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urdough 대체가 호밀-밀 혼합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urdough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ye-Wheat Mixed Brea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5, 2008년, pp.625 - 632  

김문용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sourdough의 대체량을 20%, 40%, 60% 및 80%로 달리하여 제조한 호밀-밀 혼합빵의 품질 특성을 실험하였다. Sourdough의 pH와 총산도는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총산도는 증가하였다. 호밀-밀 혼합반죽의 sourdough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총산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호밀-밀 혼합빵의 pH는 대조군보다 sourdough 대체군들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총산도는 높게 나타났다. 발효팽창력은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ourdough 20% 대체군이 111.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용적은 sourdough 20% 대체군이 1.87 mL/g로 가장 높았다. 굽기 손실률은 sourdough 80% 대체군이 7.39%로 가장 낮았다. 수분활성도는 대조군이 0.919로 가장 높았고, 대조군보다 sourdough 대체군들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sourdough 대체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견고성, 점착성씹힘성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대조군보다 sourdough 대체군들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부착성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sourdough 대체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부서짐성, 응집성복원성은 대조군과 sourdough 대체군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력성은 sourdough 20% 대체군이 0.746으로 가장 높았고, 40% 대체군이 0.629로 가장 낮았다. Sourdough 20% 대체군을 제외하고, 겉껍질과 로프의 양 옆면 사이에 브레이크(break)와 슈레드(shred)가 관찰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 빵 속살의 색상, 기공의 균일성, 빵 속살의 경도, 입안에서의 점착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sourdough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호밀향과 쓴맛은 이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기공의 밀도, 탄력성 및 신맛은 대조군보다 sourdough 대체군들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조군의 호밀-밀 혼합빵이 관능검사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sourdough 대체량이 많아질수록 관능검사 점수가 다소 떨어지기는 하였지만, 전체적인 품질특성을 고려해 보면 $20{\sim}60%$ 대체는 sourdough의 향과 맛을 지니면서도 상당히 우수한 빵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ye-wheat mixed bread samples made with substitutions of 20, 40, 60 and 80% sourdough, and control made with the addition of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were examin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pH, total titratable acidity, fermentation power of dough expansion, specific volume, b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ourdough의 대체량을 20%, 40%, 60% 및 80%로 달리하여 제조한 호밀-밀 혼합빵의 품질 특성인 반죽 및 빵의 pH와 총산도, 반죽의 발효 팽창력, 호밀밀 혼합빵의 비용적, 굽기손실률, 수분활성도, 색도, 조직감, 외부 및 내부 표면 관찰,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실제 제빵 시 사용되는 제빵효모에 대한 sourdough의 최적 대체 비율을 찾고자 하였다.
  • 최근 들어 호밀가루나 밀가루에 물을 첨가하여 오랜 숙성 과정을 거쳐 만든 천연 발효종을 제빵의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sourdough bread가 건강빵으로 인식되면서 이에 관한 연구 및 상업적인 생산에 대한 접목이 급증하고 있다. 제빵에 사워도우를 사용하는 목적은 제빵효모와 같은 팽창제의 역할, 풍미, 신선도, 저장성, 소화성 및 영양생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사워도우는 처음에는 호밀빵에서 아밀라아제의 활성을 낮추어 빵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밀가루, 보리 및 쌀 빵에도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urdough bread 제빵에 사워도우를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호밀가루나 밀가루에 물을 첨가하여 오랜 숙성 과정을 거쳐 만든 천연 발효종을 제빵의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sourdough bread가 건강빵으로 인식되면서 이에 관한 연구 및 상업적인 생산에 대한 접목이 급증하고 있다. 제빵에 사워도우를 사용하는 목적은 제빵효모와 같은 팽창제의 역할, 풍미, 신선도, 저장성, 소화성 및 영양생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사워도우는 처음에는 호밀빵에서 아밀라아제의 활성을 낮추어 빵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밀가루, 보리 및 쌀 빵에도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sourdough bread는 어떻게 제조하는가? 최근 들어 호밀가루나 밀가루에 물을 첨가하여 오랜 숙성 과정을 거쳐 만든 천연 발효종을 제빵의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sourdough bread가 건강빵으로 인식되면서 이에 관한 연구 및 상업적인 생산에 대한 접목이 급증하고 있다. 제빵에 사워도우를 사용하는 목적은 제빵효모와 같은 팽창제의 역할, 풍미, 신선도, 저장성, 소화성 및 영양생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최근 사워도우를 제빵에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빵에 사워도우를 사용하는 목적은 제빵효모와 같은 팽창제의 역할, 풍미, 신선도, 저장성, 소화성 및 영양생리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사워도우는 처음에는 호밀빵에서 아밀라아제의 활성을 낮추어 빵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밀가루, 보리 및 쌀 빵에도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wang JK. 2003. Food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rye. Food Sci Ind 36: 70-80 

