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개발과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적용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Nature of Science and Pilot Application to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2, 2008년, pp.169 - 179  

박종원 (전남대학교) ,  김두현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을 진술하는 총 42개의 진술문 각각에 대해서 1년간에 걸쳐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46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는 구체적인 과학적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과학개념과 탐구기능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각 자료는 학생용 활동지와 교사용 안내서로 개발되어 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자료 중, 과학적 사고의 본성에 대한 11개 자료를 과학 영재 3명을 대상으로 시험 적용하였다. 시험 적용 결과, 난이도는 적절했으며, 학생들은 과학개념이나 탐구활동 경험보다는 과학적 사고 자체에 대해 배웠다고 반응하였고, 마찬가지로 과학적 사고 자체가 흥미로운 내용이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반응과 교사의 관찰로부터 과학적 사고의 본성 이해가 과학적 탐구활동을 보다 참답게(authentic)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과학적 사고의 본성 이해가 과학적 창의성 개발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였으며, 그러한 반응이 이전의 이론적인 논의(박종원, 2007a)와도 일치하여 과학적 사고의 본성 이해가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46 teaching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42 statements describing the NOS. Each teaching material involves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as well as NOS statements. Teaching materials consist of students' lear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난이도 조사는 추후에 대상을 달리하여(예를 들면, 과학고나 일반고 학생 등) 적용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자료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내용에 대한 흥미도도 함께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과학개념이 포함되고 실제적인 과학적 탐구활동을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 과학의 본성 이해를 돕고자 한다.
  • 그리고 박종원 (2007a)은 과학의 본성 이해가 기본적으로 창의성 개발에도 도움을 준다고 가정한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알아보기 위해 본 자료가 실제로 과학적 탐구 활동과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표 3).
  •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 이해를 최종목표로 하고 과학적 탐구활동을 수단으로 보고자 한다. 즉 과학적 탐구활동을 통해 과학의 본성 이해를 돕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을 진술하는 총 42개의 진술문 각각에 대해서 1년간에 걸쳐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46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는 구체적인 과학적 상황에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과학 개념과 탐구기능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 본 자료는 과학적 본성의 이해뿐 아니라, 과학 개념의 이해와 과학적 탐구기능 습득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의도가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 받아들여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에게 무엇을 배웠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 본 자료는 과학적 본성의 이해뿐 아니라, 과학 개념의 이해와 과학적 탐구기능 습득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의도가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 받아들여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에게 무엇을 배웠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박종원 (2007b)은 과학의 본성 이해를 통한 과학적 탐구활동 모형을 3가지로 제안하기도 하였다: 반성적 모델, 상호작용모델, 직접적 모델. 이 모델에서는 과학의 본성 이해가 보다 참다운 과학적 탐구활동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험 적용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여기에서 시험 적용(pilot application)이란 개발된 자료를 보다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하기에 앞서, 먼저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지도하면서 구체적으로 학습과정을 관찰함으로서 적용 상의 특징을 추출하여 앞으로의 보다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시사점들을 추출하기 위한 적용을 의미한다.
과학의 본성은 무엇을 포함하는가? 이러한 측면은 과학의 본성과 과학적 탐구를 긴밀하게 연결시키지 못해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Park, under review; Sandoval, 2005; Lederman, 1998; Matthews, 1998). 과학의 본성은 과학지식의 본성뿐 아니라 과학적 사고의 본성과 과학적 탐구의 본성도 포함한다(Park, 2007). 과학적 사고인 귀납적 사고는 관찰로부터 규칙성을 찾는 과정에서, 연역적 사고는 자연현상을 설명하거나 예측할 때 (Park & Han, 2002), 그리고 과학적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Park et al.
박종원(2007a)이 과학적 탐구 자체에 이미 창의적인 사고가 내재되어 있다고 분석한 내용은 무엇인가? 박종원(2007a)은 과학적 탐구 자체에 이미 창의적인 사고가 내재되어 있다고 분석한 바 있는데,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귀납적 과정은 자연에 숨겨진 진리를 찾는 과정이라기보다는 과학자의 상상력과 추론에 의해 고안된 것이다. (2) 귀납적 결론은 참임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항상 새로운 지식이 가능하다. (3) 과학적 가설을 지지하는 실험결과가 있더라도 그 과학적 가설은 참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가설의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다. (4) 새로운 가설은 기존의 지식과 경험으로부터 나올 수 있다. 이때 연관 없어 보이는 것들 사이에 유사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연관시킬 때 창의성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박종원 (2007a). 과학영재아를 위한 과학의 본성 지도. 제 5 회 전국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학술발표회, 대진대학교, 2007. 10 

