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urdough를 이용한 제빵의 특성
Properties of Sourdough-added Bread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6 = no.202, 2008년, pp.643 - 648  

정현채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품외식학부 식품가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효모와 젖산균을 이용하여 sourdough을 제조하고 이것을 첨가하여 만든 식빵의 제조 특성, 식미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Sourdough 30, 50, 100%를 각각 첨가 시 1차 발효 후 젖산균과 효모의 생육에서 젖산균수는 $10^{9-10}CFU/g$로 크게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효모는 젖산균의 생육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빵의 관능적 평가는 sourdough가 첨가된 빵인 경우 다소 신맛을 나타내었고 식감과 조직감은 대조구와 유의성이 없었으며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sourdough 100% 첨가한 빵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빵의 저장성에서 sourdough 첨가 식빵은 6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3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한 대조구에 비해 보존기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의 오염도에 있어서도 sourdough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의 균수가 적게 나타났다. Sourdough 첨가시 빵의 노화속도는 sourdough가 30, 50 및 100%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각각 13, 20 및 36%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sourdough to bread dough, specifically with regard to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ead dough, organoleptic evaluation, and bread storage. Marked increases in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10^{9-10}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sourdough빵 제조시 비전통적 발효법은 많은 종류의 젖산균이 발효에 관여되기 때문에 빵의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빵의 식미 저하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sourdough의 제빵에서 젖산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배양배지 조건에서 sourdough에 관계되는 우수 미생물을 분리, 선별하여 sourdough에 적용함으로써 식미가 좋고 균일한 품질의 천연발효빵을 제조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실에서 분리한 효모와 젖산균을 이용하여 sourdough를 제조하고, 이것을 제빵과정에 첨가하여 반죽 특성을 조사하고, 제빵 후 식미, 저장성 등의 제빵 특성을 연구 보고 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효모와 젖산균을 이용하여 sourdough을 제조하고 이것을 첨가하여 만든 식빵의 제조 특성, 식미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Sourdough 30, 50, 100%를 각각 첨가 시 1차 발효 후 젖산균과 효모의 생육에서 젖산균수는 109-10 CFU/g로 크게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효모는 젖산균의 생육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설 설정

  • 1)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urdough이란 무엇인가? 천연발효빵은 자연효모를 활성화시켜 사용함으로써 빵의 풍미에 있어 기존 빵과의 차별화를 두며 빵의 부피, 조직감, 저장성 및 관능평가 등에서 품질적인 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자연효모을 이용한 천연발효빵은 자연효모를 활성화시키는 동안 공기 중으로부터 낙하한 미생물들이 발효에 관여하며 효모 활성화를 위해 상당한 시간과 고도의 기술 및 작업조건이 요구된다. 발효 후 신맛을 내는 반죽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sourdough라고 부른다. 신맛의 주원인은 젖산균으로부터 생성된 산류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천연발효빵의 기본이 되고 있다(5-7).
Sourdough는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무엇인가? 신맛의 주원인은 젖산균으로부터 생성된 산류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천연발효빵의 기본이 되고 있다(5-7). Sourdough는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의해 큰 영향을 받으며, 특히 젖산균과 효모가 주 발효미생물로서 단독 혹은 이 두 미생물이 발효에 작용하여 sourdough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8-13), 오래 전부터 sourdough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빵 제조에 젖산균을 사용한 국내외 연구를 보면 젖산균이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14,15), sourdough 제조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분리, 동정(16,17), 빵의 저장성 개선을 위한 종균의 배양 방법(18) 등의 연구가 있다.
sourdough의 신맛의 주원인은 무엇인가? 발효 후 신맛을 내는 반죽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sourdough라고 부른다. 신맛의 주원인은 젖산균으로부터 생성된 산류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천연발효빵의 기본이 되고 있다(5-7). Sourdough는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의해 큰 영향을 받으며, 특히 젖산균과 효모가 주 발효미생물로서 단독 혹은 이 두 미생물이 발효에 작용하여 sourdough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8-13), 오래 전부터 sourdough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Danaka KB. Science of Baking Process (In Japanese). Kwang Lim Publisher, Tokyo, Japan, pp. 151-158 (1994) 

  2. Corsetti A, Gobbetti M, Rossi J, Damiani P. Antimould activity of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Identification of a mixture of organic acids produced by Lactobacillus sanfrancisco CB1. Appl. Microbiol. Biot. 50: 253-256 (1998) 

  3. Messens W, Vuyst LD. Inhibitory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i isolated from sourdough-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72: 31-43 (2002) 

  4. Linko YY, Javanainen P, Linko S. Biotechnology of bread baking. Trends Food Sci. Technol. 8: 339-344 (1997) 

  5. Hong JH, Kim KJ. Effect of prepared by Enterococcus sp. and Lactobacillus sp. on the quality of barley bread: Identification of bacterial strain from barley power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sourdough. Korean J. Dietary Culture 16: 354-360 (2001) 