  2. Kulp K, Lorenz K. 2003. Handbook of dough fermentations. Marcel Dekker Inc., New York, USA 

  3. Brandt MJ, Ganzle MG. 2006. Handbuch Sauerteig (in German). 6thed. Behr's Verlag, Hamburg, Germany 

  4. Kujala T. 2006. Rye and Health. The Nordic Rye Grou, Finland 

  5. Lee JH. 2007.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s with addition of red-koji.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6. Chae DJ. 2006. A study on the optimum bakery condition for sourdough bread using lactic acid bacteria. PhD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7. An HL. 2005.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Korean sourdough bread using korean wheat.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8. Kang ES. 2004.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changes of bread with sourdough at the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s.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9. Kim KJ. 2003. Studies on the sourdough bread baking inoculated with isolated quality wild strains.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10. Hong JH. 2000. Effect of cooking method to barley bread using sourdough prepared by Enterococcus sp. isolated from barley powder and Lactobacillus sp. M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1. Kwon KS. 2004. The optimized formulas of rye bread on the sensory properties using RSM. Korean J Food & Nutr 17: 278-285 

  12. Park MA, Lee JW, Shin MS, Ly SY. 2007. Glycemic index lowering effects of breads supplemented with resistant starch, whole rye grain and fructooligosaccharid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189-197 

  13. Arbeitsgemeinschaft Getreideforschunge.V. 1994. Standard- Methoden fur Getreide, Mehl und Brot (in German). 7th ed. Verlag Moritz Schafer, Detmold, Germany 

  14. Oberg CJ, Davis LH, Richardson GH, Ernstrom CA. 1986. Manufacture of cheddar cheese using proteinase-negative mutants of Streptococcus cremors. J Dairy Sci 69: 2975- 2981 

  15. Freund W. 1995. Backerei-Konditorei Management V.: Verfahrenstechnik Brot und Kleingeback (in German). Gildebuchverlag, Alfeld (Leine), Germany 

  16. He H, Hoseney RC. 1992. Effect of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 17-19 

  17. Lee JH, Kwak EJ, Kim JS, Lee KS, Lee YS. 2007.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s with addition of red yeast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85-793 

  18. Lee JY, Lee SK, Cho NJ, Park WJ. 2003. Development of the formula for natural bread-making star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45-1252 

  19. Freund W. 2006. Starterkulturen und Sauerteigprodukte (in German). In Handbuch Sauerteig. Brandt MJ, Ganzle MG, Spicher G, eds. 6th ed. Behr's Verlag, Hamburg, Germany. p 353-375 

  20. Kim MY. 2007. The measurement and the influence on the dough consistency from rye flour (in German). Dr. rer. nat. Dissertation. Gottfried Wilhelm Leibniz University of Hannover, Hannover, Germany 

  21. Seibel W. 1988. Lebensmittel aus Roggen (in German). In Roggen: Anbau, Verarbeitung, Markt. Seibel W, Steller W, eds. Behr's Verlag, Hamburg, Germany. p 121-132 

  22. Narendranath NV, Power R. 2005. Relationship between pH and medium dissolved solids in terms of growth and metabolism of Lactobacill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during ethanol production. Appl Environ Microbiol 71: 2239- 2243 

  23. 김성곤, 조남지, 김영호. 1999. 제과제빵과학. 비앤씨월드, 서울. p 7-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