법이 있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6).
소나무재선충은 무엇인가?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소나무를 비롯하여 Abies, Picea, Pseudotsuga, Lalix, Cedrus, 및 Tsuga spp.속의 기주에서 증식하여 나무를 죽이는 병원체이다(Kishi, 1995; Takeuchi, 2008). 소나무재선충은 미국과 캐나다 및 멕시코 등지의 북미 지역이 원산으로(Dwinell, 1997) 원산지인 북미 지역에서는 소나무류가 저항성이어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도 시들음이나 고사와 같은 피해를 받고 있지 않으나(Dwinell and Nickle, 1989)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및 포르투갈 등지에서는 소나무류에 치명적 피해를 유발시키고 있다(Che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heng, H. R., M. Lin, W. Li and Z. Fang (1983) The occurrence of a pine wilting disease caused by a nematode found in Nanjing. Forest Pest and Disease 4:1-5. 

  2. Cho, I. H. (2006) Statistical consulting and SAS lecture. Youngjin.com. 805pp. 

  3. Dwinell, L. D. (1997) The pinewood nematode: regulation and mitigation. Ann. Rev. Phytopathol. 35:153-166. 

  4. Dwinell, L. D. and W. R. Nickle (1989) An overview of the pinewood nematode ban in North America. General Technical Report SE-55, North America Forestry Commission Publication No. 2, Southeastern Forest Experimental Station, Forest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5. Elbadri, G. A. A., D. W. Lee, J. C. Park, H. B. Yu, H. Y. Choo, S. M. Lee and T. H. Lim (2008) Nematicidal screening of essential oils and herbal extracts again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Plant Pathol. J. 24:178-182. 

  6. Fukuda, K., T. Hogetsu and K. Suzuki (1992) Phytosynthesis and water status of pine-wood nematode-infected pine seedlings. J. Jpn. For. Soc. 74:1-8. 

  7. Futai, K. (2008) Pine wilt in Japan: from first incidence to the present. In Pine wilt disease: Zhao, B. G., Eds; Springer, Japan. pp.5-25. 

  8. Ikeda, T. and T. Suzuki (1984) Influence of pine-wood nematodes on hydraulic conductivity and water status in Pinus thunbergii. J. Jap. For. Soc. 66:412-120. 

  9. Iwahori, H. and K. Futai (1996) Changes in nematode population and movement in pine seedlings with the development of pine wilt disease: suppressiv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infected pine seedlings on the movement of nematodes. Appl. Entomol. Zool. 31:1-20. 

  10. Kamata, N. (2008) Intergrated pest management of pine wilt disease in Japan: tactics and strategies. In Pine wilt disease: Zhao, B. G., Eds; Springer, Japan. pp.304-322. 

  11. Kim, D. S., S. M. Lee, C. S. Kim, D. W. Lee and C. G. Park (2011) Movement of Monochamus alternatus Hope (Coleoptera: Cerambycidae) adults among young black pine trees in a screen cage. Korean J. Appl. Entomol. 50:1-6. 

  12. Kim, D. S., S. M. Lee, H. S. Huh, N. C. Park and C. G. Park (2009) Escape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through feeding and oviposition behavior of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adult. Korean J. Appl. Entomol. 48:527-533. 

  13. Kishi, Y. (1995) The pinewood nematode and Japanese pine sawyer. Thomas, Tokyo, p302. 

  14. Kishi, Y. (1999) Influence of tree age on wilt and mortality of pines after inoculation with Bursaphelenchus xylophilus. J. Jpn. For. Soc. 81:330-333. 

  15. Kobayashi, F., A. Yamane and T. Ikeda (1984) The Japanese pine sawyer beetle as the vector of pine wilt disease. Ann. Rev. Entomol. 29:115-135. 

  16. Kong, J. O., S. M. Lee, Y. S. Moon, S. G. Lee and Y. J. Ahn (2006) Nematicidal activity of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Aphelenchoididae). J. Asia-Pacific Entomol. 9:173-178. 

  17. Kong, J. O., S. M. Lee, Y. S. Moon, S. G. Lee and Y. J. Ahn (2007) Nematicidal activity of cassia and cinnamon oil compounds and related compounds toward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Parasitaphelenchidae). J. Nematol. 39:31-36. 

  18.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1) Guide book of pesticides using. Samjung Press. Seoul, Korea. 

  1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2006) Technique guide of forest disease and insect pests. KFRI. 300pp. 

