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겨, 발효쌀겨 그리고 쌀겨유의 첨가에 따른 제빵특성의 변화
Changes of Breadmaking Characteristics with the Addition of Rice Bran, Fermented Rice Bran and Rice Bran Oi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5, 2008년, pp.640 - 646  

박현실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품외식학부 식품가공학) ,  최경민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품외식학부 식품가공학) ,  한기동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품외식학부 식품가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쌀겨와 발효쌀겨, 쌀겨유의 쇼트닝 대체에 따른 제빵특성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빵 반죽에 대한 쌀겨의 첨가는 제빵 후 명도의 감소, 황색도 및 적색도의 증가와 전반적 물성 변화를 가져오나, 5% 정도의 쌀겨 첨가는 쌀겨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대조구와 외관 및 물성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효모로 예비 발효한 발효쌀겨의 첨가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texture 및 풍미가 향상되었다. 빵 반죽에 대한 쌀겨유의 쇼트닝 대체는 첨가 수준이 클수록 반죽 내 비 용적이 감소되었다. 황색의 쌀겨유의 첨가는 반죽의 명도를 낮추고 황색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쇼트닝의 쌀겨유 대체는 경도, 씹힘성 그리고 부서짐 등의 증가를 가져오는 불리한 점이 있으나, 50% 정도의 쌀겨유 대체는 빵의 물성변화에 있어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쌀겨유의 대체는 관능평가에서 부피의 상대적 감소 및 경도의 증가로 인한 질감의 저하를 가져오나, 제빵 후 풍미 향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쌀겨, 발효쌀겨 그리고 쌀겨유의 제빵과정 중 첨가는 빵의 색, 부피 등 외관상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나, 쌀겨 특히, 발효쌀겨의 첨가는 오히려 맛 과 풍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breadmaking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hen rice bran (RB), fermented rice bran (FRB) and rice bran oil (RBO) were added to the dough. Addition of RB to dough generally showed a decrease of the bread volume and increase of the bread weight which is rel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의 자원화를 목적으로 쌀겨를 제빵 재료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쌀겨에서 얻어지는 쌀겨유(미강유)의 쇼트닝 대체에 따른 제빵특성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 쌀겨와 발효쌀겨, 쌀겨유의 쇼트닝 대체에 따른 제빵특성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빵 반죽에 대한 쌀겨의 첨가는 제빵 후 명도의 감소, 황색도 및 적색도의 증가와 전반적 물성 변화를 가져오나, 5% 정도의 쌀겨 첨가는 쌀겨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대조구와 외관 및 물성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설 설정

  • 3)Mean±SD. 4)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이섬유는 어떠한 생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쌀을 포함한 대부분의 곡류는 bran층에 풍부한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식이섬유는 보수력, 보유력, 각종 무기질과의 결합력,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의 저하, 대장암 예방, 음식물의 장내 통과시간 단축 등 중요한 생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연구로는 식이섬유의 함수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험조건에 대한 연구(1) 외에도 Ca, Mg, Zn, Fe가 밀겨나 식이섬유 단면에 결합 시 pH 및 열처리에 따른 효과(2), 네 번 정제된 섬유질을 섭취한 성인 남성의 혈중지방과 지단백(3), 콜레스테롤로 사육한 쥐의 지방대사에 귀리의 겨, 점성물질, 펙틴이 미치는 영향(4), 혈중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은 사람에 있어 정제된 왕겨 표본의 효과결여(5) 등이 있고, 이러한 식이섬유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밀가루에 곡류 등을 첨가하여 식이섬유의 영양적 측면을 고려한 연구로는 사과 섬유의 화학적, 물리적 제빵 특성에 대한 밀과 귀리, 겨와의 비교(6), 제빵 시 밀기울의 효과 (7), 제빵 시 섬유질의 기능적 특성에 대한 효과(8), 연질밀에 있어서 콩 다당류와 밀기울의 기능적 특성들(9), 완두콩 껍질과 밀, 옥수수, 야생귀리가 함유된 고 섬유 빵 제품(10), 옥수수 섬유를 슈가 스냅쿠키에 혼합했을 때(11), 섬유소와 가공 섬유소를 포함한 고 섬유 슈가 스냅쿠키(12), 식이 성분으로 쿠키의 질을 예측(13), 제분 부가물과 콩 단백이 확장된 스낵식품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14), 압출 성형된 옥수수 가루 스낵의 질에 대한 단백질과 섬유질의 보충효과 (15) 등 여러 가지 제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쌀을 포함한 대부분의 곡류는 bran층에 무엇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가? 쌀을 포함한 대부분의 곡류는 bran층에 풍부한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식이섬유는 보수력, 보유력, 각종 무기질과의 결합력,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의 저하, 대장암 예방, 음식물의 장내 통과시간 단축 등 중요한 생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쌀겨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texture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식빵의 경도, 응집성, 탄력성은 5% 쌀겨 첨가구와 5% 발효 쌀겨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쌀겨 10% 첨가군은 경도가 증가하였고, 응집성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쌀겨 및 발효쌀겨 5% 첨가는 반죽의 글루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경도나 응집성 등 제빵의 일반적인 특성을 대조구와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쌀겨 10% 첨가군은 글루텐의 희석 효과로 경도가 증가하고 글루텐 형성이 약해져 응집성 및 탄력성이 감소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Robertson JA, Eastwood MA. 1981. An investigation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could affect water-holding capacity of dietary fiber. J Sci Food Agr 32: 819-825 

