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지식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 Focusing on the Subject of Biology -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9 no.3, 2020년, pp.382 - 398  

김현주 (서울가원초등학교) ,  김민주 (서울문현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expression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vided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A s...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진흥법에서는 영재교육대상자를 어떤 사람이라 보고 있는가?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기본법인 영재교육진흥법(교육부, 2017)에서는 일반지능, 특수 학문 적성, 창의적 사고능력 중 어느 하나의 사항에 뛰어난 사람을 영재교육대상자로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생의 선발 요소 중 ‘창의적 사고 능력’에 초점을 두고, 창의적 사고 능력이 현재 영재교육 현장에서 어떤 양상을 나타내는지 알아봄으로써 빠르게 변화해 가는 현대 사회에서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지식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 주장은 무엇인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지식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주장이 공존하고 있다. 지식이 창의성 발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긴장 관점(tension view)과 지식이 창의성 발현에 필수적이라는 토대관점(foundation view)이다(Weisberg, 1999). 지식이 창의성의 발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에서는 ‘고착(fixation)’을 주장한다.
영재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면에서 창의성의 중요성은 부각되고 있다(윤종건, 1998).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춰 고도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으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재능 있는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양성하기 위해 영재교육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강정하, 최인수(2008). 과학적 창의성과 시각예술적 창의성. 영재교육연구, 18(2), 201-237. 

  2. 곽수란(2004). 가족배경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16/17(1), 51-60. 

  3. 교육부(2017). 영재교육진흥법. 교육부. 

  4. 김경근(2005). 한국 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5(3), 1-27. 

  5. 김명숙(2002).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 교육심리연구, 16(2), 153-172. 

  6. 김민주, 임채성(2017).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6(4), 379-393. 

  7. 김민주, 임채성(2019).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동료 평가의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8(4), 439-452. 

  8. 김영정(2002).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인지과학, 13(4), 81-90. 

  9. 김청자(2005). 중등학생의 창의성과 성취동기 및 내재적 외재적동기와의 관계연구. 열린교육연구, 13(3), 75-101. 

  10. 김호상, 유미현(2015).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의 비교. 과학영재교육, 7, 67-82. 

  11. 류은희, 김중복, 이정숙(2012).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Peer Instruction을 통한 인지갈등: 문항의 난이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1), 117-139. 

  12. 박민정, 전동렬(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13. 박창남, 이승철, 류형선(2012). 창의성 개발에 대한 지식 교육적 접근. 창의력교육연구, 12(3), 173-185. 

  14. 배진수, 이영만(2000).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창의력 성격과 창의성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3(2), 43-61. 

  15.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자유탐구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4(1), 109-122. 

  16. 서혜애(2004).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영재교육연구, 14(1), 65-89. 

  17. 성은현, 이정규, 황영석(2013). 창의성 교육 평가 모델 개발의 필요성. 창의력교육연구, 13(3), 37-52. 

  18. 송성수(2013). 과학사의 사례를 활용한 과학자의 창의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다윈, 에디슨, 아인슈타인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2(2), 227-236. 

  19. 송정숙, 한승록(2007). 초등학생의 독서활동과 창의성 및 학업적 자아개념의 관계. 교육연구, 21, 72-102. 

  20.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21. 심경석(1987). 학교 학습에서 독서는 왜 필요한가: 유치원 국민학교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 금성출판사. pp. 5-11. 

  22. 안양희, 김의숙, 함옥경, 김수현, 김순옥, 송명경(2012). 의료수급권자의 사례관리 요구측정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검증. 대한간호학회지, 42(4), 122-150. 

  23. 안영미(2020). 초중고생의 독서시간과 사교육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오종석, 이형철, 유병길(2014). 초등과학영재아동과 일반 아동 부모의 학습관여와 지적호기심 및 과학창의성의 관계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6(5), 1119-1128. 

  25. 우현경(2013). 사전지식 제공여부와 면접조건에 따른 4, 6세 유아의 사건 정기억과 오기억.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유경훈(2013).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적응, 자존감,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4(6), 2700-2706. 

