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살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uicid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8 no.3, 2008년, pp.190 - 196  

신성원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록

오늘날 우리는 자살사례를 쉽게 접할 수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 자살은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우리나라의 자살 추세를 살펴보면, 연간 자살자수는 1990년 3,157명에서 2006년 10,688명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1991년 9.1명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해오다가 1996년과 1997년에 각각 13.9명과 14.1명으로 소폭 상승하였으며, 외환위기를 맞은 1998년에 19.9명으로 대폭 상승하여 정점에 이르렀다. 그 이후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여 2000년 14.6명과 2001년 15.5명을 기록하여 안정세를 되찾는 듯 하였으나, 다시 경기가 악화되기 시작하면서 2002년 19.1명, 2003년 24.1명, 2004년 25.2명, 2005년 26.1명으로 계속 증가하였다. 2006년에는 2000년 이후 6년 만에 자살률이 감소되었지만 23.0명으로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se days we can often see examples of suicide. Nowaday suicide become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suicides increased continuously from 3,157 in 1990 to 10,688 in 2006. The suicide rate per 100,000 person increased progressively from 9.1 in 1991 to 26.1 in 2005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제적 문제이기 때문에 자살에 취약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실업, 사회적 불평등, 이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 . 경제적 안전망의 구축이 요구되며, 치명적 자살수단에 대한 접근 차단 및 자살사이트에 대한 통제를 통한 자살에 대한 접근의 제한,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강화, 언론의 자살관련 보도의 제한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안들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에서 좀 더 상세히 고찰하여 보기로 한다.
  •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에서 만연하고 있는 자살의 추세 및 현황을 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2007. 

  2. 김충선, 자살론, 청아출판사, 1995. 

  3. Edwin Shneidman, Suicide as Psychache : A Clinical Approach to Self-Destructive Behavior, Jason Aronson Inc. 1993. 

  4. 홍성열, 범죄심리학, 학지사, 2000. 

  5. 심영희, "위험사회와 새로운 자살유형의 등장", 대한법의학회지, 제25권, 제2호, p.139, 2001. 

  6. 김종두, "자살에 대한 이론적 접근", 교육논총, 제2집, p.314, 1998. 

  7. David Sue, Derald Sue, and Stanley Sue, Understanding Abnormal Behavior(6th ed.), Houghton Mifflin, 2000. 

  8. OECD Health Data, 2004?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