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겨를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Rice Bra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5, 2012년, pp.681 - 687  

강호진 (한국식품연구원) ,  박종대 (한국식품연구원) ,  이현유 (한국식품연구원) ,  금준석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양적, 기능적으로 우수한 쌀겨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유용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쌀 가공 산업의 확대를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쌀겨를 첨가한 머핀의 높이 측정결과 쌀겨의 농도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머핀의 무게는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머핀의 색도는 쌀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고 a 및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머핀의 수분함량은 0일차에 수분함량 범위가 30.47~34.07%였으나 저장 1일차에는 33% 전후의 수분함량으로 전처리군의 수분함량이 유사한 값을 보였다. 머핀의 경도는 0일차에 부산물의 첨가량이 0, 3, 5% 일때 각각 760.90, 645.95, 626.87로 부산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저장 1일째에 경도는 모든 처리군에서 초기 경도보다 2배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0, 3, 5, 10%에서 각각 1644.49, 1522.61, 1464.79, 1613.90을 보였다. 그러나 저장 2일째에서는 머핀경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처리군간에 경도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부착성은 저장기간별, 부산물 첨가량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탄력성은 저장기간에 따라 전 처리군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검성은 저장 0, 1일째에는 부산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부산물의 농도 10%에서는 다시 증가하여 대조군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군이 머핀의 색과 향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한 반면, 쌀겨 첨가 머핀이 맛, 촉촉함, 씹힘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쌀겨에 들어있는 식이섬유의 수분흡착 작용으로 수분 보유력이 증대되어 머핀의 촉촉함을 유지시켜 주고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쌀겨의 머핀을 비롯한 제빵 이용시 식미를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muffin add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0, 1, 3, and 5%) of rice bran. The result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eight of muffin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rice bra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uffin decr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백미 도정시 발생되는 쌀겨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쌀겨의 자원화를 위하여 생리활성이 우수하다고 입증된 쌀 부산물을 식생활이 서구화된 국내 소비자의 니즈에도 적합한 머핀에 접목시켜 그 이화학적인 물성과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점차 증가되고 있는 쌀 가공산업의 육성에 발맞추어 폐기되는 유용자원인 쌀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국내외 경쟁력을 갖추는 일환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백미 도정시 발생되는 쌀겨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쌀겨의 자원화를 위하여 생리활성이 우수하다고 입증된 쌀 부산물을 식생활이 서구화된 국내 소비자의 니즈에도 적합한 머핀에 접목시켜 그 이화학적인 물성과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점차 증가되고 있는 쌀 가공산업의 육성에 발맞추어 폐기되는 유용자원인 쌀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국내외 경쟁력을 갖추는 일환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 영양적, 기능적으로 우수한 쌀겨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유용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쌀 가공 산업의 확대를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쌀겨를 첨가한 머핀의 높이 측정결과 쌀겨의 농도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미란 무엇인가? 벼의 껍질인 왕겨를 벗겨낸 것이 현미이며 현미에 있는 미강층(과피, 종피, 외배유 및 호분층을 총칭)을 정미기로 제거한 것이 백미이다(1). 벼를 백미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벼 껍질인 왕겨와 현미의 겨층인 쌀겨 부산물들 중 쌀겨 일부만이 미강유 생산에 이용되고 나머지는 사료로 사용되거나 가축 축사에 퇴비로 활용되고 나머지는 전부 폐기처분 되고 있는 실정이다(2).
왕겨의 성분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벼를 백미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벼 껍질인 왕겨와 현미의 겨층인 쌀겨 부산물들 중 쌀겨 일부만이 미강유 생산에 이용되고 나머지는 사료로 사용되거나 가축 축사에 퇴비로 활용되고 나머지는 전부 폐기처분 되고 있는 실정이다(2). 왕겨에는 조섬유 35~46%, 당질 22~35%, 회분 13~21%, 조단백질 2~3%이며 쌀겨에는 당질이 34~52%, 조지방 15~20%, 조단백질 11~15%, 조섬유 7~11%, 회분 7~10%, 녹말 14%가 들어있다(2). 특히 쌀겨에는 hemicellulose의 식이섬유와 inositol, cholin, niacin, tocopheol, Vit.
쌀겨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머핀의 조직감 측정결과, 경도는 어떠한 경향성을 보이는가? 머핀의 조직감 측정결과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측정결과 경도는 쌀겨의 첨가량이 0, 3, 5% 일때 각각 760.90, 645.95, 626.87 g으로 쌀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쌀겨의 농도가 10%에서 다시 증가하여 692.12로 나타났다. 쌀겨의 농도가 10% 일때 머핀의 높이가 가장 낮았던 것은 글루텐에서 기인되는 그물망 형성 구조가 다른 처리군에 비해 약해지고 가스포집 능력이 저하되어 머핀의 밀도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머핀의 경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n Food Research Institute (2006) Rice Processing Complex. Facility and operation technique. p 156 

