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랭지배추 재배지 토양보전을 위한 동반작물 도입 평가
Evaluation of Companion Crop for Conservation of Soil in Highland Cultivativation of Chinese Cabbage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7 no.1, 2008년, pp.1 - 8  

김기덕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안재훈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이정태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홍순춘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황선웅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김충국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랭지 경사밭의 토양보전을 위해서 고랭지 배추재배지에 애기기린초, 범의귀, 지면패랭이, 긴병꽃풀 등 4종의 지피성 동반작물의 도입가능성을 경사도 5, 15 및 30%의 라이시미터에서 평가하였다. 애기기린초를 제외한 지피성 동반작물은 배추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추와 동반작물에 의한 정식 이후의 피복률 변화는 동반작물보다는 배추생장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초기의 생장속도가 빨랐던 긴병꽃풀과 애기기린초 동반작물 재배구에서 초기 피복률 상승이 빠른 반면, 고온기 생장속도가 느린 범의귀와 지면패랭이는 급속한 피복도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각각의 동반작물의 줄기와 잎의 절단 경도는 범의귀와 애기기린초가 낮은 반면, 긴병꽃풀과 지면패랭이는 매우 높아 내답압성이 우수하였다. 지피성 동반작물과 배추는 광 및 양분 경합성은 거의 없었다. 지피성 동반작물 재배구에서 배추 수관 아래 기온 및 지온은 배추 단독구보다 각각 $1^{\circ}C$내외, $0.5{\sim}1^{\circ}C$ 낮았으며, 습도는 8% 정도 높았다. 4종 지피성 동반작물을 토양보전성, 경관성, 내성, 생육 등을 고려하여 각 평가요소별 가중치를 두어 평가한 결과, 지면패랭이>긴병꽃풀>>범의귀>애기기린초의 순으로 높았고, 이중 지면패랭이가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ur cover plants such as Phlox subulata,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Sedum middendorffianum and Saxifraga laciniata were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anion planting on reducing soil erosion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highl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lysimeter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고랭지배추 재배지에서 배추와 동반재배할 때, 생육 특성상 배추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표면을 피복하기에 좋을 것으로 예측되는 4종의 지피성 작물을 배추와 동반재배하면서 지피도 변화, 생육특성 등을 평가하고 이 중에서 고랭지배추 재배지에 도입하기에 적합한 작물을 선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한편 배추와 피복식물을 동반재배하였을 때 질소흡수량을 조사하여 재배기간 중 작물간의 양분경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Fig. 8). 배추에 의한 질소흡수랴^~ In?당 30g일때 동반작물에 의한 질소흡수량은 배추의 9~19%수준으로 나타나, 경사지토양에서 강우에 의한 질소 유실량이크다는 사실(Jung 등, 1976b)에 비춰볼 때, 동반작물의 질소 흡수가 배추생장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M.S., D.Y. Kim, K.P. Hong, and J.D. Choi. 2004. Study on reduction of soil loss and suspension of soil. Research Report. pp. 297-307. Gangwondo Agri.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hunchon, Korea 

  2. Hur, S.O., K.H. Jung, S.K. Ha, H.K. Kwak, and J.G Kim. 2005. Mathematical description of soil loss by runoff at inclined upland of maize cultivation. J. Korean Soc. Soil Sci. Fert. 38(2):66-71 

  3. Jung, J.S., J.S. Lee, C.D. Choi, and J.D. Cheung. 1998. A study on sod culture using water foxtail(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in apple orchard. J. Kor. Soc Weed Sci. 18(2):128-135 

  4. Jung, Y.S., J.S. Shin, and Y.H Shin. 1976a. Runoff and soil loss on newly reclaimed upland. J. Kor. Soc. Soil Sci. Fert. 9(1):9-16 

  5. Jung, Y.S., J.S. Shin, and Y.H Shin. 1976b. Erodibility of the soils of Korea. J. Kor. Soc. Soil Sci. Fert.? 9(2):109-115 

  6. Kang, Y.G., J.H. Ahn, G.J. Lee, and Y.G. Kwon. 1999. Conservation of sloped upland by cover crops. Research Report. p. 73-76. Nat'l Inst. of Highland Agri. RDA. Pyeongchang, Korea 

  7. Kim, K.D., M. Kwon, Y.N. Yun, C.K. Kim, H.C. Ok, J.T. Lee, and S.W. Hwang. 2006. Evaluation of cover plant companion planting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highland. Research Report. p. 135-150. Nat'l Inst. of Highland Agri. RDA. Pyeongchang, Korea 

  8. Lee, G.J., C.S. Park, J.T. Lee, Y.I Jin, C.S. Lee, K.Y. Shin, and S.W. Hwang. 2004. Study on nutrient balance of upland in highland. Research Report. pp. 579-583. Nat'l lnst. of Highland Agri. RDA. Pyeongchang, Korea 

  9. Lee, C.S., GJ. Lee, J.T. Lee, K.Y. Shin, J.H. Ahn, and H.J. Cho. 2002. Status of fertilizer applications in farmers' field for summer Chinese cabbage in highland. J. Kor. Soc. Soil Sci. Fert. 35(5):306-313 

  10. Lim, S.H. 2002. Development of eco-agriculture using native plant in sloped upland. Research Report. Gangwondo Agri.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hunchon, Korea 

  11. Na, J.H., I.H. Chae, and J.H. Sa Gong, 2003. Evaluation and conservation of remaining landscape elements in agriculturealland in urban planning areas. J. Kor. lnst. Landscape Architecture 31(5):31-42 

  12. NIAST. 2000. Research report of soil conversion and management in upland.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p. 155-190 

  13. Park, Y.S., I.J. Kim, and J.Y. Choi. 2003. On site experiment about management of orchard by Glechoma hederacea live mulching. Research Report. p. 219-221. Gangwondo Agri.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Chunchon, Korea 

  14. Song, D.Y., S.B. Lee, K.Y. Seong, Y.C. Ku, and B.Y.Hur. 1997. Development of technology of weed control in com cultivation upland by cover crop clover. Kor. Soc. Weed Sci. p. 56-58(suppl.) 

  15. Wainwright, J., A.J. Parsons, and A.D. Abronbams. 2000. Plot scale studies of vegetation, overland flow and erosion interactions:case studies from Arizona and New Mexico. Hydrol. Process 14:2921-2943 

  16. Yun, B.K, P.K Jung, S.J. Oh, and I.S. Ryu. 1996. Effect of compost application on soil los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lysimeter. J. Kor. Soc. Soil Sci. Fert. 29:336-3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