  2. 박종원 (2007b). 과학적 본성 이해를 통한 과학적탐구활동. 제 51차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한국 교원대학교, 2007.1 

  3. 최승희 (2007). 10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의 본성 내용 분석.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Abd-El-Khalick, F. and Lederman, N. G. (2000).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665-701 

  5.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4). Project 2061: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 Bartholomew, H., Osborne, J., and Ratcliffe, M. (2004). Teaching pupils "ideas-about-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 655-682 

  7. Bell, P., and Linn, M.C. (2000). Scientific arguments as learning artifacts: designing for learning from the web with KI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8), 797-817 

  8. Bell., R., and Lederman, N.G. (2003).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decision mak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issues. Science Education, 87, 352- 377 

  9. Bianchini, J., and Colburn, A. (2000).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inquiry to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 tale of two resear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2), 177-209 

  10. Donnelly, J. (2001). Contested terrain or unified project?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ngland and W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2), 181-195 

  11. Hand, B., Prain, V., Lawrence, C. and Yore, L. D. (1999). A writing in science framework designed to improve science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 1021-1036 

  12. Hodson, D. (1998). Is this really what scientists do?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93-108). London: Routledge 

  13. Lederman, N. G. (1998). The state of science education: subject matter without context.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 from http://unr.edu/ homepage/ jcannon/ejse/lederman.html 

  14. Lederman, N. G. (1999).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lassroom practice: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the relationshi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916-929 

  15. Lederman, N.G., Abd-El-Khalick, F., Bell, G.L., and Schwartz, R.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497-521 

  16. Lederman, N.G., and Abd-El-Khalick, F. (1998). Avoiding de-natured science: Activities that promote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W. F. McComas (Ed.), The nature of s cience in history of s 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83-126) 

  17.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Routledge 

  18. Matthews, M. R. (1998). In defense of modest goals when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167-174 

  19. McComas, W. F., and Olson, J. K.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inter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documents. In W.F.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pp. 41-52).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rom http:// darwin.nap.edu/html/inquiry_addendum/ch2.html 

  21.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2000). NSTA position statement: The nature of science. Document retrieved: 3/18/03. from http://www.nsta.org/159&psid22 

  22. Osborne, J., Collins, S., Ratcliffe, M., Millar, R., and Duschl, R. (2003). What "Ideas-about-Science" should be taught in school science? A Delphi study of the expert commun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692-720 

  23. Park, Jongwon. (under review). Discussions for link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with Scientific Inquiry. The Asian Pacific Education Review 

  24. Park, Jongwon. (under review). Suggesting teaching model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rough the nature of science (NOS). Science & Education 

  25. Park, Jongwon, and Han, Sooja. (2002). Deductive reasoning to promote the change of concept about force and mo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6), 593-610 

  26. Park, Jongwon, Kim, Ikgyun, Kim, Myungwhan, and Lee, Moo. (2001). Analysis of the students' processes of confirmation and falsification of the hypotheses in electrost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2), 1219-1236 

  27. Park, Jongwon. (2006). Modelling analysis of students' processes of generating scientific explanatory hypothe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5), 469-489 

  28. Park, Jongwon. (2007). A study of new model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roug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a proposal for a synthetic view of the NO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2), 153-167 

  29. Ping-Kee Tao. (2003). Eliciting and developing junior second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a peer collaboration instruction in science sto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2), 147-171 

  30. Province of British of Columbia [PBC] (1996). Physics 11 and 12. Province of British of Columbia, Ministry of Education, Canada 

  31. Sandoval, W.A. (2005).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learning through inquiry. Science Education, 89, 634-656 

  32. Sandoval, W.A., and Reiser, B.J. (2004). Explanation- Driven inquiry: integrating conceptual and epistemic scaffolds for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 345-372 

  33. Schauble, L., Glaser, R., Duschl, R.A., Schulz, S., and John, J. (1995).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s and procedures of experimentation in the science classroom.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4(2), 131-166 

  34. Toth, E.E., Suthers, D.D., and Lesgold, A. (2002). "Mapping to know":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al guidance and reflective assessment on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6, 264-286 

  35. Tsai, C. (2001). A review and discussion of epistemological commitments, metacognition, and critical thinking with suggestions on their enhancement in internet-assisted chemistry classroom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8(7), 970-974 

  36. Vhurumuku, E., Holtman, L., Mikalsen, O., and Kolsto, S.D. (2006). An investigation of Zimbabwe high school chemistry students' laboratory work-based images of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2), 127-149 

  37. Windschitl, M., and Andre, T. (1998). Using computer simulations to enhance conceptual change: The roles of constructivist instruction and student epistemological belief.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45-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