  27. 윤종건(1998). 교사?학부모?직장인을 위한 창의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28. 윤초희, 김홍원(2004).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의 형식적사고, 초인지 및 창의력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8(1), 241-260. 

  29. 이수정, 임현정(2009).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비 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8(1), 141-166. 

  30. 이정원(2004). 창의성은 영역 특수적이다. 교육종합연구소 소식, 11, 7-14. 

  31. 이철원(2004).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과학관련독서가 과학지식 습득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임동순, 양연숙(2013). 영재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연과학. 

  33.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34. 최일호, 최인수(2001).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과정 모형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409-428. 

  35. 황재연, 최명숙(2006). 교원 원격연수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온라인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교육만족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2), 255-274. 

  36. Adderholdt, M. R. & Goldberg, J. (1999). Perfectionism: What's bad about being too good? Minneapolis, MN: Free Spirit. 

  37. Alexander, P. A. (1992). Domain knowledge: Evolving themes and emerging concerns. Educational Psychology, 27, 33-51. 

  38. Amabile, T. M. (1987). The motivation to be creative. In S. G. Isaken (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Beyond the basics (pp. 223-254) Buffalo, NY: Bearly. 

  39.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1st Ed).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40. Flavell, John H., Miller, Patricia H., Miller & Scott A. (2002). Cognitive development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41. Fleiss & Cohen (1993). Design and analysis of clinical experiments. New York: Wiley. 

  42. Hayes, J. R. (1989). Cognitive processes in creativity. In Handbook of creativity (pp. 135-145). Springer, Boston, MA. 

  43.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44. Izard, C. E. & Ackerman, B. P. (2000). Motivational, organizational, and regulatory functions of discrete emotions. Handbook of Emotions, 2, 253-264. 

  45.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65-94. 

  46. LoCicero, K. A. & Ashby, J. S. (2000).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in middle school age gifted students: A comparison to peers from the general cohort. Roeper Review, 22(3), 182-185. 

  47. Martinsen, O. (1995). Cognitive styles and experience in solving insight problems: Replication and extension. Creativie Research Journal, 8, 291-298. 

  48. Mayer, R. E.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McMillan, J. H. (199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effective instruction. Allyn & Bacon, A Viacom Company, 160 Gould St., Needham Heights, MA 02194; Internet: www.abacon.com 

  50. Mumford, M. D. (2003). Where have we been, where are we going? Taking stock in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5(2-3), 107-120. 

  51. Newton, D. P. (2010). Assessing the creativity of scientific explanations in elementary science: An insider-outsider view of intuitive assessment in the hypothesis space.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8(3), 187-201. 

  52. Pajares, F. & Miller, M. (1994).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 path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 193-203. 

  53. Runco, M. A. (2006). Creativity: Theories and themes :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San Diego: Academic Press. 

  54. Runco, M. A. & Acar, S. (2012). Divergent thinking as an indicator of creative potential.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1), 66-75. 

  55. Schank, R. C. (1988). The creative attitude. New York: Macmillan. 

  56. Schibeci, R. A. & Riley, J. P. (1986). Influence of students’ background and perceptions on science attitudes and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3), 177-187. 

  57. Simonton, D. K. (1984). Genius, creativity, and leadership.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8. Stefoff, R. (2002). 진화론과 다윈 [Charles Darwin and the evolution revolu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이한음 역). 서울: 바다출판사. (원서출판 1996). 

  59. Sternberg, R. J. (1998). Handbook of human creativity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61. Sue C. W. (2010). 유아교육과 평가: 형식적 평가와 비형식적 평가의 균형 잡힌 활용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역). 서울: 정민사. (원서출판 2007). 

  62. Treffinger, D. J., Young, G. C., Selby, E. C. & Shepardson, C. (2002).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63.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WH Freeman, New York. 

  64. Weisberg, R. W. (1999). Creativity and knowledge: A challenge to theories.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226-25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