  2. Choi HC (20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ice hull and rice bran 

  3.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 Stable foodstuff supplement. Food J, p 42-45 

  4. Ramarathnam N, Osawa T, Namiki M, Kawakishi S (1989) Chemical studies on novel rice hull antioxidants. J Agric Food Chem, 37, 316-319 

  5. Wu K, Zhang W, Addis PB, Epley RJ, Salih AM, Lehrfeld J (1994) Antioxidant properties of wild rice. J Agric Food Chem, 42, 34-37 

  6. Asamarai AM, Addis PB, Epley RJ, Krick TP (1996) Wild rice hull antioxidants. J Agric Food Chem, 44, 126-130 

  7. Lee SC, Kim JH, Jeong SM, Kim DR, Ha JU, Nam KC, Ahn DU (2003)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s. J Agric Food Chem, 51, 4400-4403 

  8. Kim SJ, Park HR, Park EJ, Lee SC (2007) Cytotoxic and antitumor activity of momilactone B from rice hulls. J Agric Food Chem, 55, 1702-1706 

  9. Im JG, Kim YS, Ha TY (1998) Effect of sorghum flou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teristics of muffin. Korea J Food Sci Technol, 30, 1158-1162 

  10. Johnson FCS (1990)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waxy rice flour. Cereal Chem, 67, 114-119 

  11. Kim KH, Lee SY,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frui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50-756 

  12. Jung KI, Cho EK (2011) Effect of brown rice flour on muffin qu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86-992 

  13. Yoon MH, Kom KH, Kim NY, Byun MW, Yook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prepared with freeze dried perilla leaves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581-585 

  14. Lee SM, Joo NM (2008) Optimization of muffin with dried Rhynchosia molubilis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626-635 

  15. Jung HO, Lee JJ, Lee MY (2008) The characteristics of cookie and muffin made with soybean paste powder and sun-dried salt. Korean J Food Preserv, 15, 505-511 

  16. Shin JH, Yeon RS, Lee SM, Heong HS, Paik JE, Joo NM (2008) Optimization of formulation condition for muffins with added broccoli powder. Korean J Food Cult, 23, 621-628 

  17. Jung KI, Choi YJ, Cho EK (2010) Effect of Ecklonia cava hot water extracts on shelf life and quality of muff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72-1677 

  18. Choi HI, Ye EJ, Kim SJ, Bae MJ, Yee ST, Park EJ, Park EM (2006) Anticancer (in vitro) and antiallergy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97-1303 

  19. Park HS, Choi KM, Han GD (2008) Changes of breadmaking characteristics with the addition of rice bran, fermented rice bran and rice br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40-646 

  20. Park SH, Lim SI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ded red yeast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72-275 

  21. Ha TY, Park SH, Lee CH, Lee SH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36-341 

  22. Lim JK, Kim YS, Ha TY (1998) Effect of sorghum flou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158-1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