  6. Hong JH, Kim KJ. Effect of barley bread using sourdough prepared by Enterococcus sp. and Lactobacillus sp. :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arley bread. Korean J. Dietary Culture 16: 361-370 (2001) 

  7. Hong JH, Kim KJ, Bang KS. Effect of sourdough starter on the characteristics of rheological of barley bread. Korean J. Soc. Food Sci. 16: 358-362 (2000) 

  8. Corsetti A, Gobbetti M, Smacchi E. Antibacterial activity of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Isolation of a bacteriocin like inhibitory substance from Lactobacillus sanfrancisco C57. Food Microbiol. 13: 447-456 (1996) 

  9. Todorov S, Onno B, Sorokine O, Chobert JM, Ivanova I, Dousset X.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ST 31 isolated from sourdough. Int. J. Food Microbiol. 48: 167-177 (1999) 

  10. Gullo M, Romano AD, Pulvirenti A, Giudici P. Candida humilisdominant species in sourdoughs for the production of durum wheat bran flour bread. Int. J. Food Microbiol. 80: 55-59 (2003) 

  11. Gobbetti M. The sourdough microflora-Inte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Trends Food Sci. Technol. 9: 267-274 (1998) 

  12. Ganzle MG, Ehmann M, Hammes WP. Modeling of growth of Lactobacillus sanfrancisco and Candida milleri in response to process parameters of sourdough ferment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4: 2616-2623 (1998) 

  13. Corsetti A, Gobbetti M, Balestrieri F, Paoletti F, Russi L, Rossi J.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effects on bread firmness and staling. J. Food Sci. 63: 347-351 (1998) 

  14. Wang HL, Karidej L, Hesseltine CW. Lactic acid fermentation of soybean milk. J. Milk Food Technol. 37: 71-73 (1974) 

  15. Kim KH, Ko YT. Study on growth and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151-156 (1987) 

  16. Martinez-Anaya MA, Pitarch B, Bayarri P, Benedito De Barber C. Microflora of the sourdough of wheat flour bread. Cereal Chem. 67: 85-91 (1990) 

  17. Sugihara TF, Kline N, Miller MW. Microoganisms of the San Francisco sourdough bread process. Appl. Microbiol. 21: 456-458 (1971) 

  18. Kook SU. Development of starter cultures for the extension of the shelf life of bread. Korean J. Food Nutr. 9: 236-241 (1996) 

  19. Cho MJ, Kim HI, Kim SK. Effects of flour brew with Bifidobacterium bifidum as a natural bread improv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75-1282 (1999) 

  20. Finny KF. An optimized straight dough bread making method after 44 years. Cereal Chem. 61: 20-26 (1984) 

  21. Ha SD. Evaluation of dryfilm method for isolation of microorganism from food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4: 174-184 (1996) 

  22. Choi KS, Choi C, Im MH, Choi JD, Chung HC, Kim YH, Lee CW. The effects of soybean boiling waste liquor on the enhancement of lactic acid fermentation during Korean traditional kanjang mash maturing. Korean J. Soc. Appl. Biol. Chem. 41: 201-207 (1998) 

  23.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AACC). Approved Method. The Association St. Paul, MN, USA pp. 21-54 (1985) 

  24. Sung NK. SAS/STAT-Analysis of dispersion. Jayoo Academic Press, Seoul, Korea. pp. 93-105 (1993) 

  25. Rojas JA, Rossell CM, Benedito De Barber C. Role of maltodextrins in the staling of starch gels. Eur. Food Res. Technol. 212: 364-368 (2001) 

  26. Kim CT, Lee SJ, Hwang JK, Kim CJ, Ahn BH. Effect of propolis addition on shelf-life and staling of white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82-986 (1997) 

  27. Kim SK. On bread staling with emphasis on the role of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8: 185-190 (1976) 

  28. Cheon KC, Kim KJ, Baik YS, Chang YI, Chang KS. Effect of sugars on recrystallization and glass transition of rice starch gels. Food Eng. Prog. 2: 235-242 (1998) 

  29. Baik MY, Kim KJ, Cheon KC, Ha YC, Kim WS.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recrystallization of rice starch g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39-946 (1997) 

  30. Kim IH, Lee KH, Kim SK. Effect of polyphosphate on firming rate of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245-247 (1985) 

  31. Crowley P, Schober TJ. The effect of storage time on textural and crumb grain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wheat bread. Eur. Food Res. Technol. 214: 489-496 (2002) 

  32. Song MR, Lee KS, Lee BC, Oh MJ.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various ginseng products. Korean J. Food Preserv. 14: 369-377 (2007) 

  33. Ryu CH, Kim SY.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barley sourdough in composite bread.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733-741 (200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