  2. Camire AL, Clydesdale FM. 1981. Effect of pH and heat treatment on the binding of Ca, Mg, Zn and Fe to wheat bran and fractions of dietary fiber. J Food Sci 46: 548-551 

  3. Behall KM, Lee KH, Moser PB. 1984. Blood lipids and lipoproteins in adult men fed four refined fibers. Am J Clin Nutr 39: 209-214 

  4. Chen WL, Anderson JW, Gould MR. 1981. Effect of oat bran, oat gum and pectin on lipid metabolism of cholesterol- fed rats. Nutr Rep Int 24: 1093-1097 

  5. Lithell H, Selinus I, Vessby B. 1984. Lack of effect of a purified bran preparation in men with low HDL-cholesterol. Hum Nutr Clin Nutr 38: 309-313 

  6. Chen H, Rubenthaler GL, Leung HK, Baranowski JD. 1988. Chemical, physical, and baking properties of apple fiber compared with wheat and oat bran. Cereal Chem 65: 244-247 

  7. Lai CS, Hoseney RC, Davis AB. 1989. Effect of wheat bran in breadmaking. Cereal Chem 66: 217-219 

  8. Pomeranz Y, Shogren MD, Finney KF, Bechtel DB. 1977. Fiber in breadmaking. Effect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 25-41 

  9. Sievert D, Pomeranz Y, Abdelrahman A. 1990.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polysaccharides and wheat bran in soft wheat products. Cereal Chem 67: 10-13 

  10. Sosulski FW, Wu KK. 1988. High-fiber breads containing field pea hulls, wheat, corn, and wild oat brans. Cereal Chem 65: 186-191 

  11. Artz WE, Warren CC, Morhring AE, Villota R. 1990. Incorporation of corn fiber into sugar snap cookies. Cereal Chem 67: 303-305 

  12. Gorczyca CG, Zabik ME. 1979. High fiber sugar snap cookies containing cellulose and coated cellulose products. Cereal Chem 56: 537-540 

  13. Jeltema MA, Zabik ME, Thiel LJ. 1983. Prediction of cookies quality from dietary fiber components. Cereal Chem 60: 227-230 

  14. Breen MD, Seyam AA, Banasik OJ. 1977. The effect of mill by-products and soy protein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xpanded snack foods. Cereal Chem 54: 728-736 

  15. Camire ME, King CC. 1991. protein and fiber supplementation effect on extruded cornmeal snack quality. J Food Sci 56: 760-763 

  16. Cho MK, Lee WJ. 1996. Preparation of high-fiber bread with barley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02-706 

  17. Kim BR, Choi YS, Lee SY. 2000. Bread 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buck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41-247 

  18. Kim JS, Park SI. 1999. Baking properties of yeast breads containing various combinations of job's-tears flour and wheat flour. J Food Hygiene Safety 14: 17-21 

  19. Kim HH, Lee JH, Yun MS. 2001. A study of baking properties depending on soybean flour and calcium added. Korean J Culinary Research 7: 263-273 

  20. Yu BH. 2003. Baking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barley bran.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1. Ryu CH. 1999.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waxy barley-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34-1043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0. 1998 Nation nutrition survey report 

  23. Chung OK. 1981. A three way contribution of wheat flour lipids, shortening and surfactants to bread m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74-89 

  24. Lee SH, Yun MS, Lee JH, Min SG, Lee S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olive oi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17-221 

  25. Pyler EJ. 1975. Physical & chemical test methods. In Baking Science & Technology. Sosland Pub Co., Kansas, USA. Vol II, p 891-895 

  26. Tanaka Y, Matsumoto H. 1997. The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Kourin Co., Tokyo, Japan. p 31-200 

  27. 신언환, 권상용, 방광웅, 김기주, 전윤선. 2008. 제과제빵이론. 보문각, 서울. p 26 

  28. Bell BM, Daniels DGH, Fisher N. 1981. Vacuum expansion of mechanically developed doughs at proof temperature: Effect of shortening. Cereal Chem 58: 182-1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