  20. Korea Forest Service (2005) Practical manuals for effective control of pine wood nematode. 228pp. (In Korean) 

  21. Korea Forest Service (2009)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08. Korea Forest Service. http://www.forest.go.kr 

  22. Kuroda, K., T. Yoshihiro and S. Ito (1991) Development of the pine-wilt disease in Pinus densiflora from the stand point of water conduction. J. Jpn. For. Soc. 73:69-72. 

  23. Lee, D. W., S. M. Lee, S. H. Lee and H. Y. Choo (2010) Nematicidal activity of some herval extracts against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n J. Soil Zool. 14(1-2):43-49. 

  24. Lee, S. M., D. S. Kim, C. S. Kim, H. Y. Choo and D. W. Lee (2008) Possibility of simultaneous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and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or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black pine (Pinus thunbergii) by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Korean J. Pesticides Sci. 12:363-367. 

  25. Lee, S. M., D. S. Kim, S. G. Lee, N. C. Park and D. W. Lee (2009) Selection of trunk injection pesticides for preventive of pine wilt disease by Bursaphelenchus xylophilus on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Korean J. Pesticides Sci. 13:267-274. 

  26. Mackeen, M. M., A. M. Ali, M. A. Abdullah, R. M. Nasir, N. B. Mat, A. R. Razak and K. Kawazu (1997) Antinematicidal activity of some Malaysian plant extracts against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Pestic. Sci. 51:165-170. 

  27. Mamiya, Y. (1975) The life history of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lignicolus. Jpn. J. Nematol. 5:16-25. 

  28. Mamiya, Y. (1983) The effect of wood tissues on the molting rate of the dauerlarvae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Japanese J. Nematol. 13:6-13. 

  29. Mamiya, Y. (1988) History of pine wilt disease in Japan. J. Nematol. 20: 219-226. 

  30. Maehara, N. and K. Futai (1996) Factors affecting both the numbers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Aphelenchoididae), carried by the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and the nematode's life history. Appl. Entomol. Zool. 31:443-452. 

  31. Maehara, N. and K. Futai (2002)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Aphelenchoididae) carried by several species of beetles. Nematology 4:653-658. 

  32. Mota, M., H. Braasch, M. A. Bravo, A. C. Penas, W. Burgermeister, K. Metge and E. Sousa (1999) First report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Portugal and in Europe. Nematology 1:727-734. 

  33. Oku, H., T. Shiraishi and K. Chikamatsu (1989) Active defense as a mechanism of resistance in pine against pine wilt disease. Ann. Phytopath. Soc. Japan. 55:603-608. 

  34. Rutherford, T. A., Y. Mamiya and J. M. Webster (1990) Nematode-induced pine wilt disease: factors influencing its occurrence and distribution. Forest Science 36:145-155. 

  35. Shin, S. C. (2008) Pine wilt in Korea. In Pine wilt disease: Zhao, B. G., Eds; Springer, Japan. pp.26-32. 

  36. Takai, K., T. Soejima, T. Suzuki and K. Kawazu (2000) Emamectin benzoate as a candidate for a trunk-injection agent against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Pest Manag. Sci. 56:937-941. 

  37. Takai, K., T. Soejima, T. Suzuki and K. Kawazu (2001) Development of a water-soluble preparation of emamectin benzoate and its preventive effect against the wilting of potgrown pine trees inoculated with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Pest Manag. Sci. 57:463-466. 

  38. Takai K., T. Suzuki and K. Kawazu (2003a) Development and preventative effect against pine wilt disease of a novel liquid formulation of emamectin benzoate. Pest Manag Sci. 59:365-370. 

  39. Takai K., T. Suzuki and K. Kawazu (2003b)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of emamectin benzoate at efficacious concentrations in pine tissues after injection of a liquid formulation. Pest Manag. Sci. 60:42-48. 

  40. Takemoto, S. (2008) Population ecology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 In Pine wilt disease: Zhao, B. G., Eds; Springer, Japan. pp.105-122. 

  41. Takeuchi, Y. (2008) Host fate following infection by the pine wood nematode. In Pine wilt disease: Zhao, B. G., Eds; Springer, Japan. pp.235-249. 

  42. Tomlin, C. D. S. (2006) A world compendium the pesticide manual. BCPC.Hampshire, UK. 

  43. Tzean, S. and S. Jan (1985) The occurrence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Taiwan. pp.38-39, In Proceedings of the 6th ROC symposium of electron microscopy. 

  44. Yano, M. (1913) Investigation on the causes of pine mortality in Nagasaki prefecture. Sanrinkoho 4:1-14. 

  45. Yi, C. K., B. H. Byun, J. D. Park, S. I. Yang and K. H. Chang (1989) First finding of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et Buhrer) Nickle and its insect vector in Korea. Res. Rep. For. Res. Inst. 38:141-1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