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화 정도가 다른 탐구 상황에서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과학탐구문제 비교 분석
Analysis of the Scientific Inquiry Problem Generated by the Scientifically-Gifted in Ill and Well Inquiry Situ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8, 2008년, pp.860 - 869  

류시경 (경산과학고등학교) ,  박종석 (경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과학탐구문제발견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지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낮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과 높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활동 중에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과학탐구문제의 특성에 대해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탐구목적에 따른 유형별 빈도는 탐구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두 활동에서 생성된 대부분의 탐구문제들은 7개의 동일한 유형(측정, 방법, 원인, 가능성, 무엇, 비교, 관계)으로 나타났다. 탐구문제에 언급된 과학적 개념의 빈도수는 높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활동(PFAWIS)이 낮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활동(PFAIIS)보다 더 많았으나, 과학적 개념의 다양성은 PFAIIS가 PFAWIS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는 첫째,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탐구 상황에서의 과학문제발견 활동의 기회를 자주 부여해야한다. 둘째, 일반 과학 실험 중에도 새로운 탐구문제를 발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실험 중에 생성한 탐구문제들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을 자주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과학탐구문제를 최소한 7개 이상의 유형별로 생성할 수 있도록 지도하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nstructional direction for improving scientific inquiry problem-finding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gift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made an in-depth analysis of the scientific inquiry problems generated by the scientifically-gifted in Problem-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탐구문제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낮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과 주어진 탐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탐구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높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과학탐구문제들에 대한 심층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과학영재들의 과학탐구문제발견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지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낮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IIS)과 높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WIS)에서 과학영재들이 발견해낸 과학탐구문제들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학생들이 생성한 탐구문제들을 탐구목적에 따라 분류해보면, 낮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활동 (PFAIIS)과 높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활동(PFAWIS)중에 발견해낸 탐구문제들은 7개의 동일한 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측정(Measurement), 방법 (Method), 원인(Cause), 가능성(Possibility), 무엇(What), 비교(Comparison), 관계(Relationship)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과학탐구문제발견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지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낮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과 높게 구조화된 탐구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활동 중에 과학영재들이 생성한 과학탐구문제의 특성에 대해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에 창의적인 과학자가 되어야 할 과학영재들에 대한 과학교육 역시 새롭고 가치 있는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많은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라 한 이유는? 특히 과학 분야에서의 작업은 단순히 지식의 암기나 주입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새로운 문제발견과 관련된 창의적인 작업이 강조된다고 볼 수 있다(Feldhusen, 1986). 따라서 미래에 창의적인 과학자가 되어야 할 과학영재들에 대한 과학교육 역시 새롭고 가치 있는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많은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방법(Method) 탐구문제란? 먼저, 측정(Measurement) 탐구문제란 실험 기구나 장치를 사용하여 탐구 상황에 제시된 물질들의 질량, 부피, 온도, 농도 등의 물리량을 수치로 나타내거나 그 수치 값으로 결과를 해석하고자 하는 탐구문제를 의미 한다. 방법(Method) 탐구문제란 탐구 상황에 제시된 물질들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나 물질들을 비교 하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하는 탐구문제를 의미하며, 원인(Cause) 탐구문제란 어떤 결과가 나오게 된 원인이나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탐구문제를 의미한다. 가능성(Possibility) 탐구문제란 제시된 탐구 상황에서 자신들이 생성한 탐구문제가 과연 실현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탐구문제를 의미하며, 무엇 (What) 탐구문제란 단순히 과학적 사실을 알아보고자 하거나 변인을 조작하였을 때 나타나게 되는 결과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탐구문제를 의미한다.
측정(Measurement) 탐구문제란? 먼저, 측정(Measurement) 탐구문제란 실험 기구나 장치를 사용하여 탐구 상황에 제시된 물질들의 질량, 부피, 온도, 농도 등의 물리량을 수치로 나타내거나 그 수치 값으로 결과를 해석하고자 하는 탐구문제를 의미 한다. 방법(Method) 탐구문제란 탐구 상황에 제시된 물질들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나 물질들을 비교 하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하는 탐구문제를 의미하며, 원인(Cause) 탐구문제란 어떤 결과가 나오게 된 원인이나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탐구문제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남정희 (1996). 화학 실험에서 탐구 과정기능의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류시경, 박종석 (2006).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65-774 

  3. 류시경, 박종석 (2008).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9-149 

  4.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5. 박종원 (2005). 학생의 과학적 탐구문제의 제안과정과 특성 분석. 새물리, 50(4), 203-211 

  6. 이혜주 (2005).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 상황에서 문제발견에 대한 제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 분석. 초등교육연구, 18(2), 123-148 

  7. 전윤식, 김정섭, 윤경미 (2003).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 찾기. 교육학연구, 41(3), 215-238 

  8. 정현철, 조석희, 서혜애, 신명경, 허남영 (2004). 영재의 자율연구능력 기초탐색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4-43 

  9.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einhait & Winston 

  10. Dudek, S. Z., & Cote, R. (1994). Problem Finding Revisited. In M. A. Runco(Ed.),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p. 130-150).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1. Feldhusen, J. F. (1986). A Conception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112-12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Getzels, J. W., & Csikszentmihalyi, M. (1976). The Creative Vi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blem Finding in Art. New York: John Wiley 

  13. Hoover, S. M., & Feldhusen, J. F. (1990). The Scientific Hypothesis Formulation Ability of Gifted Ninth-Grad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4), 838-848 

  14. Jay, E. S., & Perkins. D. N. (1997). Problem Finding: The Search for Mechanism. In M. A. Runco (Ed.), The Creativity Research Handbook (Volume I), (pp. 257-293). NJ: Hampton Press 

  15. Runco, M. A. (1994).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6.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rd Eds.), Texas: Prufrock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